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O care

'북극진동' 교란…20년 새 최악 한파 예고

   

   

A14면1단| 기사입력 2016-12-13 22:10 

ㆍ북극 기온 기록적으로 높아 찬바람 묶는 제트기류 붕괴

ㆍ동북아·북미 강추위 '비상'

   

   

북극의 찬 소용돌이 바람이 올겨울 중위도 지역을 덮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언론들은 이르면 15일(현지시간)부터 이례적인 한파가 닥치고, 중서부 지역 기온이 20년 새 최저 기록을 경신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찬 바람을 북극권에 묶어두던 제트기류가 약해지면서 찬 바람이 북미와 러시아 시베리아, 동북아시아와 북유럽을 덮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1일부터 미국 아이오와, 일리노이, 인디애나 등 몇몇 주에서는 20㎝ 넘는 눈이 쌓였다. NBC 등은 미 중서부 주들과 캐나다 국경에 걸쳐진 5대호 일대에 강추위가 예상된다고 보도했다. 오하이오의 경우 평년 기온보다 25도나 낮다. 캐나다 언론들도 올겨울 이례적인 한파를 예보했다. 미국에서는 2014년 1월 북극 찬 바람이 밀려내려와 한파가 몰아닥쳤다. 기상학자들은 당시와 지금의 기상 상황이 비슷하며, 중위도 지역의 평균기온이 20년 새 최저치로 떨어질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중위도 지역의 이례적인 한파는 북극진동이 교란됐기 때문이다. 북극진동은 북극의 찬 소용돌이 바람이 강약을 되풀이하는 현상을 말한다. 북극진동 자체는 이상 현상이 아니다. 지구가 열대지방에서 남아도는 열을 북극으로 옮기려는 에너지 순환작용의 일부다. 문제는 찬 바람을 가둬두는 제트기류가 기후변화로 붕괴하면서 북극진동의 패턴이 달라지고 북극의 찬 바람이 더 남쪽으로 내려오게 되는 것이다.

   

북극의 찬 공기는 고기압이고 중위도의 따뜻한 공기는 저기압이어서 극지방을 감싸는 제트기류가 생긴다. 그런데 북극이 따뜻해져 중위도 지역과의 온도 차이가 줄어들면 제트기류가 약해진다. 지난달 북극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20도나 올라가는 등 올해 북극은 기록적으로 높은 기온을 보이고 있다. 몇몇 지역에서는 더운 바람이 밀고 올라가고 또 다른 지역에서는 찬 바람이 남쪽으로 내려오는데, 현재는 북극진동이 2개로 조각나다시피 했다. 밀려내려온 북극권의 찬 공기 중 한 덩어리는 러시아 쪽, 한 덩어리는 북미 대륙을 덮고 있다. 기상학자들은 올겨울 북극의 찬 바람이 더 자주, 더 남쪽으로 내려올 것이며 고위도와 중위도의 접경선인 북미와 동북아시아 일대가 영향권에 들어갈 것으로 봤다.

<박효재 기자 mann616@kyunghyang.com>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DSC, TGA

관련기술2016. 12. 12. 15:38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TGA, 열중량분석기  (0) 2016.12.12
열분석결과의 해석, TGA, DSC  (0) 2016.12.12
VOC 제거를 위한 환경촉매 설계  (0) 2016.11.11
촉매연소 기술을 이용한 대기오염 저감 기술  (0) 2016.11.11
활성탄소 섬유  (0) 2016.10.27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DSC, TGA  (0) 2016.12.12
열분석결과의 해석, TGA, DSC  (0) 2016.12.12
VOC 제거를 위한 환경촉매 설계  (0) 2016.11.11
촉매연소 기술을 이용한 대기오염 저감 기술  (0) 2016.11.11
활성탄소 섬유  (0) 2016.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