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액체 | | [1] 액체의 일반적 성질
(1) 기체에 비해 압력이나 온도의 변화에 의한 부피변화가 적다.
(예) 0℃ 물 ☞ 100℃ 물 ; 부피변화 2%
100℃물 ☞ 100℃ 수증기 ; 부피 1600배 증가. 분자간의 거리 -12배 증가
(2) 형체 있고 유동성 있어 그릇의 모양에 따라 모양이 변함.
(3) 분자간의 집합상태가 조밀하여 확산속도가 기체에 비해 느림.
(4) 분자운동 ; 느린 병진운동, 회전운동(액체의주운동), 진동운동. | |
| | (5) 증발과 증발열
(가) 증발 ;액체 표면의 분자 ☞ 외부로 튀어나와 기체로 되는 현상.
* 증발 - 액체 표면에서 일어나고
온도가 높고 표면적이 클수록 증발이 쉽다

| | (나) 증발열 ; 액체 1g를 증발시키는 필요한지.(cal/g)
* mol 증발열 :일정온도에서 1mol의 액체를 완전히
기체로 만드는데 필요한 에너지 (Kcal/mol)
(예) 물의 증발열 : 539 cal/g
물의 mol 증발열 ; 539 cal/g × 18g = 9700 cal/mol
① 비슷한 분자는 분자량이 크면 ; 몰 증발열이 크다
② 비슷한 분자량인 물질 ; 분자간의 인력이 강하면 크다
(즉, 비휘발성이 강할수록 몰 증발열이 크다)
③ 몰 증발열이 크면 b.p가 높다.
| | [2] 증기압과 끓는점
(1) 액체의 증기압 : 밀폐된 용기 내에서 액체를 증발하면 일정시간 경과 후
☞ 액체는 더 이상 증발되지 아니함
① 동적 평형상태 : 액체의 증발 속도 = 기체의 액화속도인 상태
( 외관상 증발이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보임)
② 증기압 ; 동적 평형 상태에서 증기가 나타내는 압력.
※ 증기압 ; 동일 물질 일 때 - 온도 높으면 ☞
증기압 高
동일 온도에서 - 휘발성 크면 ☞ 증기압 高

| | (2) 증기압 곡선 ; 온도와 증기압간의 상관 관계 그래프

| | (3) 액체의 끓음과 끓는점
(가) 끓음 ; 액체를 가열하면 일정온도에 도달 ☞ 액체 표면뿐만 아니라 내부 어느곳에서도
증발이 일어나는 현상
(다) 기준 끓는점 ; 대기 압력이 1atm일때 증기압도 1atm인 온도
※ 몇 가지 물질의 끓는점과 몰 증발열
물질 이름 | 분자식 | 끓는점(℃) | 몰 증발열(kJ/mol) | 수소 | H2 | -252.8 | 0.92 | 메탄 | CH4 | -164.0 | 8.23 | 염화수소 | HCl | -84.9 | 16.40 | 암모니아 | NH3 | -33.4 | 23.50 | 에탄올 | C2H5OH | 78.5 | 39.70 | 벤젠 | C6H5 | 80.1 | 31.30 | 물 | H2O | 100.0 | 40.70 |
| |
|
출처: <http://www.chemmate.com/chem2/4/4-1-2.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