RTO care

"Particulate matter," also known as particle pollution or PM, is a complex mixture of extremely small particles and liquid droplets. Particle pollution is made up of a number of components, including acids (such as nitrates and sulfates), organic chemicals, metals, and soil or dust particles.

The size of particles is directly linked to their potential for causing health problems. EPA is concerned about particles that are 10 micrometers in diameter or smaller because those are the particles that generally pass through the throat and nose and enter the lungs. Once inhaled, these particles can affect the heart and lungs and cause serious health effects. EPA groups particle pollution into two categories:

  • "Inhalable coarse particles," such as those found near roadways and dusty industries, are larger than 2.5 micrometers and smaller than 10 micrometers in diameter.
  • "Fine particles," such as those found in smoke and haze, are 2.5 micrometers in diameter and smaller. These particles can be directly emitted from sources such as forest fires, or they can form when gases emitted from power plants, industries and automobiles react in the air.

    Basic Information - Basics about particle pollution.

    Health - Effects of particle pollution.

    PM Standards - Links to technical information related to setting the national air quality standards for particle pollution.

    PM Designations - Regional, state and local information related to PM nonattainment.

    PM Implementation - Programs and requirements for reducing particle pollution.

    Regulatory Actions - Links to proposed and final rules, fact sheets, and other rulemaking documents.

    Nonattainment Areas - Status of nonattainment areas (the Green Book)

    PM Research - Links to PM research and development, monitoring, and daily reporting and forecasting.

    Agriculture - Fact Sheet - Coarse PM (PM10) standards and agriculture.

    Air Quality Trends - Progress made in reducing particle pollution.

    Air Emission Sources - Summarizes particulate matter emissions by source at national, state and local levels.

    Residential Wood Smoke - Burn Wise is a partnership program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burning the right wood, the right way, in the right wood-burning appliance to protect your home, health, and the air we breathe.

    Related Links - Other information related to particle pollution.

    State Implementation Plan Status and Information - identifies how states and EPA work together to ensure that the agency's National Ambient Air Quality Standards (NAAQS) are met and maintained.

       

    원본 위치 <http://www.epa.gov/air/particlepollution/>

'지구별 이야기 > 대기와 대기오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alth effects of PM  (0) 2016.06.27
Basic information of PM  (0) 2016.06.27
VOC  (0) 2016.06.27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특성 및 영향  (0) 2016.06.27
HMDS  (1) 2016.06.26

증기압이 높아 대기중으로 쉽게 증발되어 질소산화물(Nox)과 공존시 태양광의 작용에 의하여 광화

학반응을 일으켜 오존 및 PAN(Peroxyacyl Nitrate)등 2차오염물질을 생성시킴으로써 광화학 스모

그 현상을 일으키는 물질을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이라고 한다.

가. 미국의 정의

대기중에서 광화학반응에 참여하는 물질중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탄산, 금속성 탄화물, 탄산염,

탄산암모늄을 제외한 모든 탄소화합물이라고 EPA는 CAA(Clean Air Act)의 TitleⅠ에 따른 정부의

실행계획을 준비, 채택, 시행하기 위한 언급에서 정의하고 있다. 광화학반응에 대한 영향이 무시될

정도인 유기화합물에 대해서는 법규제로부터 제외시키고 표준상태(20℃, 760mmHg)에서 증기압

이 0.1mmHg이상이 되는 유기화합물을 VOCs로 간주한다.

나. 일본의 정의

유기화합물중 원유, 가솔린, 나프타 및 항공터빈연료유 4호, 기타 단일물질은 1기압에서 비점이

150℃이하인 물질, 혼합물질은 1기압에서 전체5%의 유출점이 150℃이하인 물질을 VOCs이라 규정

하고 있으며 이중 일산화탄소, 탄산 및 그염류, 메탄, 에탄, 클로로에탄 및 트리할로트리플로로 에

탄등 광화학 반응성이 낮은 화합물은 제외시키고 있다.

다. 국내법상의 정의

"탄화수소류중 레이드 증기압이 10.3 킬로파스칼 (또는 1.5 psia)이상인 석유화학제품·유기용제 기

타 물질로서 환경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고시하는 물질 (대기환경보전법시

행령 제39조 제1항)로 정의하고 있으며 환경부고시 제2001-36호(2001.3.8)에 따라 벤젠, 부타디엔,

휘발유등 37개 물질 및 제품을 규제대상으로 하고 있다."

   

원본 위치 <http://www.devocs.co.kr/n/vocs_intro.htm>

'지구별 이야기 > 대기와 대기오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ic information of PM  (0) 2016.06.27
PM  (0) 2016.06.27
휘발성유기화합물의 특성 및 영향  (0) 2016.06.27
HMDS  (1) 2016.06.26
VOC  (0) 2016.06.26

1) 물질자체가 직접적으로 인체에 유해(방향족 또는 할로겐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 벤젠, 톨루엔, 자일렌등

할로겐 탄화수소 : Cl, F를 포함한 탄화수소

2) 인체에 대한 유해성은 크지 않으나 광화학반응을 통하여 스모그 발생의 원인이 됨

(지방족 탄화수소류, 특히 올레핀계)

3) 지표면 부근에서 오존의 생성에 관여하여 결과적으로 지구온난화에 간접적으로 기여

4) 성층권 오존층 파괴원인 물질(프레온)

5) 반응성이 약하여 장기간 대기중에 체류하여 환경에 누적되거나 축적되어

인간을 포함한 자연생태계에 영향을 미침(PCB)

VOCs의 유해성

오존 생성

1.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유해성

"고농도 VOC에 노출시 마취작용(중추신경계 억제), 현기증, 마비 및 사망등 급성장애를 일으

키며, 물질별 특이독성은 아래와 같음."

물질

건강장해

벤젠

조혈기능 장해(혈구감소증, 재생불량성 빈혈),부정맥, 발암성(백혈병)

할로겐화

탄화수소 간독성, 신독성, 심장독성(부정맥, 돌연사), 동물에서 발암성

메탄올

시력상실, 대사성 산증

포름알데히드

알레르기성 피부염, 폐기능 저하, 동물에서의 발암성

노르말 헥산

말초신경 장해

2. 오존 생성

VOC의 대기중 광화학반응

"대기중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NOx와 같이 존재하여 OH

Radical과 반응, 오존을 생성시켜서 광화학옥시단트의 원인물질이 됨."

VOC + 2NO + 2O2 → H2O + 2NO2 + R′C(O) R′

NO2 + hv → NO + O

O + O2 + M → O3 + M

   

∴ VOC + 3O2 → H2O + O3 + R′C(O) R′

- NOx와 같이 존재하는 VOC가 오존의 생성원인이 됨

- 오존 농도별 사망자 실태

"1991년에서 1996년까지 서울시를 대상으로 오존오염과 사망자수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오존농

도가 0.1ppm증가하면 평소보다 3-10%정도의 사망자가 추가발생."

   

원본 위치 <http://www.devocs.co.kr/n/vocs_spec.htm>

'지구별 이야기 > 대기와 대기오염'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  (0) 2016.06.27
VOC  (0) 2016.06.27
HMDS  (1) 2016.06.26
VOC  (0) 2016.06.26
VOC  (0) 2016.06.26

흡착시설

관련기술2016. 6. 27. 03:06

원리 :

활성탄 및 실리카겔 등 흡착제에 의한 악취 성분의 흡착제거

장점 :

- 저농도 취기에 효과적이다.

  

- 탈취효율이 높다.

  

- 장치구조가 간단하다.

  

- 폐수발생이 없다.

단점 :

- 타르, 분진 및 점착성 물질을 포함한 악취의 경우 제거를 위한 전처리가 필요하다.

  

- 화재위험이 있다.

  

- 주기적인 활성탄 재생 및 교환이 필요하다.

  

- 2차폐기물이 발생된다.

  

- 유지관리비가 비싸다.

  

- 처리대상 물질에 따라 적용의 제한이 크다.

악취물질 :

- 흡착제에 따라 처리효율에 차이가 있다.

  

- 흡착제의 조합에 따라 발생악취의 전물질에 대하여 효과적이다.

(점착활성탄+중성활성탄)

장치의 특성 :

- 가스의 중성, 산성, 알카리성에 따라 활성탄 사용이 결정된다.

  

- 암모니아 등 자극성이 강한 가스등의 흡착 제거가 어렵다.

탈취 효율 :

80% 이상

경제성 :

초기 시설투자비는 낮으나 운전비용은 높다.

   

원본 위치 <http://www.devocs.co.kr/n/vocs_tec1.htm>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2 gets stoned:  (0) 2016.06.27
미세먼지의 측정  (0) 2016.06.27
세정시설  (0) 2016.06.27
바이오필터 시설  (0) 2016.06.27
오존산화시설  (0) 2016.06.27

세정시설

관련기술2016. 6. 27. 03:05

원리 :

악취물질을 약액(산알카리)에 흡수시켜 화학적으로 중화하여 처리

장점 :

- Mist, 분진등의 동시 처리가 가능하다.

  

- 발생 VOCs 및 악취의 온도에 대한 적용이 용이하다.

  

- 고농도 취기에 효과적이다.

단점 :

- 발생폐수의 처리설비가 필요하다.

  

- 복합취기의 제거에 부적합하다.

  

- 약품취급에 주의를 요한다.

  

- 숙련된 운전기술이 필요하다.

  

- 시설비, 약품비가 높다.

  

- 약품저장 및 공급시설 등 부대시설이 필요하다.

악취물질 :

- 산세정 : 암모니아,아민류

  

- 알카리 세정 : 유화수소, 메르캅탄, 고급 지방산 등.

장치의 특성 :

- 가스의 수용액과의 친화성 및 기액접촉 효율에 따라 처리 효율이 결정된다.

탈취 효율 :

80% 이상

경제성 :

초기 시설투자비 및 운전비용 모두 높다.

   

원본 위치 <http://www.devocs.co.kr/n/vocs_tec2.htm>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세먼지의 측정  (0) 2016.06.27
흡착시설  (0) 2016.06.27
바이오필터 시설  (0) 2016.06.27
오존산화시설  (0) 2016.06.27
Thermal Oxidation  (0) 2016.06.27

원리 :

유기담체(나무껍질, 퇴비 등) 또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악취성분을 산화분해 처리

장점 :

- 저농도 대용량 처리에 유리하다.

  

- 복합취기의 제거에 효과적이다.

  

- 장치가 간단하다

  

- 저농도일 경우 초기 투자비가 저렴하다.

  

- 2차오염이 없다.

  

- 내구연한이 길다.

  

- 토양탈취의 경우 시설부지에 공원, 녹지조성등 환경미화에 용이하다.

단점 :

- 계절적, 기후적으로 미생물 활동조건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온도, 습도등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 비정상가동시 담 체에 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시설가동 후 처리효율이 상화될 때까지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 고농도(100ppm 이상) VOCs 처리에 부적합하다.

악취물질 :

- 발생악취의 전물질에 대하여 효과적이다.

(특히, 암모니아, 황화수소,메틸메르캅탄등 하수처리장의 악취제거에 효과적이다.)

장치의 특성 :

- 처리가스량 : 100 ~ 500 Nm3/hr/m2M.

  

- 사용종료된 FILTER는 퇴비, 토양개량제, 매립장 복토재 등으로 사용할 수 있다.

탈취 효율 :

90% 이상

경제성 :

가스의 조건, 농도, 처리효율에 따라서 초기투자비, 유지관리비가 결정된다.

   

원본 위치 <http://www.devocs.co.kr/n/vocs_tec3.htm>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흡착시설  (0) 2016.06.27
세정시설  (0) 2016.06.27
오존산화시설  (0) 2016.06.27
Thermal Oxidation  (0) 2016.06.27
휘발성유기화합물 처리시 고려사항  (0) 2016.06.27

오존산화시설

관련기술2016. 6. 27. 03:03

원리 :

강력한 산화작용을 지닌 오존과 악취물질을 포함하는 가스와 접촉시켜

악취물질을 산화분해

장점 :

- 저농도(100ppm 미만)의 유기물 제거에 유리하다.

단점 :

- 장치구성이 복잡하다.

  

- 숙련된 운전기술이 필요하다.

  

- 설치비, 운전비가 높다.

  

- 비정상 운전시 2차 오염의 우려가 있다.

  

- 미반응 오존의 환원 배출장치가 필요하다.

  

- 적용사례가 적다.

악취물질 :

- 저농도의 시안 화합물, 페놀류, 살충제, 염소화합물 등.

장치의 특성 :

- 오존과 악취물질과의 접촉방법에 따라 건식 및 습식(오존화수에 의한 세정)법이

있다.

탈취 효율 :

설계에 따라 효율을 높일 수 있으나 접촉 시간이 중요하다.

경제성 :

초기 시설투자비 및 운전비용이 매우 높다.

   

원본 위치 <http://www.devocs.co.kr/n/vocs_tec4.htm>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정시설  (0) 2016.06.27
바이오필터 시설  (0) 2016.06.27
Thermal Oxidation  (0) 2016.06.27
휘발성유기화합물 처리시 고려사항  (0) 2016.06.27
도료  (0) 2016.06.26

Thermal Oxidation

관련기술2016. 6. 27. 03:02

원리 :

악취 및 VOCs를 고온연소하여 산화분해 처리

장점 :

- 고농도의 VOCs의 처리에 효과적이다.

  

- 처리효율이 우수하다.

  

- 다양한 VOCs 및 악취성분의 처리가 가능하다.

단점 :

- 저농도의 악취성분 처리에 부적합하다.

  

- 초기 설계시 운전 중 가스폭발등 안정성에 주의하여야 한다.

  

- VOCs의 농도가 LEL의 25% 이상시 폭발방지를 위하여 공기주입 장치가

필요하다.

악취물질 :

- 발생VOCs의 전물질에 대하여 처리가능하다.

장치의 특성 :

- 처리가스량 : 100 ~ 2500 Nm3/hr

  

- RTO(축열식 소각) VOCs 및 악취성분을 Ceramic등의 축열재를 이용하여

750 ~ 900도로 축열소각함으로써 보조 연료비를 절감.

  

- RCO(축열촉매식 소각) VOCs 및 악취성분을 소각시 촉매를 사용하여

연소를 위한 활성화에너지를 낮춤으로써 보조연료비를 절감한다.

탈취 효율 :

95% 이상

경제성 :

초기 시설투자비가 높으며 VOCs의농도에 따라서 유지관리비가 결정된다.

   

원본 위치 <http://www.devocs.co.kr/n/vocs_tec5.htm>

 

회수한 물질이 프로세스에 재이용할 수 있거나, 보일러 연료로 쓰일 수 있거나, 혹은 장치의 세척용 용제로 쓰일 수 있다거나, 아니면 다른 용도의 상품으로 가치가 있다면 당연히 최종 처리보다는 회 수 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회수 방법으로는 흡착-탈착, 냉각 응축, 증류 등의 방법이 있다.

VOC를 함유하는 배기 가스가 방출될 때 풍량 및 농도가 일정한가 아니면 수시로 변하는가 또는 주 기적인가는 처리 방법을 선택할 때 세심히 고려되어야 한다. 회분식(Batch) 공정에서와 같이 풍량과 농도의 변화가 심할 때는 처리 장치의 마모도 커지고, 열회 수효율도 낮아질 뿐 아니라 실제 파괴 효율(Destruction and Removal Efficiency)도 낮아질 수 있 다.

여러 가지 성분들이 섞여 있다면, 우선 회수를 하더라도 뒤에 재 분리장치가 필요하게 되며 처리방 법 선택에도 한계가 있다. 처리방법 설계시 DRE(파괴효율)은 VOC 성분들 중 가장 파괴가 힘든 물 질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

원칙적으로 모든 처리장치들은 LEL 의 25% 이하로 희석시켜 처리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덕 트의 구조나, 처리 장치의 초기 가동, 종료 및 고장 시 어느 한 순간이라도 농도가 LEL을 초과할 수 없도록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어떤 공정에서는 UEL을 초과하는 배출 가스가 방출되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냉각 응축에 의한 회수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그러나 회수가 진행되면서 농도가 UEL과 LEL 사이로 떨어져 폭발 가 능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대신 질소나 탄산가스를 이용하여 희석시킨다.

냉각 응축이나 흡착법은 온도가 40℃ 이상이면 냉각시키기에는 비경제적일 뿐 아니라 정상적인 흡 착력도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배기 가스의 온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소각 방법은 보조연료 소모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경제적일 수 있다. 생물학적 처리방법 역시 미생물들이 활동하기에 적절한 10 ~ 40℃를 유지시켜야 적절한 처리 효율 을 기대할 수 있다.

VO 가 아닌 성분들이 얼마나 존재하는지도 처리 방법을 선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분진이 많 을 경우 흡착제나 촉매 등의 표면이 막혀 처리 효율을 저하시키고 또 납이나 황 성분 등 중금속이 있 을 때 는 촉매를 사용할 수 없다. 함유하는 VOC를 소각시킬 때는 각 할로겐 원소에 해당하는 산들 이 형성되기 때문에 Scrubber 같은 후처리 장치가 필요하고 장치 역시 내산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 다.

특히 배출원이 여러 군데 있을 경우 설치 장소의 유무에 따라 소규모 처리 장치를 여러 군데 설치할 수도 있겠고, 아니면 배출원들을 하나의 덕트로 연결시켜 하나의 큰 처리 장치로 처리할 수 있다. 우 리나라처럼 땅이 비좁은 상황에서는 지붕이나 옥상에 설치 가능한 방법들이 선택에 있어 우선이 될 수도 있다.

유지관리를 하는데 있어 시간적, 기술적 요건 또 연간 소요되는 비용 또한 꼭 검토해야 될 사항이다. 소각의 경우에는 보조연료 소모량 및 내화물 교체 빈도, 흡착탑이라면 흡착제의 용량 및 교체 시기, Scrubber 의 Chemical 소모량 또 촉매를 쓸 경우 촉매의 수명 및 교체 비용 등이 비교 검토되어야 한다.

  

  

  

  

  

  

[그림 1] VOC 농도 및 유량에 따른 경제적인 처리방법 비교표

[그림 1]은 처리가스가 할로겐 화합물이나 촉매독 또 다량의 분진을 함유하지 않는다는 조건 하에서 단순히 VOC의 농도와 처리 또는 회수 가스 유량만을 고려할 때 경제적인 처리방법을 대략 나타낸 비교표이다.

A 지역 (저농도 저유량)

Afterburner (직화식 소각) 또는 Biofilter

B 지역 (고농도 저유량)

석유화학 제품 또는 원료의 저장 탱크로부터 탱크 내에 포화되어 있는 공기가 누출되거나 제약 또는 화학공장의 반응기로부터 누출되는 용제 함유 공기를 처리하는 한 예로서 Condensation (냉각응축 회수)법이 주로 이용된다.

C 지역 (저농도 고유량)

도장공장의 Spray Booth 등에서 포집된 폐가스와 같이 극히 저농도의 가스를 다량 처리할 필요가 있을 때는 Zeolite Wheel 또는 Carbon Fiber Wheel을 사용하여 가스농도를 10배 내지 20배 농축시킴과 동시, 유량은 1/10 또는 1/20으로 축소시킨 후 그 뒤에 촉매소각이나 축열식 소각 (RTO) 등으로 처리한다.

D 지역 (고농도 고유량)

자동차나 플라스틱 도장 공장 등의 오븐 및 도장 부스에서 포집된 폐가 스와 같이 VOC 양을 어느 정도 함유하고 있을 때는 그 VOC가 갖고 있 는 열량을 이용하는 방법도 경제적일 수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 Recuperative Oxidation이나 아니면 Regenerative Oxidation (축열식 소각) 방법으로 에너지 소모를 줄이면서 VOC 처리도 완벽히 할 수 있다.

E 지역

이 지역에서는 VOC 농도가 100 ppm 미만일 때는 Biofilter가 유지비가 작다는 점에서 볼 때 가장 경제적이겠으나, 경우에 따라서 촉매 이용이 가능하다면 촉매소각도 경제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또한 극히 저농도 의 경우 흡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경제적이다.

   

원본 위치 <http://www.devocs.co.kr/n/vocs_care.htm>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존산화시설  (0) 2016.06.27
Thermal Oxidation  (0) 2016.06.27
도료  (0) 2016.06.26
질소산화물 처리를 위한 선택적 비촉매(SNCR) 처리방식의 성능향상 기술  (0) 2016.06.26
멜라민  (0) 2016.06.26

아황산가스와 먼지 오염도는 LNG등 청정연료의 공급으로 국내 환경기준 달성 및

세계보건기구 권고수준으로 개선

서울의 SO2오염도는 '88년 0.062ppm → '98년 0.008ppm(기준 0.03ppm) 으로,

먼지는 '88년 179㎍ → '98년 57㎍으로 개선(기준 150㎍)

그러나 자동차의 급증('88년 204천대 → '98년 1,047만대), VOC 배출량 증가 등으로

오존오염도는 증가추세(서울 '88년 0.009 → '98년 0.017ppm)

오존주의보 발령현황(수도권 지역)

'95년 : 2회, '96년 : 11회, '97년 : 23회, '98년 : 35회

오존단기기준초과횟수(수도권 지역)

'96년 : 194회, '97년 : 323회, '98년 : 384회

오존환경기준

8시간 평균치 : 0.06ppm이하

1시간 평균치 : 0.01ppm이하

악취로 인한 민원증가(시화 지역)

'96년 : 58건, '97년 : 118건, '98년 : 424건

→ 1996년 여천석유화학단지에서 석유정제 및 석유화학제품 제조과정에서 공정중에 휘발성유기

화합물질이 배출되어 주민들의 악취오염 호소등 큰 민원을 발생시킨 바 있으며,

1997년 시화지역 악취민원의 원인중 상당부준이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배출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원본 위치 <http://www.devocs.co.kr/n/vocs_pol1.htm>

'관련규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M standards  (0) 2016.06.27
PM standard  (0) 2016.06.27
휘발성유기화합물 규제 내용  (0) 2016.06.27
휘발성유기화합물 배출시설의 종류 및 규모  (0) 2016.06.27
벌칙 규정  (0) 2016.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