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ket Option
소켓을 사용하다 보면 옵션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책에서 나오는 예제를 보면 가장 처음에는 send, recv buffer 크기 변경하는게 나오더 군요.
하지만 더 많죠. 거기에 대해서 블로깅 하겠습니다.
소켓의 기본적인 특성
1. 입, 출력 버퍼의 크기
2. 데이터 전송 방식(TCP, UDP)
3. TTL(time to live)
소켓의 옵션은 일반적으로 변경이 가능 하지만 참조만 허용하는 옵션도 존재한다.
소켓 옵션 설정하기
소켓 옵션 얻기
일단 소켓 옵션 사용하는 것은 아래와 같은 함수를 사용합니다.
인자를 설명하자면 소켓, 변경할 옵션의 프로토콜 레벨, 변경할 옵션 이름, 변경할 옵션의 값을 저장한 버퍼, 전달하는 옵션의 바이트 단위 길이.이렇게 5개가 되네요.
소켓 옵션은 크게 세 개가 있습니다.
SOL_SOCKET | IPPROTO_IP | IPPROTO_TCP |
소켓에 대한 가장 일반적인 옵션 | IP Protocol의 옵션 | TCP Protocol의 옵션 |
소켓 옵션 - SOL_SOCKET
소켓 옵션 - IPPROTO_IP
소켓 옵션 - IPPROTO_TCP
소켓의 개념
=> 데이터 타입 관점
운영체제가 통신을 위해 관리하는 데이터를 간접적으로 참조할 수 있도록 만든 일종의 핸들
생성과 설정 과정이 끝나면 이를 이용하여 통신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는 간편한 데이터 타입
=> 통신 종단점 관점
소켓은 통신을 위해 필요한 여러 요소의 집합체 (ex. 사용할 프로토콜, 송수신측 IP주소 및 포트 번호)
애플리케이션은 자신의 소켓이 상대방의 소켓과 연결된 것으로 생각하고 데이터를 교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관점
애플리케이션과 전송계층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하며 통신 양단이 모두 소켓을 사용할 필요는 없음
* 윈속 라이브러리 추가
* 소켓 주소 구조체(Socket Address Structures)
- 네트워크 프로그램에서 필요로 하는 주소 정보를 담고 있는 구조체
- 다양한 소켓 함수의 인자로 사용
- 주소 체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존재(TCP/IP => SOCKADDR_IN, lrDA => SOCKADDR_IRDA)
- 기본형은 SOCKADDR 구조체
* SOCKADDR 구조체
- sa_family : 주소 체계를 나타내는 상수 값
ex) TCP/IP 프로토콜 => AF_INET
- sa_data : 해당 주소 체계에서 사용하는 주소 정보
ex) TCP/IP 프로토콜 => IP주소와 포트번호
* 소켓구조체의 특이한 케이스들 (다양한 형태중 많이 쓰는것들만 정리)
1) SOCKADDR_IN 구조체
- sin_addr : 32비트
- in_addr 구조체
2) IN_ADDR 구조
* 소켓 주소 구조체 비교
* 바이트 정렬(byte ordering)
ex) 예전글을 참조한다.
- 빅 엔디안 방식(Big-Endian) : 대소비교가 빠름, 슈퍼컴퓨터나 네트워크 등에 사용
- 리틀 엔디안 방식(Little-Endian) : 산술 연산이 빠름, Intel칩이나 호스트 등에 사용
ex) 원 데이터가 0x12345678이라면...
*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서 바이트 정렬 방식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
- 프로토콜 구현을 위해 필요한 정보
: IP주소 => 빅 엔디안
: 포트번호 => 빅 엔디안
- 애플리케이션이 주고 받는 데이터
: 빅 엔디안 또는 리틀 엔디안으로 통일
* 네트워크 바이트 정렬 => 빅 엔디안 방식을 사용한다.
* 호스트 바이트 정렬 => 시스템이 사용하는 고유한 바이트 정렬 방식(Intel칩 사용으로 주로 리틀엔디안방식)
* 바이트 정렬 함수(유닉스 호환)
* 바이트 정렬 함수(윈속 확장)
* SOCKADDR_IN 구조체의 바이트 정렬 방식
* IP 주소변환 함수
문자열 형태로 IP주소를 입력받아 32비트 숫자(네트워크 바이트 정렬)로 리턴
32비트 숫자(네트워크 바이트 정렬)로 IP주소를 입력받아 문자열 형태로 리턴
출저:http://alisa2304.tistory.com/31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v4, ipv6 (0) | 2016.10.24 |
---|---|
Socket Option (0) | 2016.10.24 |
TCP/IP (0) | 2016.10.24 |
콘크리트 (0) | 2016.10.24 |
드라이크리닝 (0) | 2016.10.24 |
TCP/IP 프로토콜의 구조
* TCP/IP 프로토콜
-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핵심적인 프로토콜은 TCP 와 IP 로, 이를 포함한 각종 프로토콜을 총칭
- 일반적으로 운영체제에서 그 구현을 제공, 일반 application 은 운영체제가 제공하는 TCP/IP 프로토콜의 서비스를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
- 종단시스템간의 통신을 위해 정해진 절차와 방법을 따라야 하는데 그것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한다.
이 프로토콜중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TCP/IP로 일반 어플리케이션(줄여서 App라고 하자)은 OS가 제공하는 TCP/IP 서비스를 사용해 통신을 수행한다.
APP <-> TCP/IP (OS 영역) <-> Router <== 네트워크 ==> Router <->TCP/IP(OS) <-> APP
-TCP/IP 포로토콜의 구조
통신을 수행하는 개체는 종단 시스템과 라우터로 크게 나눌수 있다.
* 종단 시스템(End-System) : 최종 사용자(End user)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주체,인터넷 PC, PDA, 휴대폰 등등의 단말기 즉, 최종사용자( End-User ) 를 위한 Application 을 수행하는 주체
* 라우터( router ) : 종단 시스템이 속한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네트워크-네트워크간의 통신과 종단 시스템을 연결시켜주는 장비.
* 프로토콜 ( protocol )
- 종단 시스템과 라우터간, 라우터와 라우터간, 그리고 종단 시스템과 종단 시스템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정해놓은 절차와 방법
* 대역폭 ( Bandwidth )
- 네트워크에서 대역폭이라는 말은 링크 사이에서 1초 동안에 전송할 수 있는 비트들의 수를 의미한다.
- Application 간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요구조건
- 1)통신할 대상(종단 시스템 자체, 종단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Application )
- 2)상호 약속된 방법(통신규약)
- 3)전송 오류 확인 기능
- 4)오류 발생 시 재전송 기능
- 5)데이터의 순서 관계 유지 등
OSI 7계층과 TCP/IP 4계층
TCP/IP 4계층 분석
1계층: Network Access layer(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 1계층 )
- 물리적 네트워크를 통한 실제적인 데이터 전송을 담당
- 구성요소 : 네트워크 하드웨어, 디바이스 드라이버
- 물리 주소( Physical address = MAC address ) 를 사용하여 통신 수행1
2계층: Internet layer( 인터넷 계층 : 2계층 )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의 도움을 받아, 전송 계층이 내려 보낸 데이터를 종단 시스템까지 전달하는 역할
-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이 필요하며 물리 주소 대신 소프트웨어적으로 정의된 논리 주소를 사용한다. 이를 IP 주소( Internet Protocol address ) 라고 한다.
Routing ( 라우팅 )
- 목적지까지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일련의 작업
- 라우팅을 위한 정보 획득 작업
- 라우팅 정보를 기초로 실제 데이터를 전달( Forward ) 하는 작업
3계층: Transport layer ( 전송 계층 : 3계층 )
- 최종적인 통신 목적지를 지정하고, 오류 없이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
- 라우터
- 통신의 최종 목적지는 해당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그램(프로세스) 인데, 이를 지정하는 일종의 주소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이 포트번호( Port number ) 가 된다.
- TCP/IP 프로토콜에서 전송 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로는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와 UDP( User Datagram Protocol ) 가 있다.
TCP | UDP |
연결형(connection-oriented) 프로토콜 - 연결을 해야 통신 가능 | 비연결형(connectionless) 프로토콜 - 연결 없이 통신 가능 |
데이터 경계를 구분하지 않음 - 바이트 스트림(byte-stream) 서비스 | 데이터 경계를 구분함 - 데이터그램(datagram) 서비스 |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 - 데이터를 재전송함, 순서보장 됨 | 비 신뢰적인 데이터 전송 - 데이터를 재전송하지 않음, 순서 보장 안됨 |
1 대 1 통신(unicast) | 1대1 통신(unicast), 1대다 통신(broadcast), 다대다 통신(multicast) |
4계층: Application layer ( 응용 계층 : 4계층 )
- 응용계층( Application Layer) : 최상위 계층, 사용자 프로세스들이 접속하는 계층,
- 표현계층(Presentation Layer) :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의 표현방식 관리, 암호화, 정보 압축
- 세션계층( Session Layer ) : 두 통신 프로그램간의 데이터 교환을 관리하는 역할.
=>자세히알아보자
네트워크 소켓 프로그래밍
현재 하고 있는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은 TCP/IP 기반의 Socket 네트워크임.
-TCP/IP 포로토콜의 구조
통신을 수행하는 개체는 종단 시스템과 라우터로 크게 나눌수 있다.
* 종단 시스템(End-System) : 최종 사용자(End user)를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하는 주체,인터넷 PC, PDA, 휴대폰 등등의 단말기
* 라우터 : 종단 시스템이 속한 네트워크를 서로 연결시켜주는 네트워크-네트워크간의 통신과 종단 시스템을 연결시켜주는 장비.
이런 종단시스템간의 통신을 위해 정해진 절차와 방법을 따라야 하는데 그것을 프로토콜(Protocol)이라고 한다.
이 프로토콜중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TCP/IP로 일반 어플리케이션(줄여서 App라고 하자)은 OS가 제공하는 TCP/IP 서비스를 사용해 통신을 수행한다.
APP <-> TCP/IP (OS 영역) <-> Router <== 네트워크 ==> Router <->TCP/IP(OS) <-> APP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 순서도-
APP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다양한 요구 조건이 있는데. 종단 통신의 Destination을 지정하는 상호 약속방법, 전송 오류 확인 방법, 오류 발생시 재전송 기능, Data의 순서 관계 유지 등등이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프로토콜에서 제공하며 이로 인해 App에서의 부담을 덜어주고 쉽게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이 가능해진다.
TCP/IP 프로토콜의 구조로
App 계층(Application Layer)(TELNET, FTP, HTTP, SMTP, MIME, SNMP...)
----------
전송계층 (Transport Layer) (TCP/ UDP)
----------
인터넷 계층(Internet Layer) (IP)
-----------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Network access Layer) (Device Driver, Network Hardware)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NAL)은 물리적 네트워크를 통한 실체적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하드웨어와 O/S가 제공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이 구성요소이며 물리적 addr인 Physical address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통신한다.
-인터넷 계층은 NAL의 도움을 받아 전송 계층이 내려보낸 데이터를 종단 시스템까지 보내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는 물리적 addr이 아닌 논리적 addr을 사용하는데 이것이 IP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라 부른다.
IP주소는 물리 주소와 무관하며 전세계적으로 유일성이 보장된다.
IP주소는 통신에 참여하는 종단시스템을 유일하게 지정할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만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려면 전송 경로를 알아야 한다. 이런 경로를 알아내기 위한 라우팅 작업이 필요하며, 이 작업을 담당하는 전용 컴퓨터를 라우터(Router)라고 부른다.
그래서 라우터에 다양한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전송계층은 라우팅을 통해 목적지 종단 시스템까지 도착하였다. 그러나 데이터를 받고 처리할 대상은 물리적 H/W가 아닌 App다.
이 프로세스에게 도달하기 위해 전송 계층에서 이 프로세스를 지정하는 일정의 주소를 사용하며 이를 포트번호(Port Number)라 부른다.
또한 데이터 전송시 손상의 가능성이 있다. 통신은 언제나 왜곡이나 손상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데이터 오염이 발생 할 수 있고, 데이터가 목적지에 도착하지 못했을 경우도 있다. 이런 손실 또는 손상을 검출하여 잘못된 데이터가 목적지 프로세스에게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TCP/IP 프로토콜에서 전송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에 TCP와 UDP가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App layer) : 전송계층을 기반으로 한 다수의 프로토콜과 이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app를 포괄한다.
소켓 네트워크 app도 여기에 포함된다.
-패킷 전송 원리
패킷에는 IP주소,포트 번호, 오류체크 코드, 데이터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한다.
app에서는 data를/ TCP부에서 TCP헤더를 IP부에서 IP를 이더넷에서 헤더+트레일러를 기록한다.
수신은 이 역방향으로 제거해서 얻어간다.
IP는 전세계에서 유일성을 가진다. 다만 호스트의 주소만 가지지 호출될 프로세서는 모른다.
Port넘버는 프로세스간의 nametag같은 기능이라고 보면 된다. (서로 규약된 포트 번호를 통해 data를 판독 사용하게 된다)
Port넘버는 unsinged int(16bit)로 0~65535 까지 사용가능하다.
다만 0~1023까지 이미 occupied 되어 있으니 그 외의 번호를 사용하는게 좋다.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클라이언트/서버는 두개의 app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용어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하면 서버는 이를 받아 처리하게된다. 하나의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두 프로그램간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이 적용될 경우, 두 프로세스간 통신(IPC, Inner Process Communication) 기법을 사용하여 상호 정보를 교환한다.
네트워크로 연결된 두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Server/Client 라면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상호 정보를 교환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시 서로 같이 접속모델을 사용할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는 동시접속으로 인해 교착상태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서버가 먼저 실행되고 클라이언트가 접속을 하게 하게 한다면 이는 구조가 쉽게 처리된다.
이때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IP와 Port번호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하는데 서버는 그럴 필요가 없다.
접속되는 클라이언트가 보내는 패킷에는 클라이언트 주소 정보가 모두 들어있기 때문이다.
서버는 언제든지 이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출처: <http://skmagic.tistory.com/entry/TCPIP-%EA%B0%9C%EC%9A%94>
현대 사회에서 콘크리트의 중요성은 절대적이다. 주위를 둘러보면 주택, 도로, 다리, 초고층빌딩, 댐 등 도처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을 발견할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콘크리트의 영향에서 벗어나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시를 콘크리트 숲이라고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콘크리트란 무엇일까? 콘크리트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시멘트를 알아야 한다. 시멘트는 넓은 뜻으로 물질과 물질을 접착하는 물질을 가리킨다. 따라서 풀이나 아교, 본드, 땜납 등도 근본적으로는 모두 시멘트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토목 및 건축에서 모래나 돌과 같은 골재를 접착시키는 물질을 가리켜 시멘트라 한다. 콘크리트는 시멘트를 결합재로 해서 골재와 골재를 한 덩어리로 만든 것이다.
로마인이 사용한 포촐라나
콘크리트의 기원은 고대 로마에서 찾을 수 있다. 로마인들은 오래전부터 석회와 모래에 물을 혼합한 석회몰탈을 사용해왔다. 그런데 이것은 건조되면 쉽게 부서지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다 기원전 2세기경부터 베수비오 화산 근처 포촐리 지역에서 나오는 화산 회를 석회몰탈에 혼합한 포촐라나를 사용했다. 포촐라나는 수경성
이 좋아 도로, 성벽, 수로, 주택, 궁전 등 로마시대의 많은 구조물에 적용됐다. 이를 사용한 구조물 중 주목할 만한 것은 126년에 완공된 판테온 신전의 돔이다. 돔 안쪽에는 거푸집과 골재의 흔적이 남아 있어 현대 콘크리트의 시초로 추측된다. 콘크리트가 본격적으로 개발된 시기는 18세기 이후다. 1756년 영국의 건축기사 존 스미턴(John Smeaton, 1724~1792)이 점토를 함유한 석회석을 가열하여 수경성 석회를 만들면서 현대 콘크리트의 기초가 열렸다. 그는 영국 남서 해안 에디스톤 등대의 보수에 이 석회를 사용하면서 그 효용성을 입증했다. 1796년에는 영국의 제임스 파커(James Parker, 1780~1807)가 점토질 석회석을 높은 온도에서 구우면 품질이 좋은 시멘트가 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것이 파커시멘트로, 그 색이 로마에서 사용하던 포촐라나와 비슷하다 하여 로만시멘트라 불리게 됐다. 로만시멘트는 영국의 템스 강 터널 공사와 국회의사당 건축에 쓰이게 되면서 유명해졌으며, 포틀랜드시멘트가 발명되기 전까지 널리 사용됐다. |
현대 콘크리트의 시초로 추측되는 판테온 신전의 돔. <출처 : NGD> |
현대 시멘트의 원조, 포틀랜드시멘트
1824년에는 영국의 건축사 조셉 애스프딘(Joseph Aspdin, 1779~1855)이 점토와 석회석을 갈아낸 것을 섞은 뒤 그것을 구워 시멘트를 만들었다. 영국 남부 포틀랜드 섬의 석회석인 포틀랜드 돌과 닮아 포틀랜드시멘트라 불리게 됐다. 포틀랜드시멘트는 최초의 인조 시멘트로 품질이 좋았다. 그러나 때때로 시멘트를 생산할 때 혼합물이 과열돼 단단한 덩어리가 만들어졌고, 쓸모없는 것이라 여겨져 버려지곤 했다. 1845년 아이작 존슨(Isaac Charles Johnson, 1811~1911)은 이 단단한 덩어리를 갈면 가장 좋은 시멘트를 얻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것이 현재에 사용되는 포틀랜드시멘트다. 우수한 품질과 원료를 쉽게 구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포틀랜드시멘트의 제조 방법은 곧 전 세계로 퍼졌고, 이를 결합재로 사용한 콘크리트가 건설재료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존 스미톤이 수경성 석회로 보수한 에디스톤 등대. <출처: Wikipedia> | 콘크리트는 압력에는 강하지만 인장력
과 유연성이 무척 떨어지는 재료다. 그래서 프랑스의 정원사 조지프 모니에(Joseph Monier, 1823~1906)는 콘크리트의 인장력을 강화하기 위해 콘크리트 속에 철근을 넣는 새로운 시도를 했다. 1867년 철망으로 보강한 콘크리트 화분을 만들어 특허를 획득한 모니에는 교량의 아치, 계단, 철도의 턱 등에 철근 콘크리트를 지속적으로 사용해 나갔다. 이후 1887년 독일의 쾨넨(Koenen)과 웨이스(A. G. Wayss)가 철근 콘크리트 구조 이론을 체계화함에 따라 철근 콘크리트는 건축 세계의 주역이 됐으며, 초고층건물의 등장을 가능케 한 원동력이 됐다. 콘크리트는 인장력이 약한 까닭에 균열 또한 쉽게 생긴다. 철근으로 보강한 콘크리트라 할지라도 균열로부터는 자유롭지 않다.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면 콘크리트는 하중
을 받지 못하게 되며, 균열은 점차 발달한다. 균열을 통해 수분이나 염분 등이 들어오면 철근은 부식되고, 구조물의 내구성은 크게 저하된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 PS 콘크리트)는 이러한 단점을 없애기 위한 노력에서 탄생했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말 그대로 하중이 작용하기 전에 미리 하중을 상쇄시킬 수 있는 응력
, 즉 '스트레스를 미리 가해(prestressed)' 만드는 콘크리트다. 이런 생각은 초기의 콘크리트 기술자들에게도 있었으나 이를 실현한 사람은 프랑스의 유진 프레시네(Eugene Freyssinet, 1879~1962)다. 그는 1930년대에 PS 콘크리트 기술을 실용화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전후 복구 과정에서 이 기술을 적용한 교량 건설이 늘어나면서 PS 콘크리트는 급속히 확산됐다. |
한편, 콘크리트의 사용량 증대에 지대한 역할을 한 것은 레미콘이다. 레디믹스트콘크리트(ready mixed concrete)를 줄여서 레미콘(remicon)이라고 한다. 레미콘은 말 그대로 우수한 설비를 갖춘 레미콘 공장에서 시멘트, 모래, 물 등을 '미리 반죽해 놓은(ready mixed)' 질이 좋고 균질한 콘크리트다. 또한, 트럭믹서의 발명은 레미콘의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켰다.
상상 그 이상을 보여주는 콘크리트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됐다. 철근 대신 유리섬유나 탄소섬유 등 각종 섬유재가 들어간 특수 콘크리트가 개발돼 도로나 활주로의 포장 등에 사용됐으며, 일본에서는 LNG 탱크 건설을 위해 초유동 콘크리트를 개발하기도 했다. 최근에는 콘크리트의 특성을 뛰어넘는 콘크리트도 개발되고 있다. 미국 워싱턴 국립건축박물관에는 콘크리트 벽 뒤에 있는 사람이 비치는 반투명 콘크리트가 설치돼 있다. 리트라콘이라 불리는 이 콘크리트는 헝가리 건축가 아론 로손치(Aron Losonczi)가 개발한 것으로 타임지의 '2004년 올해의 발명품'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원리는 광섬유. 다량의 광섬유를 평행으로 정렬해 한쪽에서 빛을 비추면 광섬유를 통해 반대편에 빛이 나타난다. 물이 통해 식물이 자랄 수 있는 콘크리트도 있다. 부피의 약 30퍼센트 정도가 미세한 구멍들로 이루어져 공기나 물이 통하고, 그 구멍을 통해 물이 흡수된다. 물이 있으므로 나무와 풀을 키울 수 있고, 더 나아가 폭우가 내릴 경우 자연스레 물을 흡수하므로 홍수 예방에도 도움을 준다. 게다가 미세 구멍으로 소음 흡수도 가능해 방음벽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물에 뜰 정도로 가벼우면서도 고강도인 콘크리트도 각광받고 있다. 제조 과정에서 기포를 넣거나 가벼운 골재를 사용해 무게를 크게 줄임으로써 초고층빌딩을 짓는 데 유리하다. 보통 일반 아파트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강도는 20~40 메가파스칼(MPa), 반면 초고성능 콘크리트는 100 메가파스칼 이상의 누르는 힘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세계에서 가장 높은 인공 구조물인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의 버즈 칼리파 빌딩은 120 메가파스칼의 초고성능 콘크리트가 사용됐다. 또한,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지진이 나도 건물이 받는 충격이 줄어든다. 가벼우니 콘크리트 운송비용도 당연히 적게 든다. |
세계 최고층 빌딩 버즈 칼리파에는 120메가파스칼의 초고성능 콘크리트가 사용됐다. <출처: (cc) Titoni Thomas at Wikipedia> |
지구를 넘어 우주로 가다
달에 유인기지를 세우기 위한 계획이 진행되면서 건축물을 세우기 위한 방안도 고안되고 있다. 달에는 물이 없기 때문에 보통 콘크리트는 사용할 수 없다. 대신에 달에 있는 토양과 플라스틱 섬유를 녹여 만드는 루나 콘크리트(Lunar concrete)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밖에도 어떤 색깔도 낼 수 있는 콘크리트, 공해물질을 잡아먹는 콘크리트, 쓰레기로 만든 콘크리트 등 과거에는 상상도 못한 콘크리트가 속속 개발되고 있다. 또한, 첨단 나노기술을 이용해 콘크리트의 화학적 성질을 개선시킨 나노콘크리트까지 콘크리트의 개발은 끝이 없다. 초경량·고강도 콘크리트부터 자연환경을 지키는 콘크리트까지, 콘크리트는 어느새 칙칙한 잿빛을 벗어 던지고 우리 곁으로 성큼 다가오고 있다.
- 수경성
석회나 시멘트처럼 물에 의하여 굳어지는 성질 - 인장력
어떤 물체를 잡아당겨서 늘어날 때 발생하는 힘 - 하중
물체에 작용하는 외부의 힘 또는 무게 - 응력
물체가 외부 힘의 작용에 저항하여 원형을 지키려는 힘. 변형력이라고도 함.글 이태식 / 한양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교수
원본 위치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4621&path=|453|489|&leafId=638>
집안 일이 여자의 전유물이었던 예전에는 가장 힘든 집안일 중의 하나가 빨래였을 것이다. 한 겨울에도 많은 식구들의 빨랫감은 어김없이 쌓이지만 더운 물도 마음대로 쓸 수 없었다. 거의 모든 가정에 세탁기가 있는 지금에 와서는 그야말로 옛날 얘기일 뿐이다. 게다가 원한다면 세탁소에 맡겨 건조와 다림질까지 끝낸 옷을 집안에서 편히 받아볼 수 있는 세상이 되었다.
'드라이' 물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뜻
전문 세탁소의 세탁이 가정에서 하는 세탁과 가장 다른 점은 물빨래가 아니라 대개 드라이클리닝으로 세탁을 한다는 것이다. '드라이'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물빨래에 대비되는 말이다. 물빨래가 물과 세제를 사용한다면 드라이클리닝은 드라이클리닝 용제와 드라이클리닝 세제를 사용한다. 의류의 세탁은 몸에서 나오는 분비물, 공기 중의 각종 먼지, 음식물, 색소 등에 의한 오염을 없애는 것이다. 물로만 빨아도 많은 오염은 없앨 수 있는데 이러한 오염은 물에 잘 녹을 수 있기 때문에 물로 없앨 수 있는 수용성 물질들이다. 물은 산소 원자 하나와 수소 원자 둘로 이루어진 굽은 형태의 분자로 이루어져 있다. 산소 원자는 수소 원자보다 전자를 끌어당기는 능력이 크다. 음전하를 띠고 있는 전자가 산소 원자 쪽으로 치우쳐 있고 이러한 산소 원자는 음전하를 띠고 수소 원자는 양전하를 띤다. |
물분자는 극성 분자 |
이러한 전하의 분리가 분자의 구조상 상쇄되어 없어지지 않으므로 물 분자는 전체로 볼 때 큰 이중극자 모멘트
를 갖는다. 이러한 분자를 극성 분자라고 한다. 전하의 분리가 분자의 구조상 상쇄되어 없어지거나, 전자를 끌어당기는 능력의 차이가 거의 없는 원자로 이루어져 있는 분자는 분자 전체로 볼 때 전하를 띠지 않게 되므로 무극성 분자라 한다.
그런데 극성 물질은 극성 용매에 잘 녹고 무극성 물질은 무극성 용매에 잘 녹는다. 우리 주위의 물질 중 극성을 띠고 있는 물질이 많으므로 물은 많은 물질을 잘 녹일 수 있는 좋은 용매가 된다. 오염물질 또한 극성을 띠고 있다면 물에 잘 녹으므로 세탁이 가능하다. 물빨래를 할 때 무극성인 기름때를 제거하기 위해서 비누나 합성세제를 이용한다. 비누나 합성세제는 분자 안에 기다란 무극성 부분과 짧은 극성 부분을 함께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세탁할 때 비누의 무극성 부분이 기름, 유기고분자 등의 때를 둘러싸 물 속에서 미셀
이라는 구조로 분산되어 세탁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비누나 합성세제와 같이 물에 녹기 쉬운 극성 부분(친수성 부분)과 기름에 녹기 쉬운 무극성 부분(소수성 부분)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화합물을 계면활성제라고 한다.
역미셀과 미셀
물 대신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비누 대신 드라이클리닝 세제를
퍼클로로에틸렌 |
드라이클리닝은 물 대신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비누 대신 드라이클리닝 세제를 이용해서 세탁한다. 드라이클리닝 세제가 섞여있는 드라이클리닝 용제가 세탁조 안에 들어가 의류와 함께 회전하면서 세탁이 이루어진다. 극성이 없는 드라이클리닝 용제를 사용하므로 기름 성분의 오염 물질을 녹여 없앨 수 있고, 물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물로 세탁할 경우 물에 의한 섬유의 팽창으로 크기가 줄거나 모양이나 색이 변하기 쉬운 모, 견, 세탁 견뢰도가 낮은 염색물 등의 세탁에 유리하다. 또한 같은 부피의 물과 드라이클리닝 용제의 무게를 비교하면 물이 훨씬 무거우므로 드럼이 돌 때 세탁물이 떨어지면서 가해지는 힘이 물에 비해 매우 작기 때문에 의류의 변형이 적다.
드라이클리닝은 19세기 중반에 한 프랑스 인이 등유가 떨어진 테이블보가 깨끗하게 되는 것을 관찰한 것이 그 출발이 되었다. 초기에 드라이클리닝 용제로 사용한 것은 테레빈유, 벤젠, 나프타 등이었다. |
이러한 용매는 인화성이 커 화재 또는 폭발의 위험성이 있고 사고도 잦았기 때문에 1928년에 이보다 인화성과 악취가 적은 스토다드용제가 개발되었다. 1930년대 중반에 '퍼크로'라고 불리는 퍼클로로에틸렌을 드라이클리닝 용제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퍼크로는 안전하고 불에 타지 않으며 동시에 강한 세척력을 가지고 있어 뛰어난 용제로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퍼크로는 국제암연구소(IARC)에 의해 인체 발암 추정물질로 구분되어 있어 퍼클로로에틸렌을 사용하는 작업장의 노동자가 증기에 노출되어 중독된 사례가 보고되어 있기도 하다. 물빨래 후 사용한 물과 세제는 버리지만 드라이클리닝에 사용한 용제는 필터를 거쳐 정화시켜 재사용하므로 용제가 오염되지 않도록 청결하게 관리해야 한다.
드라이클리닝 용제 안에 분산되어 있는 역미셀
드라이클리닝 용제는 무극성이므로 땀이나 악취 등의 물과 친화력이 강한 수용성 오염은 제거할 수 없다. 수용성 오염을 없애고 세탁 효율을 높이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보통 '드라이소프'라 하는 드라이클리닝 세제이다. 드라이클리닝 세제는 물에서 비누의 작용과 반대로 친수성 부분이 섬유와 오염물질을 향하고 소수성 부분이 용제 방향으로 배열되는 역(逆)미셀
을 형성하여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용제 내에 안정하게 분산된다. 물빨래에서 계면활성제가 하는 역할과 같다.
드라이클리닝의 탈용제 단계에서 빠른 속도로 세탁조를 회전시켜 빨랫감에 남아 있는 용제 를 제거한 후 건조를 시키지만 세탁소에서 받았을 때 특유의 냄새가 나는 것은 용제 성분이 남아서일 수 있으므로 며칠 간 걸어 놓아 냄새가 없어진 후 입는 것이 좋다.
관련링크 : 통합검색 결과 보기
- 이중극자모멘트
전하계 내에서 양전하와 음전하의 분리 정도, 즉 극성에 대한 척도. 이중극자모멘트의 크기=양전하와 음전하 사이의 벡터변위*전하의크기 - 미셀
계면활성제가 물에 녹는 경우 일정 농도 이상이 되면 소수성 부분이 핵을 형성하고 친수성 부분은 물과 닿는 표면을 형성하는 것. - 역(逆)미셀
계면활성제가 유기용매 속에서 만드는 미셀로, 수용액에서와는 반대로 친유기를 바깥쪽으로, 친수기를 안쪽으로 한 형태.글 이화정 / 금옥여자고등학교 교사, 서울과학교사모임
원본 위치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4251&path=|453|489|&leafId=636>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CP/IP (0) | 2016.10.24 |
---|---|
콘크리트 (0) | 2016.10.24 |
리튬이온 전지 (0) | 2016.10.24 |
Relief밸브와 안전밸브의 차이점 (0) | 2016.10.24 |
주요 고무원료 특성 및 종류 (0) | 2016.10.24 |
2011년 4월, 자동차용 전지를 생산하는 세계 최대의 공장이 청주에 세워졌다. 연간 10만대의 자동차에 필요한 리튬 이온 전지를 생산하여 공급하는 규모라 한다. 리튬 이온 전지는 납축전지, 니켈카드뮴, 니켈 수소 전지와 같이 2차전지이다. 2차전지는 방전과 충전을 반복해서 여러 번 사용할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에는 물론, 로봇을 비롯하여 전동용 공구, 전력저장용 장치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2전기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쓰이는 리튬 이온 전지. <출처: gettyimagekorea(좌), (cc) Tennen-Gas at Wikimedia.org(우)>
2차전지 = 충전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전지
전지는 자발적인 화학반응으로 생성되는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이다. 자발적인 화학반응이 진행될 때 전지는 방전(discharge)된다고 표현한다. 1차전지(primary battery)는 완전 방전된 후에는 다시 사용할 수 없어서 버린다. 그러나 2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charge)을 해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충전이란 전기에너지를 전지에 주입하여 방전할 때 일어나는 화학반응을 역으로 진행시키는 작업이다. 따라서 충전이 완료된 전지내부에는 자발적인 화학반응을 일으킬 준비가 완료된 화학물질이 들어있다.
리튬 이온 2차전지의 구성
리튬 이온 전지 역시 다른 전지와 마찬가지로 2개의 전극(+, -극), 분리막, 전해질로 구성되어 있다. +극으로 이용되는 전극물질은 리튬 이온이 쉽게 들락거릴 수 있는 공간을 포함하는 결정 구조(crystal structure)를 지녀야 되고, 산화와 환원이 될 수 있는 금속 이온이 포함되어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금속이온이 포함된 산화물, 인산염 들이 +극에 알맞은 특징을 지니고 있다. 대표적인 +극으로 사용되는 물질로는 리튬코발트산화물(LiCoO2), 리튬철인산염(LiFePO4), 리튬망간산화물(LiMn2O4) 등이 있다. 성질이 다른 금속이온을 첨가하여 만든 복합물질들이 순수한 물질보다 전지의 성능이 우수하다는 연구결과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다.
-극으로 이용되는 전극물질은 금속 리튬, 흑연(graphite)등이 있다. 또한 리튬티탄(lithium-titanate) 결정, 실리콘-흑연 복합물(composite)을 –극으로 사용한 전지들이 개발되기도 하였다. 리튬 금속을 –극으로 사용하면 충/방전을 반복할 때 본래의 전극 모양을 유지하기 힘들고, 그 결과 +극과 접촉이 되면 전지가 망가진다. 흑연 혹은 결정 격자를 가진 물질을 이용하여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도 한다. 충전할 때 결정격자 내에 금속 리튬을 석출하면 –극의 전극 모양을 유지할 수 있고 +극과의 접촉으로 인한 전지 파괴 문제도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나노 크기의 결정을 이용하면 전극면적을 넓히면 충방전의 속도 증가, 에너지 밀도의 상승과 같은 효과가 나타난다. 그렇지만 전극물질이 달라지면, 충방전 속도도 달라지고, 전압과 용량이 변할 수 있다.
전지 내부에는 2개의 전극 외에도 전해질(electrolyte)과 분리막(separator)이 있다. 전해질은 리튬 이온 염(예: LiPF6)을 물이 전혀 없는 유기용매에 녹인 것을 사용한다. 전해질에 물이 있다면 리튬 금속과 폭발적인 반응이 일어나므로 전지를 사용하기도 전에 망가진다. 또, 전기가 통하지 않는 고분자 분리막으로 +극과 -극이 직접 접촉이 되는 일을 막는다. 만약에 분리막이 없으면 +극과 -극이 직접 접촉되고, 소위 말하는 쇼트가 일어나 전지를 사용할 수 없다.
2차전지의 구조.
왜 리튬 이온 전지인가?
리튬을 포함하는 알칼리금속에 속하는 금속들은 쉽게 전자를 잃어 버리고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 금속들이 양이온이 되려는 경향은 유사하며, 정량적인 단위로 표시하면 약 -3볼트(voltage) 정도가 된다. 그러므로 적절한 +극과 짝을 이루어 전지를 구성한다고 3볼트 이상의 전압을 얻을 수 있다. 왜냐하면 전지의 전압은 두 개의 전극(+, -극)이 나타내는 전압의 차이(difference)이기 때문이다. 보통 전지의 전압은 기껏해야 약 1.3-2볼트 정도이지만, 리튬이 포함된 전지는 3볼트 이상의 전지를 만들 수 있다. 더구나 리튬 이온은 다른 금속이온에 비해 작고 가볍다. 리튬 이온은 크기가 다른 알칼리금속이온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전극물질이 구성하고 있는 격자 사이로 이동하는 것도 수월하다. 또한 가벼운 리튬 이온을 활용하면 단위 무게당 큰 에너지(에너지 밀도)를 얻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다른 알칼리금속 보다 리튬을 선호하는 것은 이런 이유이다.
리튬 이온 전지는 휴대폰, 노트북 등 디지털 기기에 두루 쓰인다. <출처: (cc) solomon203 at wikimedia.org(좌) Kristoferb at wikimedia.org (우)>
충·방전할 때 리튬 이온의 이동방향
필요한 장치에 전지를 연결하면 전지 내부에서는 자발적인 화학반응, 즉 방전이 시작된다. 이때 –극에서는 전극물질에 포함된 리튬 금속이 산화되어 리튬 이온이 생성되는 산화반응이 자발적으로 일어난다. -극에서 리튬 이온과 함께 생성된 전자는 전선을 통해서 +극으로 이동하고, +극의 전극물질에 포함된 금속이온을 환원시킨다. 그 결과 전해질 속의 리튬 이온이 +극으로 흡수된다. 금속이온이 환원되어 줄어드는 +전하의 양 만큼 리튬 이온(+1의 전하를 띠고 있다.)이 채워지면서 보충되는 것이다. 이때 리튬 이온은 +극으로 사용되는 층간 삽입(intercalation) 물질 사이 사이로 들어간다. 반면에 충전할 때는 +극에 포함된 금속이온이 산화되고, 그 결과 증가하는 +전하의 양만큼 리튬 이온이 +극으로부터 방출된다. -극에서는 리튬 이온이 환원되어 리튬 금속이 되면서 본래의 –전극 물질 상태로 되돌아 간다.
향후 전기 자동차의 증가로 리튬 이온 전지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한다. 사진은 리튬 이온 전지를 사용하는 자동차에 탄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
전망과 기대
향후 전기 자동차용 리튬 이온 전지 시장 규모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지를 구성하는 +극, -극, 분리막, 전해질 등 모든 구성요소의 성능이 최대로 발휘되는 설계와 제조가 있어야 우수한 성능을 지닌 전지를 만들 수 있다. 리튬 이온 전지를 둘러싼 산업계의 시장 점유율 경쟁 못지 않게, 새로운 개념이나 물질의 전지를 만들려는 연구열기 또한 뜨겁다. 전지에 필요한 각종 원천기술, 재료 연구와 개발에 참여한 과학기술자들이 흘린 땀과 노력에 걸 맞는 부와 명예가 돌아가길 바래본다.
글 여인형 / 동국대 화학과 교수
서강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 화학과 교수이다. <퀴리 부인은 무슨 비누를 썼을까?>를 썼고, <화학의 현재와 미래>를 대표 번역하였다.
원본 위치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contents_id=5638&path=|453|489|&leafId=636>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콘크리트 (0) | 2016.10.24 |
---|---|
드라이크리닝 (0) | 2016.10.24 |
Relief밸브와 안전밸브의 차이점 (0) | 2016.10.24 |
주요 고무원료 특성 및 종류 (0) | 2016.10.24 |
에어벨브 공압 기호 (0) | 2016.10.24 |
Relief밸브와 안전밸브의 차이점
# Relief밸브와 안전밸브의 차이점#
1. Relief valve
-.액체의 취급시 사용
-.배출된 액체는 저장tank와 펌프 흡입측으로 되돌리지며 직접 밖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밸브 개방은 초과 압력의 증가량에 비례한다.
-.설정압력에서 개방되며 25%과압에서 완전개방,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복귀되면 닫힌다.
-.설정된 압력 바로 밑에서 작동되도록 사용자 압력을 조정해서 사용한다.
-.펌프의 순환배관상에 설치되는 밸브다.
-.펌프의 체절압력 미만의 압력에서 개방, 작동한다.
2. 안전밸브
-.스팀,가스,증기의 취급시 사용된다.
-.설정압력 초과시 순간적으로 완전개방및 POP ACTION을 한다.
-.과압이 제거된 후 밸브는 설정압력보다 4%낮게 재설정된다.
-.보통밸브는 4%의 BLOW DOWN을 지니고 있다.
-.배압(back pressure)의 영향에 따라 두가지로 나눈다.
1)conventional spring type
2)balanced type(Bellows type, Piston type)
3. Safety Relief valve
-.액체, 기체 취급시 사용한다.
-.중간정도의 속도로 개방한다.
구분 | 작동형태 | 용도 |
안전밸브 | 순간적으로개방 | 스팀,공기,가스 |
Relief밸브 | 압력증가에 따라 서서히 개방 | 액체 |
Safety-Relief밸브 | 중간정도 속도로개방 | 가스, 증기및 액체 |
>안전변(safty valve)와 릴리프밸브(relief valve)가 서로 다르다고 하네요..
>
> 구조하고 쓰임새가 어떻게 다른지 설명좀해주세요
>
1. 안전밸브의 유형별 구분
(1) Relief Valve
작동형태가 압력증가에 따라 서서히 개방되는 Valve로서 액체에 이용된다.
(2) Safety Valve
작동형태가 순간적으로 개방되는 것으로 스팀, 공기, 가스에 이용된다.
(3) Safety Relief Valve
Relief valve와 Safety 밸브의 중간정도의 속도로 개방되는 밸브로 가스, 증기, 액체에 이용된다.
2. 안전밸브 종류별 특성
(1) Relief Valve
가. 액체의 취급시 사용된다.
나. 배출된 액체는 저장탱크와 펌프 흡입측으로 되돌려지며, 직접밖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다. 밸브 개방은 초과압력의 증가량에 비례한다.
라. 설정압력에서 개방되며 25% 과압에서 완전개방,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복귀되면 닫힌다.
(2) Safety Valve
가. 스팀, 가스, 증기의 취급시 사용된다.
나. 설정압력 초과시 순간적으로 완전개방 및 Pop action을 한다.
다. 과압이 제거된 후 밸브는 설정압력보다 4% 낮게 재설정된다.
- 보통밸브는 4%의 blowdown을 가지고 있다.
라.배압(backpressure)의 영향에 따라 두가지가 있다.
i) Conventional spring type
ii) Balanced type (bellows type, piston type)
(3) Safety Relief Valve
가. 액체, 기체 취급시 사용된다.
나. 개방압력이 중간정도 이다.
1. 안전변
안전변의 설정압력은 대기압을 기준으로 하는 게이지 압력으로 표시하는데(대기압 = 0), 이는 대부분의 안전변 정지 배압이 대기압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정지 배압이 대기압보다 큰 경우, 냉각 상태에서의 시험에 의해 결정되는 스프링 설정 압력(Spring Setting)과 정지 배압의 합이 안전변의 실제 설정 압력이 됩니다. 즉 안전변의 스프링 설정 압력이 100 kg/cm2g 이고 정지 압력이 3 kg/cm2g 인 경우, 안전변이 실제로 작동하는 압력은 103 kg/cm2g입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정지 압력이 변하는 경우에는 안전변의 작동 압력이 일정하지 않아 안전변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으므로, 일반 안전변 대신에 주름관(Bellow) 형식의 안전변을 사용합니다. 주름관 형식 안전변은, 안전변의 판봉(Disk Stem)을 주름관으로 싸서, 판의 뒷면에 배압이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배압의 영향을 받지 않고 단지 판 전면에 작용하는 압력 용기의 운전 압력에 의해서만 작동되도록 제작한 안전변입니다.
안전변의 배압은 정지 배압(Superimposed Back Pressure)과 운전 배압(Built-up Back Pressure)의 2가지로 분류되며, 안전변의 배압은 안전변의 설정 압력(Set Pressure)과 용량(Capacity)에 영향을 미칩니다.
정지 배압이란 안전변이 닫혀 있는 상태에서 걸리는 배압으로, 안전변의 설정 압력에 영향을 미치며, 운전 배압이란 안전변이 증기를 배출하는 상태에서 배출 계통의 마찰 손실에 의해 걸리는 배압으로, 안전변의 용량에 영향을 미칩니다.
대기 중으로 단독 배출하는 경우의 정지 배압은 대기압이지만, 여러 개의 안전변이 하나의 공통 배관을 통해 배출되는 경우, 다른 안전변이 작동 중일 때의 정지 배압은 대기압보다 커지며, 또 배압이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한가지 유의할 점은, 안전변의 배압은 제작자의 공급 범위인 안전변 출구 프랜지(Flange)에서의 배압을 의미하지, 토출 곡관(Discharge Elbow) 출구 배압을 의미하진 않는다는 것을 유의해야 합니다.
1) 안전변의 작동 압력 ( OPERATING PRESSURE)을 결정하는 것은 3가지 압력조건이 있으며 이것은 안전변의 작동이 3가지로 구분하여 작동된다는 의미임.
( 제1단계) 취시압력 단계
LINE의 압력이 일정압력(설정압력)이 되면 안전을 위해 안전변이 열리기 시작하는 작동을 하여야 함.
→ 취시압력 ( 불기시작하는 압력: BLOW START PRESSURE)
* 이것은 설정압력 ( SETTING PRESSURE ) 과 동일함
( 제2 단계) 취출압력 단계
안전변이 작동하여 압력이 빠져나가도록 작동하는 최대압력
→ 취출압력 ( 안전변에서 빠져나가는 압력 : BLOW OUT PRESSURE)
* 상기 취시압력의 1.1 배 이하의 압력까지만 빠져나감
( 제3단계 ) 취지압력 단계
안전변이 작동하여 압력이 빠져나가면 LINE 의 압력이 떨어지므로 안전변을 닫아야 하는 작동을 함
→ 취지압력 ( 안전변이 압력을 빼는 것을 멈추는 압력 BLOW STOP PRESSURE )
* 상기 취시압력의 0.8배이상시 안전변의 작동 정지 함
2. 릴리프밸브(Relief valve)
- 액체의 취급시 사용
- 배출된 액체는 저장tank와 펌프 흡입측으로 되돌리지며 직접 밖으로 배출되지 않는다.
- 밸브 개방은 초과 압력의 증가량에 비례한다.
- 설정압력에서 개방되며 25%과압에서 완전개방, 압력이 설정압력으로 복귀되면 닫힌다.
- 설정된 압력 바로 밑에서 작동되도록 사용자 압력을 조정해서 사용한다.
- 펌프의 순환배관상에 설치되는 밸브다.
- 펌프의 체절압력 미만의 압력에서 개방, 작동한다.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라이크리닝 (0) | 2016.10.24 |
---|---|
리튬이온 전지 (0) | 2016.10.24 |
주요 고무원료 특성 및 종류 (0) | 2016.10.24 |
에어벨브 공압 기호 (0) | 2016.10.24 |
Zeolite (0) | 2016.10.24 |
주요 고무원료 특성 및 종류
고 무 종 류 |
| 천연고무 | 합성천연고무 | 스티렌고무 | 부타디엔고무 | 클로프렌고무 | 부틸고무 | 니트릴고무 | 에탈렌프로팔렌 | 하이팔론고무 | 아크릴고무 | 우레탄고무 | 실리콘고무 | 불소고무 | 다황화 |
(ASTM약호) |
| (NR) | (IR) | (SBR) | (BR) | (CR) | (IIR) | (NBR) | (EPM.EPDM) | (CSM) | (ACM,ANM) | (U) | (Si) | (FPM) | (T) |
화 학 구 조 |
| Polysoprene | Polysoprene | Styrene-Butadiene | Polybutadiene | Polychloroprene | Isobutylene-Ilsoprene | Acrylonitrile | Etylene-Propylene | Chlorosulfonated | Polyacrlate | Polyurethane | Polysiloxane | Fluorinated | Polysulfide |
|
|
|
| Copolymer |
|
| Copolymer | Copopymer Butadiene | Co(ter)polymer (-diene) | Polyetylene |
| diisocyanate |
| hydrocarbon |
|
특 징 |
| 소위 가장 고무다운 강성을 가진 것.내마모성등 기계적 성질이 좋다 | 천연고무와 거의 같은 성질을 가지며 안정하다 | 천연고무보다 내마모성·내노화성이 좋다.값이 NR 보다 싸다 | 천연고무보다 강성이 좋고 내마모성도 좋다 | 내구성·내오존성·내열성·내약품성 등 편균된 성질이 있다 | 내구성·내오존성·내가스투과성이 좋고 극성용제에 견딘다 | 내유·내마모· | 내노화성·내오존성·극성액체에 대한 저항성, 전기적성질이 좋다 | 내노화성·내오존성·내숙성·내약품성·내마모성 | 고온내유성이 좋다 | 기계적강도가 특히 우수하다 | 고도의 내열성과 내한성을 가지고 있다.내유성도 좋다. | 최고의 내열성과 내약품성을 가지고 있다 | 고도의 내유성이 있으며 내온존성, 전기적성질도 좋다 |
|
|
|
|
|
|
|
| 내노화성이 좋다 |
|
|
|
|
|
|
|
순고무의성질 | 비중 | 0.92 | 0.92-0.93 | 0.93-0.94 | 0.91-0.94 | 1.15-1.25 | 0.91-0.93 | 1.00-1.20 | 0.86-0.87 | 1.11-1.18 | 1.09-1.10 | 1.00-1.30 | 0.95-0.98 | 1.80-1.82 | 1.34-1.41 |
| 무우니점도 ML+4(100℃) | 90-150 | 55-90 | 30-60 | 35-55 | 45-120 | 45-75 | 30-100 | 50-150 | 30-55 | 45-60 | 25-60 또는 액장 | 액장 | 65-180 | 25-50 또는 액장 |
배합고무의 물리적 성질및 내성 | 가능한 KS | 10-100 | 20-100 | 30-100 | 30-100 | 10-90 | 20-90 | 15-100 | 30-90 | 50-90 | 40-90 | 60-100 | 30-90 | 50-90 | 30-90 |
| 인장강도(㎏/㎠) | 30-300 | 50-200 | 50-200 | 20-200 | 50-250 | 50-150 | 50-250 | 50-200 | 70-200 | 70-120 | 200-450 | 40-100 | 70-200 | 30-150 |
| 신장률(%) | 1,000-100 | 1,000-100 | 800-100 | 800-100 | 1,000-100 | 800-100 | 800-100 | 800-100 | 500-100 | 600-100 | 800-300 | 500-50 | 500-100 | 700-100 |
| 반발강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인장강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내마모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내출곡구제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내한성(℃) | 120 | 120 | 120 | 120 | 130 | 120 | 130 | 150 | 150 | 180 | 80 | 280 | 300 | 80 |
| 최고사용온도 |
|
|
|
|
|
|
|
|
|
|
|
|
|
|
| 내성 | -50∼-70 | -50∼-70 | -30∼-60 | -73 | -35∼-55 | -30∼-55 | -10∼-20 | -40∼-60 | -20∼-60 | 0∼-30 | -30∼-60 | -70∼-120 | -10∼-50 | +10∼-40 |
| (산화온도℃) |
|
|
|
|
|
|
|
|
|
|
|
|
|
|
| 내노화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내광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내오존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내염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전기절연성(Ω.㎝) | 1010∼1014 | 1010∼1011 | 1010∼1013 | 1011∼1016 | 1016∼1018 | 1016∼1018 | 102∼1010 | 1012∼1014 | 1014 | 108∼1010 | 109∼1012 | 1011∼1016 | 1011∼1012 | 1013 |
| (체적고유저항) |
|
|
|
|
|
|
|
|
|
|
|
|
|
|
| 내가스투과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내방사선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배합 고무의 내유 내용 제성 | 가솔린·경유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벤젠톨루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트리클로로에틸렌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알코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테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케톤(MEK)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틸아세테이트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배합 고무의 내산성 내알카 리성 | 수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유기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고농도무기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저농도무기산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고농도알칼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저농도알칼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 용 도 |
| 자동차(특히대형자동차)및트랙터용 타이어, 신발, 호스, 밸트, 공기스프링등 일반및공업용고무제품 | 자동차 및 항공기용타이어를 비롯하여 천연고무가 쓰이는 곳에는 거의 대용할 수 있다 | 경용차 타이어 신발, 고무 도포운동용품, 바닥타일, 배터리케이스, 벨트등 공업 및 일반용 고무제품 | 자동차및항공기용타이어, 신발, 방진고무,정미용고무롤,벨트,호스등공업 및 일반용 고무제품,플라스틱기질제 | 전선피복,콘베이어벨트,방진고무, 창고무,접착제, 고무도포 및 기타일반공업용고무제품 | 자동차튜브,타이어가황백(블래더),루핑재,전선피복, | 오일실,가스킷,내열호스,콘베어벨트,인쇄용고무롤,인쇄용고무롤,방적용톱롤등의 각종공업용,내유제품 | 전선피복,자동차용 웨더스트립,창고무, 스팀호스,콘베어벨트 등 | 내숙성,내충성여과,탱크라이닝,옥외용고무도포,내식성패킹,내열내식성 고무롤 등 | 자동차 트란스 미션 크랭쿠샤프트,관계의 패킹이나 실, 밸브 축오일 디플렉터 등 | 공업용롤, 소리드타이어벨트,고압패킹,가프링,다이패등 등의 강력한 힘이 걸리는 용품 | 패킹,가스킷,오일실,공업용롤, 방진고무 등 내열,내한용도의제품 및 전기절연용,의료용등의 실란드,포팅 | 내열,내유,화학 제품성을 필요로 하는 미사일,로켓등의패킹,화학공장의내충패킹,가스킷,다이어프람,탱크라이닝 | 고도의내유성을요구하는호스,패킹,롤등(이상드라이리버)실란드,코킹재,접착제,형취재 (이상 |
출처: <http://www.hansoring.co.kr/technical60.html>
- ◎ 매우뛰어남(EXCELLENT)
- ○ 우수함(GOOD)
- △ 물성의 개량을 위해서는 실험진행이필요(NORMAL)
- X 좋지않음
출처: <http://www.hansoring.co.kr/technical60.html>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튬이온 전지 (0) | 2016.10.24 |
---|---|
Relief밸브와 안전밸브의 차이점 (0) | 2016.10.24 |
에어벨브 공압 기호 (0) | 2016.10.24 |
Zeolite (0) | 2016.10.24 |
보일러관리 (0) | 2016.10.24 |
에어벨브 공압 기호
상진님 : 에어밸브 공합 기호도
http://freeb.egloos.com/1136649
2015-08-10 오전 1:25 - 화면 캡처
에어 실린더 SOL V/V IN // OUT 기호입니다.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lief밸브와 안전밸브의 차이점 (0) | 2016.10.24 |
---|---|
주요 고무원료 특성 및 종류 (0) | 2016.10.24 |
Zeolite (0) | 2016.10.24 |
보일러관리 (0) | 2016.10.24 |
증기보일러 (0) | 2016.10.24 |
Sorption Technology
Sorption Technology | Desiccant dehumidifiers, manufactured by Seibu Giken DST AB
http://www.dst-sg.com/technology/sorption-technology/
2015-07-18 오후 1:03 - 화면 캡처
Sorption Technology | Desiccant dehumidifiers, manufactured by Seibu Giken DST AB
http://www.dst-sg.com/technology/sorption-technology/
2015-07-18 오후 1:03 - 화면 캡처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고무원료 특성 및 종류 (0) | 2016.10.24 |
---|---|
에어벨브 공압 기호 (0) | 2016.10.24 |
보일러관리 (0) | 2016.10.24 |
증기보일러 (0) | 2016.10.24 |
연수설비 (0) | 2016.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