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O care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x 제거용 SCR 기술 현황  (0) 2016.06.26
NOx 처리기술  (0) 2016.06.26
질소산화물 저감기술  (0) 2016.06.26
소각시설  (0) 2016.06.26
소각설비의 다이옥신 제거기술  (0) 2016.06.26

** 질소산화물의 피해 **

NOx가 연소시 배출되는 탄화수소와 더블어 태양광선에 의해 광화학 스모그의 발생원인이 된다. NOx는 1~3ppm만 존재해도 취기를 맡을 수 있으며 호흡기 질환에 의한 면역감소 및 혈중 헤모그로빈과 반응에 의한 메트헤모글로빈 형성으로 산소전달을 방해한다. NO2는  적갈색, 자극성 기체로 NO보다 독성이 5배정도 강하다. 급성 피해로는 눈, 코 자극 및 폐충혈, 폐수종, 폐쇄성 기관지염, 폐렴 등을 일으킨다.

   

** 대기오염 방지기술 (질소산화물 : NOx) **

내용 요약

Thermal NOx :연소용 공기중의 질소와 산소가 고온상태에서 반응하여 NOx가 된다.

이 경우는 온도가 높을수록 발생하기 쉽다.

연소온도가 높고, 연소성에서의 O2가 높고, 또한 고온역에서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이 길수록 많아짐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NOx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은 연소온도, O2농도, 체류시간을 억제하는 것이다. 특히 온도에 대한 경향은 현저하게 나타내며 1600℃ 이상이 되면 NO의 생성은 급격하게 증가한다.

   

Fuel NOx :연료중에 함유하는 질소산화물의 일부가 연소할 때 산화되어 NOx 가 된다.

가스연료중의 질소(N)화합물은 거의 없어, Fuel NOx의 발생도 거의 없다

   

NOx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원리를 적용 한다.

연소 영역에서의 산소농도를 낮게 할 것

고온 영역에서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을 짧게 할 것

연소온도를 낮출 것. 특히 국부 고온영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것

질소 성분이 적게 포함한 연료를 사용

   

첫째 :연료중 질소산화물을 사전에 제거하고 Fuel NOx를 저감하는 연소전 처리 방법(연료 탈질)

둘째 :연소설비 개선과 연소방법 개선 및 변경 등에 의한 연소중 NOx 저감 방법 으로서 저NOx

연소기술이 있으며(LNB, OAP)

셋째 :연소중에 발생된 배기가스중 NOx 저감방법을 적용하는 기술(배연탈질)

이러한 NOx 저감방법중 연소중 저감방법과 연소후 처리방법은 Fuel NOx와 Thermal NOx를

동시에 감소시켜 최종적인 NOx 저감이 가능하다.

    

(1) 연소기술 개선 :

저 NOx 연소기술은 단순한 저과잉공기 연소, 재순환량의 조정이 있으며, 2단 연소, 배기가스 혼합 및 저 NOx 버너 등은 보일러 개조공사를 수반하는 등 폭이 넓다.

스팀주입, 공기예열기 대신 절유기(Eco) 사용

   

(2) 운전조건의 변경에 의한 방법

     과잉공기율 저하(Low Excess Air Firing)

   연소용 공기온도 저하

(3) 배기가스 재순환(FGR: Flue Gas Recir.)

(4) 단계적 연소

(5) 저 NOx 버너

(6) 배연탈질 기술

(7) 선택적 비촉매환원법(SNCR)

   

   

 1) 대기오염 방지기술 (질소산화물 : NOx)

질소산화물은 질소와 산소의 결합상태에 따라 여러종류의 화합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것은 대부분이 NO와 NO2이며 일반적으로 질소산화물(이하 NOx라고 한다)이라고 한다.

보일러 연소설비에서 배출되는 연소가스중의 NO/NOx의 용량비는 90~95% 정도이고, 배기가스중의 NOx는 대부분이 NO이다.

NO는 무색, 무취의 기체이고 물에는 거의 녹지 않는다. NO2는 NO가 대기중에서 산화되어 생성되고, 수분과 결합하여 질산(HNO3)으로 변화된다. NO2의 생성반응은 풍속, 일사량, 기온 등의 기상조건 및 오염물질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NO2는 NO보다도 수용성이고,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적갈색을 띠고 취기가 있다. 대기중에 존재하는  NO2의 발생은 자연발생원과 인공발생원으로 구분된다. 자연발생원은 천둥, 화산의 분화, 박테리아의 활동 등이 대부분이고, 인공발생원은 배출형태에 따라 고정발생원(산업시설), 이동발생원(자동차, 선박, 비행기, 디젤기관차 등) 및 소형발생원(주방, 개별 난방용시설 등)으로 분류하고 황산화물에 비해 발생원의 종류가 다양하다. 연료의 연소과정에서 발생하는 NOx는 다음 두가지의 경로에 의해 생성된다.

   

Thermal NOx :연소용 공기중의 질소와 산소가 고온상태에서 반응하여 NOx가 된다.

이 경우는 온도가 높을수록 발생하기 쉽다.

Fuel NOx :연료중에 함유하는 질소산화물의 일부가 연소할 때 산화되어 NOx 가 된다.

   

고정발생원에 대한 NOx 방지기술로서 연소개선기술은 보일러 노내의 연소조건을 변경하여 NOx 발생을 억제하는 기술로서 불완전연소, 열효율의 저하, 설비의 대형화 등이 문제점으로 되고 있다. 연소개선 기술은 저과잉 공기연소, 2단연소(OAP, OFA), 스팀주입, 공기예열기 대신 절유기(Eco) 사용, 배기가스 재순환 등이 있으며 설비투자가 비교적 적은 것도 있어서 실제 설비에 적용이 가능하며 그 효과는 시설규모, 구조, 사용연료 등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각종의 대책을 조합하면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연료개선으로는 현재 중유에서 황분을 제거하는 중유탈황과 같은 기술이 질소(N)분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기술개발이 되지 않고 있으나 중유탈황 등에서 부수적으로 어느정도 질소가 제거되므로 저유황 연료를 사용하는 것은 NOx 저감에도 효과가 있다. 고정발생원 질소산화물 저감효과는 저 NOx 연소기술로서 20~40%, 배연탈질설비는 무촉매방식이 40~60%, 촉매방식으로는 80% 이상이다.

   

 (가) 질소산화물 생성기구

  (1)  Thermal NOx의 생성

연소용 공기중의 N2와 O2에서 생성되는 NO의 생성기구에 관해서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질소산화물의 생성반응식으로 표기하고 있다.

이것은 Zeldovich 기구로서 알려지고 있다.

   

           N2    +      O              NO    +      N

           N     +     O2              NO     +     O

Thermal NOx의 생성은 연소온도가 높고, 연소성에서의 O2가 높고, 또한 고온역에서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이 길수록 많아짐을 알 수 있다. 여기에서 NOx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은 연소온도, O2농도, 체류시간을 억제하는 것이다. 특히 온도에 대한 경향은 현저하게 나타내며 1600℃ 이상이 되면 NO의 생성은 급격하게 증가한다.

  (2) Fuel NOx의 생성

연료중 질소산화물에서 NOx로서 생성 경로는 다음 두가지에 의한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질소산화물인 NH2, NH3, CN, HCN 등의 중간화합물로 열분해하여 NO가 생성된다.

질소화합물이 분해되어 질소(N) 원자가 방출되어 아래와 같은 반응으로 NO를 생성한다.

             

           N    +     O2               NO    +      O

           N    +     OH              NO     +     H

연료중의 질소산화물은 모두 NOx로 변화하지 않는다. 연료중 질소분이 Fuel NOx의 전환율은 석탄은 6~20%, 액체연료는 30~60% 정도 이다.

   

  (나) 질소산화물의 억제기술

   (1) 발생저감 원리

NOx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본원리를 적용 한다.

연소 영역에서의 산소농도를 낮게 할 것

고온 영역에서 연소가스의 체류시간을 짧게 할 것

연소온도를 낮출 것. 특히 국부 고온영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것

질소 성분이 적게 포함한 연료를 사용

   

   

질소산화물의 억제기술을 대별하면 연료개선, 연소개선에 의한 대책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과도하게 NOx를 저감하고자 하면 먼지, CO 등의 오염물질이 반대로 증가하게 되므로 주의해야 되며, 이들의 NOx 억제 대책을 적용할 경우 다음 사항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시설의 종류, 연료, 운전조건 등

시설이 신설 혹은 이미 설치된 것인지 등의 조건으로 시설변경의 가능여부가 결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NOx 억제 효과도 크게 차이가 난다.

   

  (다) 저NOx 연소기술

화석연료 연소시에 발생하는 NOx 저감 방안으로는

첫째 :연료중 질소산화물을 사전에 제거하고 Fuel NOx를 저감하는 연소전 처리 방법(연료 탈질)

둘째 :연소설비 개선과 연소방법 개선 및 변경 등에 의한 연소중 NOx 저감 방법 으로서 저NOx

연소기술이 있으며(LNB, OAP)

셋째 :연소중에 발생된 배기가스중 NOx 저감방법을 적용하는 기술(배연탈질)

이러한 NOx 저감방법중 연소중 저감방법과 연소후 처리방법은 Fuel NOx와 Thermal NOx를 동시에 감소시켜 최종적인 NOx 저감이 가능하다. 그러나 연소전 처리방법은의 경우 Fuel NOx의 효과적인 저감이 가능한 반면 연소용 공기중에 포함된 질소성분이 고온 연소시에 산화되어 발생하는 Thermal NOx의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종합적인 NOx 저감을 위해서는 결국 연소중 저감방법 또는 연소후 처리방법과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 연료 전처리를 위해 막대한 시설투자와 운전비가 소요되므로 단순한 연소전 처리방법은 아직까지 발전설비의 NOx 저감을 위한 방안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1) 연료 개선

연료의 종류에 따라 질소성분 함유량은 다르며, NOx 배출량도 서로 다르다. 대체로 NOx 발생량은 고체연료〉액체연료〉기체연료의 순으로 연료중의 질소함유량에 비례한다.

가스연료중의 질소(N)화합물은 거의 없어, Fuel NOx의 발생도 거의 없다. 또한

Thermal NOx에 대해서는 연료가 가스이므로 공기과 혼합이 잘되기 쉽고, 연소시간이 액체 및 고체연료에 비해 짧아서 NOx의 생성이 적다. 액체나 고체연료는 연료중의 질소산화물이 함유하고 있어, 연소시간과 화염온도와도 관계하여 NOx 생성량이 많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질소분이 적은 연료를 사용하든지, 고체연료를 액체 또는 가스화하여 사용함으로써 질소산화물의 억제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연료중의 질소성분 함유량

연   료

종   류

질소 함유량

고체 연료

(wt %)

석  탄

코크스

0.7 ~ 2.2

0.6 ~ 1.4

액체 연료

(wt %)

원  유

등  유

경  유

A 중유

B 중유

C 중유

0.03 ~ 0.34

0.0005 ~ 0.01

0.004 ~ 0.006

0.005 ~ 0.08

0.08 ~ 0.35

0.2 ~ 0.4

기체 연료

(g/N㎥)

액화천연가스

액화석유가스

석탄가스(정제전)

석탄가스(정제후)

Trace

Trace

1 ~ 9

0.02 ~ 0.5

   

  (2) 연소기술 개선

연소기술의 개선방법으로는 운전조건 변경에 의한 방법과 연소방법 변경(연소장치 개조)에 의한 방법이 있다. 운전조건 변경방법은 시설의 개조가 필요로 하지 않고 경제적인 부담이 적은 이점이 있지만 저감효과는 그리 크지 않다.

반면에 연소장치 개조방법은 운전조건 변경방법보다 경제성은 떨어지나 NOx 저감효과는 상대적으로 크다. 저 NOx 연소기술은 단순한 저과잉공기 연소, 재순환량의 조정이 있으며, 2단 연소, 배기가스 혼합 및 저 NOx 버너 등은 보일러 개조공사를 수반하는 등 폭이 넓다. 이들의 저감기술은 대부분 고온영역에서 질소와 산소가 원자 상태에서 결합하여 생성되는 Thermal NOx를 억제하는 방법이다.

   

  (3) 운전조건의 변경에 의한 방법

     과잉공기율 저하(Low Excess Air Firing)

보일러의 연소공기를 감소시키고, 연소영역에서의 과잉공기를 감소시키므로 NOx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대부분의 보일러에서는 과잉공기의 양을 줄임으로 NOx 발생이 줄어 들지만, 미연분에 의한 효율저하에 지장이 없는 공기량의 범위에서 운전되어야 한다.

최소한의 과잉공기로 운전할 때의 조건은 최대 부하에서 모든 버너가 전부 가동될 때 얻어지며, 부하가 변동될 때는 연소의 안정성을 위해 보다 많은 공기량을 필요로 한다. 저과잉공기 연소에 의해 연소 영역의 과잉산소 농도가 1% 감소되면 NOx는 평균 25ppm 정도 감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운전 조건만 만족 시킨다면 저과잉공기 연소는 가장 쉬운 NOx 저감법이 될 수 있다.

   

   연소용 공기온도 저하

일반적으로 보일러의 연소용 공기온도는 250 ~ 350℃ 정도로 운용되고 있으나, 이 온도를 내리면 연소온도가 저하하게 되어 NOx의 생성이 저감한다. 억제 효과는 10% 내외 이나 에너지 손실이 동반한다.

   

연소기술에 따른 NOx 저감율(단위 : %)

                   사용 연료

  연소 기술

  

가  스

유    류

  

석   탄

  

  

  

중   유

경   유

  

운전 조건

변   경

저과잉 공기연소

5~35

0~28

0~24

0~30

  

열 부 하  감 소

10

33

30

45

  

공기예열온도저하

-

5~16

-

-

연소 장치

개   조

저  NOx 버 너

20~40

20~40

20~40

20~50

  

단 계 적 연 소

45~50

25~35

17~44

30~40

  

배기가스 재순환

50

15~30

58

0~15

  

단계적연소 +

배기가스 재순환

76

25~53

73~77

-

   

  (4) 배기가스 재순환(FGR: Flue Gas Recir.)

배기가스 재순환이란 연소로내의 연소영역에 배기가스를 재순환시킴으로써 (연소공기 감소) 노내가스의 유량증가에 따른 열용량 증가에 의해 노내온도를 낮추고 연소영역의 산소농도를 희석시켜 NOx 발생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산소농도의 희석효과 보다는 화염온도 저하의 효과가 크므로  Fuel NOx 보다는 Thermal NOx의 감소 효과가 더 크다. 따라서 Thermal NOx의 저감을 최대한 얻기 위해서는 재순환되는 배기가스를 가능한 한 고온의 연소영역으로 분사시켜야 한다. 또한 이 방법은 Thermal NOx가 지배적인 가스, 경질유 등의 NOx 배출 억제법으로는 매우 효과적이나, 중유, 석탄 등과 같이 연료중에 질소성분이 많은 연료에는 큰 효과가 없다.

배기가스 재순환법을 사용하여도 연소영역으로 공급되는 질소의 절대량은 변하지 않으므로 Fuel NOx에 대한 억제 효과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배기가스 재순환율의 최대값은 연소안정 한계에 의해 제한을 받게 되므로 통상 10 ~ 20%로 하고 있으며 20% 이하로 한정하고 있다.

   

배기가스 재순환 효과 및 영향

사용 연료

가   스

유  류

석   탄

 제어방법/ 범위

 Windbox로 배기가스를 15 ~ 20% 재순환하면서 저과잉 공기연소와

 같이 사용

  

  

 NOx 저감율

평균 약 50%

최대 30%

최대 15%

 운전에 미치는 영향

 재순환율을 높이면 매연, 진동, 화염 불안정 발생 우려됨.

  

  

   

  (5) 단계적 연소

단계적 연소법이란 연료 및 공기를 단계적으로 나누어 공급하여 우선 연료과잉 영역에서는 산소농도 감소에 따른 NOx의 발생 억제 및 N2로서 환원을 촉진시킨후 충분한 공기를 공급하여 완전연소를 함으로써 효율의 저하 없이 NOx의 배출을 억제시키는 가장 대표적인 연소개선법으로 공기를 단계적으로 공급하는 방법과 연료를 단계적으로 공급하는 방법이 있다.

2단연소(Two Stage Combustion : Over Fire Air Injection)

연소공기를 2단계로 나누어 공급하는 것으로서, 1단계(버너)에서 공기비를 1이하에서 연소하고, 2단계(버너 상부에 Air Port를 설치함)에서는 1단계에서의 부족분 공기를 공급하여 완전 연소시키므로 1단계에서의 저과잉공기에 의한 화염온도의 저하로 NOx 발생을 억제한다.

일반적으로 연료의 연소에서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량은 약간 많아진다. 1단계와 2단계의 공기량비는 보통 9 : 1 정도이고, 2단계측의 공기량을 증가시킬 수록 NOx 억제효과는 증가하나 한도를 초과하면 먼지 발생이 많아져 문제가 된다.

결국 이 방식은 1단계 공기비를 저하시키기 때문에 연료중의 질소분이 NOx로 되는 전환율을 저하시켜 Fuel NOx의 저감도 가져온다.

   

Off-Stoichiometric 연소(OSC)

이 방법은 여러개의 버너중 몇 개를 연료과잉의 상태로 운전하고 그 주변의 버너들은 과잉공기 또는 공기만을 공급하여 운전함으로써 단계적 연소효과를 얻어 NOx 저감 효과를 가져온다.

   

   

단계적 연소법(2단연소)의 효과와 영향

사용 연료

가   스

유   류

석   탄

  제어 방법

- 몇 개의 버너 또는 모든 버너를 저과잉공기 (공기비 = 0.85~0.95)

  상태로 운전하고 나머지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OFA Port를

  통해 공급

  

  

  NOx 저감율

45~50%

25~35%

30~40%

 운전에 미치는 영향

 신설설비 적용시에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기존설비에 사용시는 부하

 감소, 화염불안정, 보일러 진동, CO, 매연 증가

  

  

 효율 및 연료 소모에   미치는 영향

  효율 감소 등이 거의 없음

  

 기존설비에는 효율1%

 정도 감소. 신설설비는

 감소 없음.

   사용 범위

 신설 및 기존설비 다수 사용

  

 거의 모든 신설설비에

 적용

   

   

   

   

  (6) 저 NOx 버너

연료와 공기가 혼합하여 화염이 형성되는 부분인 버너의 구조, 버너 팁의 형상 등을 개량한 것이 저 NOx 버너이다. 저 NOx 버너의 개발은 대부분 연료와 공기의 혼합 특성을 조절하여 연소강도를 낮추고 연소초기 영역의 산소농도 및 화염온도를 낮추어 Thermal NOx와 Fuel NOx의 생성을 억제시키는 것이다.

저 NOx 버너는 이미 설치된 장치에 대해서도 비교적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현재 여러 가지 구조의 버너가 개발되어 실용화 단계에 있으며 최대 40% 정도의 저감율을 나타내고 있다.

   

 (라) 배연탈질 기술

배기가스중 NOx를 제거하는 방법은 수용액에 흡수시키느냐 여부에 따라 습식법과 건식법으로 크게 나눈다. 건식법은 주로 NOx만을 제거하고, 습식법은 NOx와 SOx를 동시에 제거한다. 현재까지는 경제성 및 기술의 용이성 등으로 인하여 건식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고 상업화된 공정도 건식법이 대부분이다.

   

건식법(Dry Process)

건식법은 가스중에 환원성 가스를 주입하여 NOx를 환원 분해하기도 하고, 흡착제를 이용하여 흡착 제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 투자비와 유지비가 저렴하며, 공정이 단순하고 NOx 제거 효율이 높다.

- 가스 및 유류 연소보일러에 많은 설치 실적이 있고 폐수처리가 필요 없다.

반면에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다.

- 유입되는 먼지량에 매우 큰 영향을 받으며, 암모니아, NH4HSO4(Ammonium     Bisulfate) 등의 미 반응 물질과 화학반응 물질의 유출 가능성이 있다.

- 고온을 요구하므로 공기예열기 앞에 설치하거나 재가열을 필요로 한다.

- 암모니아 소모가 많다.

현재 여러 가지의 건식법이 개발되고 있으나 여기서는 이들 중 비교적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암모니아 선택적 촉매환원법과 비촉매환원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선택적 촉매환원법(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 SCR)

SCR 공정은 300~400℃ 온도하에서 배기가스와 환원제가 동시에 촉매층에서 접촉함으로서 배기가스내의 NOx를 환원제(NH3)와의 선택적반응에 의해 질소(N2)와 수증기(H2O)로 환원시키는 방법이다. 사용되는 환원제로는 암모니아수(주로 25% 암모니아 용액), 요소(50% Urea 용액) 등이 사용되며 SCR 촉매전단에 주입하여 배기가스중에 분사한다.

SCR 반응기에서 NOx의 저감은 다음과 같은 반응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4NO  +  4NH3  +  O2        4N2 +    6H2O    (1)

     4NH3  +    6NO           5N2   +     6H2O     (2)

   

배기가스중에는 대부분이 O2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1)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NO와 NH3는 1 : 1로 반응하게 되며 NO 저감량 만큼 NH3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배기가스 중에는 전체 NOx중 약 5% 정도가 NO2 성분이며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2NO2  +  4NH3  +  O2        3N2 +    6H2O    (3)

     8NH3   +    6NO2           7N2   +     6H2O     (4)

반응식 (3)에 의하면 NO2 저감을 위해서는 NO보다 2배의 NH3가 필요하지만 배기가스 중에 NO2함량은 약 5% 정도로 작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지 않고 주입한다. SCR은 배기가스의 온도조건, 설치장소의 제한 등에 따라 배기가스 흐름중에 다음과 같이 3곳에 설치할 수 있다.

- 절유기(Economizer)와 GAH(Gas Air Heater) 사이 배기가스는 많은 양의                                                          먼지 포함

- 전기집진기(EP)와 연돌사이    적은양의 먼지포함, 덕트 가스히터 필요함

- 배연탈황설비와 연돌사이  먼지와 SO2가 적으며 덕트 가스히터 필요함

   

탈질촉매와 반응기의 기본형식

배연탈질장치에 사용되는 촉매와 반응기는 다음조건을 구비해야 한다.

- 탈질율이 높고, 장시간에 걸쳐서 안정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을 것

- 부하변동에 잘 적용이 되며 보일러의 운전에 지정을 주지 않을 것

- 2차 대기오염 발생의 우려가 없으며, 장치가 용이하여 사고발생이 적을 것

- 배연탈질장치의 설치비 및 운전비가 적을 것

암모니아를 환원제로 하는 촉매에 의한 탈질과정은 상기 여러가지 조건을 만족할 수 있어 널리 사용하고 있으나 배기가스 성상에 따라서는 먼지에 의한 막힘과 마모, 기타의 마모가 발생될 우려가 있고 탈질장치의 선택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검토가 필요하다.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반응기 형식, 촉매형상 및 구조 원리를 배기가스의 종류에 따라 분류한다.

LNG 연료를 연소하는 경우와 같이 먼지나 황산화물을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은 가스(Clean Gas)의 경우에는 먼지에 의한 촉매층이 막히는 일이 없으므로 입상 촉매를 충진한 관류형의 고정상 반응기가 사용되고 있다.

중유 및 석탄 연소시 배출되는 배기가스중에 먼지와 황산화물을 포함하는 오염된 가스(Dirty Gas)에 대해서는 먼지에 대한 대책으로 전에는 입자상 촉매를 사용한 이동상식 반응기가 채용된 일도 있으나, 최근에는 먼지 퇴적이 적은 병행류형의 고정상식 방응기가 사용되고 있다.

   

   

탈질촉매로서는 촉매성분(활성금속)을 알루미눔, 티타늄 등 표면적이 큰 물질(담체)에 균일하게 부착시킨 촉매 또는 활성금속과 담체물질을 혼합 성형한 촉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활성체로서는 천이금속원소가 쓰이고 있다.

NOx 정화촉매의 활성금속

비금속 원소

(Base Metal)

원자번호

23

24

25

26

27

28

29

30

  

원 소 명

V

Cr

Mn

Fe

Co

Ni

Cu

Zn

귀금속 원소

(Noble Metal)

원자번호

44

45

46

-

75

76

77

78

  

원 소 명

Ru

Rh

Pd

-

Re

Os

Ir

Pt

   

연료의 종류, Ash 함량, 황산화물 농도 및 불순물 농도에 따라 촉매 종류 및 형태가 달라진다. 촉매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로는 온도, 암모니아와 NOx의 몰비(NH3/NOx), 가스속도, 산소농도, 수분량, 가스분포 등이다.이러한 SCR 촉매는 반응성이 좋고 압력강하에 영향을 적게 받으며 SO2가 SO3로서 전환이 적으며 열충격(Thermal Shock)에 영향을 적게 받고, 촉매 교체가 쉽게 설계되어야 한다.

SCR 촉매의 반응온도는 약 320~400℃ 정도의 범위에서 NOx 저감효율이 높으며 촉매의 수명도 연장된다. 불완전연소에 의한 가연성 가스 및 미반응 연료가 배출될 경우 이들이 촉매층에서 연소함으로써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며, 열에 의한 촉매의 손상이 일어날 경우도 있다.

   

  촉매 활성저하 원인 및 과정

연료중에 황(S)성분이 있으면 배기가스중에 SO3가 쉽게 생성되며 생성된 SO3와 암모니아가 반응하여 Ammonium Bisulfate(NH4HSO4)가 생성되며 촉매 표면과 기공에 흡착되어 촉매 덮힘(Masking) 현상과 막힘 현상을 야기하고 열교환기에 부착하어 부식을 일으킨다. 배기가스의 온도가 낮을 경우 탈질율을 달성하기 위해서 촉매의 부피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으며, 운전온도가 촉매의 열역학적 내구성 온도보다 높을 경우 촉매의 활성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게된다. 일반적으로 촉매의 공간속도가 증가할수록 촉매의 부피가 작아지게 된다. 유류중에 바나듐(Vanadium)에 의해 SO2가 SO3로 전환되는 촉매 역할을 하게된다.

SO3는 공정상 주입되는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NH4HSO4와 (NH4)2SO4(Ammonium Sulfate) 등 부산물이 생성될 위험이 있으며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NH3  +  SO+ H2O        NH4HSO4         (1)

     2NH3  +  SO+ H2O       (NH4)2SO4         (2)

낮은 온도의 배기가스는 Ammonium Bisulfate(NH4HSO4)를 생성시켜 촉매의 활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배기가스중 황산화물의 농도가 높을 경우 NH4HSO4 생성 문제는 치명적이다.

배기가스중 SO3는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NH4HSO4를 생성하고, 일부 SO2는 산화되어 SO3로 변형되면서 다시 암모니아와 반응하여 (NH4)2SO4(Ammonium Sulfate)를 생성시킨다.

NH4HSO4는 매우 부식성이 강한 물질로 배기가스 덕트의 부식을 야기시키고 검댕이(Soot) 등에 부착하여 대기로 방출된다.

반면에 (NH4)2SO4는 부식성이 없는 대신 NH4HSO4와 마찬가지로 검댕이 등에 부착되어 촉매의 표면적을 줄이거나 후단설비에 손상을 입힌다. NH4HSO4 생성온도는 대략 200℃ 정도로서  SO3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NH4)2SO4 생성온도는 약 235℃ 정도 이하이다.

그러나 이러한 배기가스 흐름에서의 온도이며 촉매표면이나 촉매 기공에서는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촉매 반응온도를 320℃ 이상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촉매 덮힘(Masking) 현상

분진 성분 또는 황화합물에 의해 활성 촉매표면이 덮히는 현상으로 암모니아와 NOx의 충분한 반응을 방해하며 생성물인 질소가스와 수분의 흐름을 방해한다. 원인으로는 반응기로 유입되는 배기가스 흐름이 균일하지 못한 경우에 발생하므로 반응기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흐름을 균일하게 해야한다.

   

   촉매 막힘현상

촉매 막힘현상은 고체부착물이 촉매의 기공을 막아 촉매 활성을 저하시켜 배기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여 편류현상을 야기하고, 반응기를 통한 압력강하의 증가와 NOx 저감율을 감소시킨다.

   

   화학성분에 의한 촉매 피독현상

연료중에 포함되어 있는 화학성분에 의한 촉매 피독현상으로 원인이 되는 물질로는 나트륨, 칼륨, 비소, 바나듐 등이다. 연료의 하역 도중에 해수가 연료중에 함유되어 반응기로 유입되는 경우 또는 유류 보일러의 경우 SO2 산화를 막기위해 연료첨가제로 산화마그네슘(MgO)를 사용할 경우 이러한 금속성분이 촉매반응기에서 촉매 활성점에 부착되어 활성저하를 야기한다.

   

  온도에 의한 촉매 저하현상

촉매반응기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온도가 촉매 규정치 이상으로 상승하여 높을 경우에는 촉매구조가 변형되어 촉매 활성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현상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촉매의 경우 370℃ 정도에서 시작하여 400℃ 부근에서는 매우 심각해진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는 배기가스 온도가 고온일 경우 제오라이트 촉매를 사용하고 SO2 산화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코팅 알카리금속에 의한 촉매 피독현상을 막기 위해서는 호모제니어스 촉매를 사용하여 온도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수분에 의한 영향

배기가스중에 수분이 있을 경우는 분진, 황화합물 등과 반응하여 부식문제를 야기한다. 수분 발생원으로는 공기중의 수증기성분 , 공기예열기의 세정수 성분, 스팀 분사(Sootblower)의 오류로 인한 응축수성분, 환원제로 암모니아수를 사용하는 경우 암모니아 주입설비의 오류로 인한 성분, 절유기(Economizer) 튜브 누수 등이 있으며 이들 수분성분을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배기가스 흐름에 의한 영향

배기가스 흐름이 균일하지 못할 경우 위에서 언급한 촉매 덮힘(Masking) 현상, 촉매 막힘현상 등을 야기하게 되어 반응기 전체를 통한 압력강하가 증가하게 된다. 이들 현상을 최소한으로 줄이기 위해서는 흐름을 균일하게 하여 반응기안에서 분진 등의 고체 침적을 막고, 촉매의 부식을 억제해야 한다. 촉매층 전단에서 배기가스 유속이 균일하지 않으면 암모니아 흐름 분포가 틀려지기 때문에 높은 NOx 저감율을 얻기 위해서는 흐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해야 한다.

   

 (1) 선택적 비촉매환원법(SNCR)

촉매를 사용하지 않고 870~1200℃ 범위의 온도범위에서 NOx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암모니아 또는 요소(Urea)로 환원시켜 질소와 물로 환원하는 방법으로서 최근에는 반응촉진제를 첨가하여 안정하게 고효율을 얻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NOx 제거율은 50% 이하로 낮은 편이지만 낮은 투자비와 공정의 단순성 때문에 관심을 끌고 있다. 반응기의 기본원리는 다음과 같다.

       4NO  +  4NH3  +  O2        4N2 +    6H2O  

       4NO  +  2CO(NH2)2 +  O2      4N+ 2CO2  +  4H2

   

최초의 상업화 공정은 일본의 가와사키에서 1974년에 설치되어 있으며 현재까지 석탄연소시설 등에 많은 설치 실적이 있다. 이공정은 촉매가 필요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탈질효율이 온도에 영향을 받기쉽고 암모니아 이용율이 낮아 SCR에 비해 고효율을 얻을 수 없고 높은 효율을 필요로 할 경우는 적용할 수 없다. SNCR 공정은 개발된 회사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로 구분된다.

명     칭

개  발  회  사

환  원  제

NOx-Out 공정

Nalco Fuel Tech.

요  소

Thermal De-NOx 공정

Exxon

암모니아

Rapre-NOx 공정

Thechnor

시안(HCN)

   

SNCR은 환원제 이용율이 낮아 SCR의 경우보다 3~4배의 환원제가 필요하며 환원제 저장 및 분사 시스템도 SCR보다 더 커지게 된다. 높은 NOx 저감율(80% 이상)을 얻기 위해서는 SCR을 적용해야 하며 SNCR의 경우는 50% 정도의 NOx 저감율을 얻을 수 있다.  SNCR의 경우 환원제 주입설비로 인한 보일러 내부의 수관벽에 변형이 일어날 수 있으며 보일러 부하변화시 SNCR 온도조건이 변동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선택적 비촉매환원법(SNCR) 설계인자

- 반응온도

선택적 비촉매환원법의 반응온도 범위는 870~1,150℃ 정도이며, 요소 시스템의 경우 최적온도는 1,010℃, 암모니아 시스템은 960℃ 정도이다. SNCR 설계를 위해서는 보일러 내부의 온도분포를 파악하여 SNCR 최적 온도범위의 위치에서 환원제를 분사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반응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NOx 저감율은 감소하며 암모니아 슬립양(NH3-Slip)은 증가하게 되고, 반응온도가 1,150℃ 이상인 경우는 미반응 암모니아가 열분해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보일러 부하가 바뀌는 경우는 보일러 내부의 온도변화를 야기하므로 환원제 주입 위치를 여러 곳에 설치해야 반응온도 변화에 의한 성능저하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있다.

   

- 체류시간(Residence Time)

선택적 비촉매환원법에서 중요한 변수인 반응온도 이외에 중요한 변수로 NOx와 환원제의 반응에 필요한 시간으로 체류시간이 있다. 일반적으로 체류시간 범위는 약 0.25~0.5초 정도이며, 체류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NOx 저감율은 감소한다.

   

- 환원제

SNCR에 사용되는 환원제로는 SCR과 마찬가지로 요소(50%), 암모나아수 등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첨가제로 수소, 탄화수소 등을 사용하여 반응온도 범위를 넓히고 암모니아 스립을 줄이고 부식을 막을 수 있다.

   

- N/NOx 비율

SNCR에 사용되는 환원제 사용량 계산을 위해서는 배기가스중의 NOx와 환원제중의 질소분자에 대한 비(N/NOx 비율)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N/NOx 비율은 2.5이하를 사용하며 대개는 1.0~1.5 범위에서 운전되고 있다.

   

  선택적 비촉매환원법 부산물

선택적 비촉매환원법(SNCR)의 경우 암모니아 슬립양(10~50 ppm)이 SCR의 경우보다 많기 때문에 미반응 암모니아에 의한 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난다.

   

   

- NH3/SO3 반응

미반응 암모니아와 배기가스중의 SO3와 반응하여 NH4HSO4와 (NH4)2SO4를 생성한다

        NH3  +  SO+ H2O        NH4HSO4      

       2NH3  +  SO+ H2O        (NH4)2SO

이 반응은 일반적으로 260℃ 이하에서 진행되며 열교환기에 부착되어 막힘 현상을 야기한다.

   

- NH3/SO2 반응

미반응 암모니아와 배기가스중의 SO2, 수분과 반응하여 NH4HSO4를 생성한다. 이반응은 대기온도에서 진행되며 백색의 연기를 야기한다.

        NH3  +  SO+ H2O  + ½O2        NH4HSO4

   

- NH3/비산재 흡착

전기집진기에서 비산재에 미반응 암모니아 혹은 암모늄염이 흡착되어 재(Ash) 매립문제나 비산제를 시멘트 제조 공정에 재사용할 경우 비산제 성분 변화를 일으킨다.

   

- 일산화탄소(CO)의 생성

선택적 비촉매환원법(SNCR)의 환원제로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 요소중의 탄소성분이 분해되면서 일산화탄소로 약 40ppm 이하 정도 발생된다.

   

  운영상의 문제점

선택적 비촉매환원법에 있어서 가장 고려해야 될 것은 반응하지 않은 암모니아를 조절하는 것이다. 배기가스의 온도가 떨어지면 과잉의 암모니아는 배기가스중의 SO3와 반응하여 NH4HSO4와 (NH4)2SO4는 산성의 접착성 물질로 후단인 열교환기 등에 부착하여 막힘현상 및 부식문제를 유발한다.

   

   

출처: <http://www.energy.or.kr/up_load/iecenter/club00000201_energy/NOx.doc>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x 처리기술  (0) 2016.06.26
질소산화물과 저감 장치  (0) 2016.06.26
소각시설  (0) 2016.06.26
소각설비의 다이옥신 제거기술  (0) 2016.06.26
VOC 제거 기술 동향  (0) 2016.06.26

소각시설

관련기술2016. 6. 26. 12:22

화천군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1. 시설개요

   □ 시설위치 :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논미리 24-1 일원

   □ 시설용량 : 시간당 1,250㎏ (1일 30톤)

   □ 가동시간 : 1일 24시간

   □ 소각대상 : 생활폐기물

   □ 사업기간 : 2000. 7. ˜ 2002. 7,

   □ 공사기간 : 2001. 3. ˜ 2002. 7.

   □ 사 업 비 : 4,025,000,000원

   □ 가동현황 : 정상가동중(준공일 : 2002. 7)

   □ 소각설비 : 한국형 고효율 스토커 방식

   □ 냉각설비 : 수관식 보일러 + 공기예열기

   □ 방지설비 : SDA + 활성탄분무설비 + BH

   □ 재처리설비 : 기밀수조 컨베이어

< 소각시설 조감도>

   

< 소각시설 전경 >

   

   

2. 시설의 특징

1) 소각시설 - 고온열분해 산화방식의 스토커 소각설비

    소각시설의 개요

      폐기물 발생이 다종다양한 국내 현실에 최적인 소각시스템의 완성으로 함수율이 높은 생활쓰레기를 완전연소에 가깝도록 소각처리시키는 자냉형 고효율 연소시스템에 이어 3단연소 제어시스템을 채택, 쎄라믹산화봉을 이용하여 가스산화 연소실 온도를 1100℃ 이상의 고온으로 유지 다이옥신을 산화제거함은 물론 각종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시킨 차세대 한국형 첨단소각설비임.

   

    각 장치의 구조 (System Organization)

   

투입호퍼(Charging opper)

체 절 문(Seal Gate)

투입푸셔(Ram Pusher)

건 조 단(Dry Zone)

연 소 단(Combustion Zone)

후연소단(After Cumbustion Zone)

1차연소실(Primary Combustion Zone)

고온가스산화실(Gas Oxidation hamber)

가스산화봉(OxidationCeramicPole)

2차연소실(Secondary Combustion Zone)

3차 연소실(Thirdly Combustion Chamber)

가스출구(Gas Outlet)

   

< 소각시설 공정도 >

   

설비의 특징(Features)

   

로 내 가스 체류시간

최장 5초 이상 체류

화상 상부 및 2차 공기

내부 온도 및 O2 농도에 따라 가변투입

가스와 공기의 혼합도

1차 및 2차 연소로를 화교 및 가스산화실로 구분

2차 연소로에서 최적 난류형성

로 내 온도

1차 연소실 : 850 ℃

가스산화실 : 1,200 ℃

2차 연소실 : 1,000 ℃

3차 연소실 : 850 ℃

(미연분 및 다이옥신의 완전 산화 파괴)

분진부하 저감

연소가스 중의 분진선회 하강 중력기류 제거 및 가스 안정화

   

2) 통합 배기가스 처리설비

    배기가스처리설비의 개요

      폐기물소각설비의 후단 대기오염방지설비로 분진, SOx, HCl, NOx 및 Dioxin을 동시에 제거하는 통합배가스처리시스템(Integrated Flue Gas Control System)을 확립하여 국산화하였으며, 본 시스템은 반건식세정기, 여과집진기, 탈질 및 다이옥신처리설비의 통합대기오염방지체계(SDR + Bag House + SCR)로 적용되고 있음.

< 배기가스처리 공정도 >

   

    처리원리 및 처리물질

        

항목

반건식 세정기

다이옥신 제거용 촉매

촉매 반응탑

처리기전

흡수 및 흡착

여과

산화환원촉매반응

처리물질

분진, HCl, SOx,

다이옥신, 중금속 등

분진, 반응생성물,

다이옥신, 유해가스 등

질소산화물(환원), 

다이옥신(산화)

적용기술

국내 20여개 소각설비 적용, 미국EEC사

국내 20여개 소각설비 적용, 미국EEC사

덴마크 Haldor

Topsoe A/S

   

처리공정(Process Flow)

                 Over Head Crane           Stoker Incinerator  

                 Ash Conveyor               Waste Heat Boiler

                 Air Preheater                Underfire Air Fan

                 FD Fan(2'nd Air)           SDA

                 Bag House                  ID Fan

                 Stack                        Dust Conveyor

   

   

3. 시설겸증

   

구   분

  

단위

배출기준

화천군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소각용량

  

톤/일

  

30(1250kg/h)

소각대상

폐기물

대상쓰레기

  

  

생활쓰레기

  

가연분

% by wt'

  

33.22

  

불연분

% by wt'

  

10.68

  

수   분

% by wt'

  

56.1

  

저위발열량

Kcal/kg

  

1410

가동시간

  

시간/일

  

24

소각시설

소각로 형식

  

  

자냉형왕복구동형

  

보일러

  

  

수관식

  

가스냉각시설

  

  

폐열보일러

  

  

  

  

공기예열기

  

방지시설

  

  

반건식세정기

  

  

  

  

활성탄분무탑

  

  

  

  

여과집진기

연소가스

(연돌)

매연

2이하

1

  

먼지

mg/Sm3

80(12)이하

7.08

  

SOx

ppm

70(12)이하

19.35

  

NOx

ppm

150이하

60.57

  

CO

ppm

200(12)이하

3.18

  

HCl

ppm

40(12)이하

6.807

  

O2

%

-

12.6

  

유속

m/sec

-

3.7

다이옥신

TEQ 농도

ng/Sm3

5

0.024

연소성

연소효율

%

  

99.99

  

강열감량

%

10%이하

4.7

검증기관

  

  

성능검사

한국기계연구원

  

  

  

다이옥신측정

서울시립대학교

검증일시

  

  

  

2002. 6. 10 ~ 11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소산화물과 저감 장치  (0) 2016.06.26
질소산화물 저감기술  (0) 2016.06.26
소각설비의 다이옥신 제거기술  (0) 2016.06.26
VOC 제거 기술 동향  (0) 2016.06.26
SCR 탈질기술  (0) 2016.06.26

다이옥신의 유해성과

소각설비의 다이옥신 제거 기술

김 명수, GROUPE ATI, mkim@ati-furnace.com

1. 서 론

Dioxin은 염화유기물 가족의 일환으로 거의 모든 연소에서 발생되며 음식물, 물, 땅, 공기, 인체, 자연 어디에서든지 찾을 수 있는 물질로 실지로는 다이옥신 (Dioxins : PCDD) 과 푸란 (Furans : PCDF)이란 두 개의 카테고리를 지칭한다 (본 보고서에서는 편의상 이 두 개의 물질을 그냥 "다이옥신"으로 통합하여 지칭한다).

이들 화학물질은 염소원자의 숫자와 배치에 따라 210개의 여러 모양의 다이옥신으로 존재한다. 이 중 17개만 WHO에 위해 Toxic 한 것으로 취급되고 있고 가장 Toxic한 다이옥신은 2,3,7,8 TCDD (tetra-chlorodibenzodiosins)으로 Seveso 다이옥신이라고도 한다. 다이옥신은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정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 물에는 거의 용해되지 않으나 지방에는 어느 정도 용해되므로 섭취되는 지방과 우유를 통하여 인체에 침투된다. 다시 말해 다이옥신의 주요 오염경로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호흡기관을 통해서가 아니라 음식물의 섭취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Dioxin이야기가 불거진 것은 1976년 이태리북쪽 Seveso에서 제초제 제작 공장내 화학 반응노가 폭팔한 때문으로 당시 1kg 의 다이옥신이 대기로 발생된 사고이다. 이 산업재해는 유럽에 엄청난 공포를 일으켰고 이 이후 Dioxin이 인간과 동물에게 엄청난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소각설비에서 많은 Dioxin이 발생된다고 인식되어 있다. 이 Dioxin 문제 때문에 기존의 소각설비는 재 보강 또는 폐쇄되고 또한 새로운 소각설비를 설치하는데 한편으로는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필자의 회사 같은 소각관련 산업체들은 Dioxin처리 설비 및 화학약품을 추가 판매하므로 보다 많은 이익을 보고 있다.

현대 과학사에서 다이옥신만큼 많은 연구와 투자와 일반의 관심을 불러일으킨 화학물질은 없을 것이다. 그 만큼 이 물질의 발생, 해악, 제거방법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과 해석이 난해하다것을 의미한다. 다이옥신은 정말 유해한가 ? 유럽의 소각설비에서 발생되는 다이옥신에 대한 규제와 관리는 어떻게 발전되고 있는가 ? 소각설비에서 어느 정도의 다이옥신이 발생되고 있고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가 ? 결론으로 다이옥신 처리에 대한 문제점과 제안을 다음의 장들에서 정리하고자 한다.

2. 다이옥신의 유해성과 무해성

2.1 Seveco 사고 후 Dioxin의 유해영향 연구

Seveco 사고 발생 13년 후, Milan 대학의 Bertazzi 교수와 Pesatori 교수팀은 인구가 밀집되어있는 지역내에서 다이옥신에 노출되어 발생된 암에 대하여 1983년부터 연구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1). 연구대상은 0-19세까지의 연령층으로 연구대상지역은 다이옥신에 오염된 토양의 오염농도에 따라 A, B, R 로 나누었다. 2 122명이 가장 오염이 된 A지역에서, 18 115명 이 B 지역에서, 598 236명이 R지역에서 연구대상으로 선별되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A, B 오염지역 내에서의 암 발생 수는 23명으로 갑상선 암을 제외한다면 (인구 20 000 명의 기대치 0.4 보다 높은 2.0) 수치상으로는 암 발생률은 일반적인 정상적인 발생률 보다 높지는 않았다.

핀란드 Tampere에서 열린 "Dioxin 92" conference에서 Atlanta Public Health Service (USA)의 L. Needham 교수는 Seveco의 사고의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다(2). 이 연구는 위의 Pesatori 교수의 연구 영역과 마찬가지로 지역을 A, B, R 로 나누어 지역 배정을 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오직 인체에 의학적으로 문제가 된 것은 A 지역에 사는 특히 어린아이들에게 발생된 Chloracne (여드름의 일종)이었지만 이러한 피부병은 사고시 누출된 다른 화학물질에 의해서도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명확한 근원을 밝혀내지 못하였고 또한 조사대상자들의 혈액, Plasma, Chloracne, 암세포내에 다이옥신이 다량 집약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도 L. Needham 교수도 결론에 "암 발생률이 보다 높아졌다는 확실한 근거가 없다"는 Milan 대학의 Bertazzi 교수의 연구결과를 재인용하였다.

반대로 이 지역에서 기대하지 않았던 사실은 유방암과 자궁암 발생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졌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1977년-1992년 사이 오염된 이 지역에서 탄생한 15,291명의 신생아를 연구 조사한 비엔의 H. Rudiger 교수의 연구결과와 일치된다 (3). 하지만 Seveco 주민들 중 일부는 일반적인 대기 중의 농도보다 약 10,000 배나 높은 농도에 노출되었었다. 15291 신생아 중 malformation 율이 비정상적으로 높다는 것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다이옥신의 유-무해성에 대한 딱 떨어지지 않는 과학적인 해명에 대한 사람들의 불신을 불식시키기 위해 French Sciences Academy는 다이옥신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실행하여 1994년 9월20일에 그의 연구를 공식적으로 발표하였다 (4)(5). 발표한 연구 결과에 의하면 Sveco 사고로 인하여 직접적으로나 또는 간접적으로 사망에 이르게 한 사건이 한 건도 없다는 것과 다이옥신이 뚜렷하게 영향을 미친 유일한 것은 위에서 언급한 Chloracne 이다 는 것이다. 이 보고서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것과는 반대로 현재로서는 다이옥신이 국민건강에 심각한 위험이 된다고 할 수 있는 어떠한 요소도 발견되지 않았다. 인간은 다이옥신에 별로 민감하지 않으며 인체에 접촉되고 있는 다이옥신 량은 매우 소량이다."고 결론 지었다.

2.2 다이옥신의 규제

위 장에서 언급한대로 대부분의 연구결과 (1994년 2000페이지에 달하는 미국 Environment Protection Agency 보고서 포함) 는 다량의 Dioxin은 독성을 가지지만 소량에는 영향이 없다는 것이지만 과학적 근거보다는 Media 와 환경 보호론 자들의 비대해진 국제 여론 때문에 다이옥신은 어쩔 수 없이 유럽폐연규제(Directive 2000/76/EC) 결정에 의해 2000년 12월4일부터 소각설비의 폐연내 Dioxin 발생량은 0.1 ng TEQ/Nm3 로 유럽 전지역에서 관리가 되고 있다. 한가지 덧붙이고 싶은 것은 유럽내에서 소각설비에 대한 다이옥신문제가 거론된 것은 이미 1970년대 말부터이었지만 이의 규제에 대한 찬반 논란으로 소수 북유럽국가들에만 1980초부터 규제에 들어갔으니 실로 20년만 에야 모든 유럽국가들에 적용이 된 것이다.

한국의 경우 1998년 6월 환경부장관의 "짧은" Dioxin 발언으로 졸지에 거센 여론에 밀려 결국 3개월만에 Dioxin을 0.1 ng TEQ/Nm3로 규제하는 법규가 발표되었고 미국의 경우 1999년 12월5일 이후 0.3 ng/Nm3으로 규제를 하고 있고 WHO의 현재 권장 규제치는 유럽의 규제치인 0.1 ng TEQ/Nm3 이며 국제적으로 신규 소각설비에는 0.1 ng TEQ/Nm3을 요구하는 추세이다.

프랑스 경우 환경부의 발표에 의하면 1999년 산업활동으로 발생되는 다이옥신 중 약 30-40%가 폐기물의 소각활동으로 발생된다고 평가하였고 노화된 소각공장의 폐쇄, 폐연처리설비의 점차적 보강에 따라 다이옥신 발생량이 1997년 500 grams TEQ/year에서 2000년 160 grams TEQ/year 로 약 70%가 줄어들었으며 향후 모든 소각설비에 폐연설비를 보강하고 유럽폐연규제치(Directive 2000/76/EC)를 준수하게되는 2005년 12월28일 이면 다이옥신 발생량은 5 grams TEQ/year 이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www.environnement.gouv.fr 참조).

   

  

Concentration in dioxins

Mass or volume flow by 1 ton DW

Flow of doxins

(ng TEQ/kg DW)

Input

Domestic waste

0.09 ng TEQ/g

  

90

Output

Inert ashes

Filtering residue

Scrubber water

chimney

< 0.05 ng TEQ/g

1-10 ng TEQ/g

(average 4)

< 0.5 ng TEQ/l

< 0.1-10 ng TEQ/m3

300 kg

30 kg

200 l

5500 Nm3

< 15

30-300

(average 120)

< 0.1

0.55-55

Total output

여기서 대기방출

  

  

46-370

0.55-55

3. 소각설비로부터 다이옥신 발생 및 제거 기술

3.1 소각설비로부터 다이옥신 발생량

일반 가정폐기물의 처리 전 폐기물 내 다이옥신 함유량은 90 pg/g-dry materiel (0.09 ng TEQ/g) 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6). 표 1은 이를 토대로 프랑스 폐연 규제치 (규제 법규 1991년 1월25일) 를 준수하는 소각장의 다이옥신의 Input - output balance 를 정리한 것이다 (7).

이 표에 의하면 가장 많이 다이옥신이 발생되는 곳은 폐가스 정제분진 (백필터나 전기집진기 분진)으로 1kg 가정폐기물소각에 1,000-10,000 ng TEQ (평균 4,000 ng TEQ) 이 발 생되어 대부분 (60-80%) 의 다이옥신이 (또한 중금속과 함께) 이 분진내에 포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프랑스의 경우 이 분진은 Class 1의 특수 매립장에 사전 안정화 (Stabilization)를 시킨 후 매립되고 있다. 반면 연소재(Inert ashes)와 폐수내에 발생되는 다이옥신은 매우 소량으로 Input 양보다도 적은 양이다.

현재로서 가장 핵심이 되는 다이옥신 문제는 대기로 방출되는 것이므로 본 보고서는 연소가스내 다이옥신의 형성과 제거에 대하여서만 다루고자 한다.

3.2 연소가스내의 다이옥신 발생량

발표된 실험실 연구에 위하면 (7) 일반 폐기물 소각에서 다이옥신은 연소시 650도 이상의 온도에서 모두 파쇄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문제가 되는 것으로 폐연의 냉각시 이 파쇄된 다이옥신이 재형성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다이옥신의 형성은 다음의 두 가지 메카니즘에 의해서 발생된다고 볼 수 있다 ; 연소시 형성(가스단계) 과 냉각시 재형성 (냉각단계).

3.2.1 연소시 형성

연소시 다이옥신은 불완전 연소된 가스의 화합물로부터 발생된다. 이 현상은 폐기물내 유기성염소 화합물의 존재 여하에 직접적으로 연관되어있다. 이렇게 발생된 다이옥신은 2차 연소실의 고온에서 파쇄된다. 파쇄를 완전하게 하기 위하여 유럽폐연규제는 2차연소실의 온도는 적어도 850도이어야 하며 가스의 체류시간은 2초 이상으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가장 독성이 강한 2,3,7,8 TCDD는 온도 1,000도에서 1초 동안에 99.99%가 파쇄되고 있다. 프랑스의 1991년 1월25일 폐연법규는 단지 이러한 "방법"만을 규제하였으나 이젠 새로운 법규에 의해 0.1 ng TEQ/m3 이하라는 "결과"까지 규제 받게 되었다.

3.2.2 냉각시 재형성

"novo synthesis" 라고도 불리는 이 재형성 단계는 연소과정에서 이미 파쇄된 다이옥신으로부터 기인된다. 다이옥신은 다음에서 같은 요건들에 의해 재형성된다;

- 연소분진 내에 포함된 탄소 (carbon) 와 염소 (chlorine)로부터

- 250도-400도 사이의 온도 범위 내에서 (peak 300도)

- catalyzer 역할을 하는 금속성 염화물 (chloride)의 여부 (특히 구리) .

또한 이의 재형성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소들은 ;

- 250도-400도 온도사이에서 기체/고체의 접촉시간.

- 소각노내에 주입한 과도한 산소 량

- 연소 분진 재의 발생 량과 그의 질 (중금속, 불완전연소분진 함유량)

3.3 소각설비로부터 다이옥신 제거

3.3.1 완벽한 연소기술을 통한 다이옥신 제거

위에서 언급한 다이옥신 발생 요소들을 제거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타입의 방법들이 이용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방법은 완벽한 연소로서 이는 연소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3 T 규칙을 준수하는 것이다.

- Temperature ; 연소 온도를 850도 이상 유지하여 다이옥신의 완전 분쇄

- Time of residence ; 충분한 연소 시간을 주어 다이옥신이 완전히 분쇄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연소가스가 고온 (850도 이상)의 2차 연소실에서 2초 이상 유지할 수 있도록 2차 연소실의 면적을 충분하게 한다. 대체로 현재는 2차 연소실을 1,100도 이상으로 유지하고 있는 경향이다.

- Turbulence ; 소각물질들을 잘 섞어 불완전 연소 율을 최대한 낮춘다.

그 외 과도한 산소 주입 량을 피하기 위하여 산소 주입을 제어하는 Pyrolytic combustion 방식을 채택하여 적절한 량의 산소를 주입하고 열 교환기의 용량과 효율을 높여 가스의 냉각시간을 단축하여 다이옥신의 재형성을 최대한도로 낮추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연소기술과 냉각기술을 완벽하게 한다하여도 대략 (평균) 5 ng/m3의 다이옥신이 냉각 설비 후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7). 이 중 3 ng TEQ/m3 은 입자형태이며 나머지 2 ng TEQ/m3은 가스형태이다. 입자형태는 99%이상 제거가 가능한 여러 형태의 분진제거 설비인 필터나 전기집진기로 제어가 가능하지만 가스형태의 다이옥신은 적절한 제거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3.3.2 흡착설비를 통한 다이옥신 제거

활성탄 (active carbon) 이나 lignite coke 또는 bicarbonate 을 연소가스내에 분사하여 다이옥신을 흡착한 후 이를 분진제거 장치로 걷어내는 방법이다. 설비의 설치가 간단하고 투자비가 적게 들기 때문에 필자의 회사를 비롯하여 많은 소각노 제작회사들이 이 방법을 이용하여 다이옥신을 제거하고 있다. 하지만 이 방법을 사용할 시 가장 주의하여할 사항은 온도로서 230도 이상에서 active carbon (또는 lignite coke)을 사용하게되면 carbon이 고온에 의해 연소되어 후단 분진제거 필터에 들어 붙게 된다 (pulverized carbon의 auto-inflammation ; 250 도). 이 경우 필터의 분지제거 효율이 떨어지고 압력손실이 많아 할 수 없이 모든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가장 좋은 효율을 낼 수 있는 active carbon 사용 온도는 190도에서 210도 사이이다.

또한 carbon 은 매우 미세한 분말에 습기에 약하기 때문에 운송되어온 carbon을 건조한 장소에 저장하고 이를 사용하기 위하여 분사 tank에 채우는 작업이 어렵고 분사장치내 막힘 현장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에 특별한 주의와 주기적인 maintenance가 필요하다.

3.3.3 Catalyzer (Selective Catalytic Reaction)을 사용한 다이옥신 제거

catalyzer 는 다이옥신을 직접 파쇄하는 기술이다. 사용되는 catalyzer 는 산화 티타늄이나 바나듐 계이며 산화질소 (NOx)를 낮추는 데에 사용되고 있는 기술이지만 다이옥신을 포함한 유기화합물을 제거하는데도 효과가 뛰어나다. 하지만 산화질소와 다이옥신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해서는 catalyzer의 용량을 늘려야하기 때문에 투자비와 운영비에 대한 부담이 크다.

4. 다이옥신 제거 최적기술디자인과 경험상 문제점

4.1 다이옥신 제거 최적기술디자인

필자의 회사는 유럽폐연규제가 발표되기 전인 1997년부터 다이옥신 제거설비를 설치하고 있다. 현재까지 설치된 설비는 모두 24개로 대부분 0.1 ng TEQ/Nm3이하로 관리를 하고 있으며 다이옥신을 완벽하게 제거하게 위하여 전체 설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물론 다른 제조회사에서도 다른 형태의 자체 모텔이 개발되어 있겠으나 다이옥신의 발생을 낮추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추구하는 기술 design 은 아래와 같다.

4.1.1 Pyrolytic combustion 1차 연소실

폐기물은 소각노에 투입된 이후 초기 10분에서 40분사이 유기물질 대부분의 연소가 이루어지며 이때 탄소를 다량 함유한 유기성 불완전 가스가(CO) 대량 발생한다. 사실 2차연소실은 이때를 기준하여 설계되지 않고 전체 연소기간 (약 2시간)의 평균 가스 발생량을 기준하기 때문에 초기에 발생되는 이 다량의 불완전연소가스는 2차연소실에서 완전처리가 어렵다. 처리되지 않은 연소가스내 organic carbon은 다이옥신을 재형성하는 원천이 된다.

Pyrolytic combustion System은 초기의 다량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낮추기 위하여 폐기물이 연소실로 진입된 후 일정기간 산소 없이 열로만 폐기물을 분해 (Pyrolysis)를 한 후 폐기물의 성분과 연소실내의 Oxygen 양에 따라 자동으로 서서히 산소를 주입하여 폐기물을 연소 (Combustion)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을 적절히 사용할 시 연소가스 발생량을 60%까지 줄일 수가 있어 2차연소실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다.

4.1.2 고온 와류식 2차 연소실

일반적으로 2차 연소실은 2차 연소버너와 2차 연소공기 주입시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도서도 마찬가지로 고온을 유지하면서 연소공기 주입을 적정하게 하여 과잉산소 주입을 방지하여만 다이옥신의 재형성을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2차연소실 후단에 Oxygen 측정장치를 설치하고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Oxygen 주입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도록 하여 2차 연소실내 적절한 Oxygen량인 6-9%을 유지하도록 한다.

한편 2차연소실의 기능을 완벽하게 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Oxygen 량의 주입뿐만 아니라 주입 후 불완전연소가스와 반응을 촉진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2차연소실의 전반부 연소실은 4개의 실린더형으로 구성하여 각 실린더형의 연소실 좌. 우측에서 강압의 Oxygen을 주입하여 연소가스가 강력한 와류현상 (VORTEX Effect) 을 일으키면서 불완전연소물과 반응하도록 설계되어있다. 이 방식은 Oxygen 사용량을 30%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CO의 발생량은 10mg/Nm3 이하로 낮출 수가 있다.

4.1.3 수관식 보일러

연소가스 냉각설비로서 보통 온수 또는 증기보일러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사용결과가 확실하고 발생된 에너지를 재활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보일러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는데 가스가 관을 통과하면서 물과 접촉하여 냉각하는 방법 (연관식 보일러)과 물이 관을 통과하면서 가스와 접촉하여 냉각하는 방법 (수관식 보일러)이 있다. 연관식 보일러가 수관식 보다 가격은 2배 이상 저렴하지만 가스가 관속을 지나가면서 가스내에 아직도 소량 남아있는 유기성탄소 분진 (약 500 mg/Nm3)이 가스관에 접착하여 여기서 다이옥신이 재형성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주 보일러 관을 철저히 청소하여야 한다. 또한 연관식 보일러는 수관식 보일러에 비하여 연소가스 냉각 (1100 도에서 200도) 속도가 느려 다이옥신 재형성 온도대인 250도-400도내 체류시간이 길어져 다이옥신을 재형성할 기회가 높다. 그러므로 다이옥신의 발생을 낮추려면 수관식 보일러를 사용하여야 한다.

4.1.4 다이옥신흡착설비

연소가스내에는 분진, 다이옥신뿐만 아니라 다량의 HCl, HF, SO2 등 산성 오염물들이 포함되어있다. 필자의 회사는 이들을 건식 다단계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2중 반응 노를 사용하고 있다. 1차 반응 노는 Cyclone 형식으로 여기에 산성오염물들을 중화시키는 hydrated lime (CO3Ca)을 분사하여 연소가스와 수직방향으로 반응을 하여 굵은 알갱이는 하부로 배출하도록 하였다. 굴곡형 수평구조형태의 2차 반응 노에는 active carbon 또는 lignite coke를 배합한 hydrated lime (5-30%)을 분사하여 연소가스와 수평방향으로 반응시켜 다이옥신을 흡착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디자인은 반응시간을 늘리고 화학약품의 효율을 증대시켜 운전비용을 낮출 뿐만 아니라 폐연정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유럽에서는 NORIT (active carbon), CHEMVIRON (active carbon), RHEINBRAUN BRENNSTOFF GMBH (lignite coke) 제품이 다이옥신 흡착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고 제품간의 질이나 가격은 거의 같은 수준이며 정제 효과가 모두 뛰어나다.

4.1.5 세라믹 필터

연소가스내 모든 반응제와 분진은 대기로 배출하기 전 마지막으로 걸러내야 한다. 보통 전기집진기나 백필터를 사용하는데 우리는 견고하며 고온 (최고 500도)에 견디는 세라믹 필터를 사용한다. 명칭은 세라믹 필터이지만 실지 재질은 calcium silicate 로 정확한 명칭은 "내화쾻터" 또는 "고온필터"이다. 이러한 필터를 사용하는 이유는 본 회사의 소각노는 특히 산업폐기물이나 병원폐기물등 고열량 폐기물을 처리하기 때문이다. 이 필터는 온도변화 뿐만 아니라 충격에도 잘 견디고 부식에 대한 내화성이 강하기 때문에 일반 백필터 (fiber filter) 보다 수명이 길다 (평균 5년).

현재 유럽폐연규제에 의하면 분진은 10 mg/Nm3 이하로 규제하고 있지만 현재까지 우리의 경험상으론 위에서 소개된 기술조건하에서 분진 발생량을 5 mg/Nm3이하로 낮출 수만 있다면 다이옥신 발생량은 0.1 ng TEQ/Nm3이하로 관리할 수 있다. 다시말해 다이옥신 발생량은 분진의 발생량과 매우 깊은 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5 mg/Nm3의 분진이란 매우 미소한 분량이라 필터설비의 설치 (조립)시에 부주의하면 그만한 분량의 분진은 쉽게 필터설비 외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설치시 매우 조심을 하여야 하며 수시로 세라믹필터의 상태를 점검하여 불량한 필터를 방치해서는 안 된다.

그림 1- 다이옥신처리 최적 모델 소각설비

5. 향후 연구 및 발전계획

소각노로부터 다이옥신 발생량이 0.1 ng TEQ/mg으로 구제되고 있는 현재 다이옥신의 문제는 위의 첫 장에서 언급하였듯이 얼마나 다이옥신의 배출을 더 줄일 수 있느냐가 관심의 초점이 아니라 소각장에서 나오는 다이옥신이 실지로 인간에게 그만한 투자할 만큼 유해하느냐 하는 것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이다. 그러므로 유럽, 특히 프랑스에서의 향후 여러 국책연구프로그램들은 소각장과 주민들의 건강에 대한 상관관계이해와 건강에 미치는 위험 평가에 관련된 것들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12). 한편 다이옥신을 기술적으로 낮추기 위한 실험실 연구를 끝내고 실지 가동설비에서 이들 실험 연구를 적용하여 다이옥신 발생량을 낮추고 기술을 안정시키는 연구들이 진행 중이다.

현재 유럽내 다이옥신에 대하여 활발히 연구하고 있는 연구기관과 연구자 및 연구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SFSP (French Public Health Society. Nancy France) ; 프랑스환경부와 함께 기존 수행하고 있는 "폐기물소각과 국민건강" 연구프로그램에 추가해서 새로운 유럽폐연규제 (Directive 2000/76/EC)의 적용에 따른 소각장의 환경영향연구가 수행 중.

- INSERM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and Medical Research, Paris, France, www.inserm.fr) ; 소각장 주변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의 불구 (malformation) 위험에 관련된 연구를 추진 중. 이 연구는 1988년부터 1997년까지 작동했던 소각장들 주변에 대한 오염물 분산 Model화를 추진 한 후 그 동안에 이 지역에서 관찰된 불구자 수와 연관 관계를 찾는 연구.

- AFSSA (French agency of Sanitary Security of Foods, Maisons-Alfort, France, www.afssa.fr) ; Dioxin 발생량 및 프랑스인의 오염노출 data 작성. 이 연구는 프랑스인들의 다이옥신 섭취량이 WHO에서 권장하고 있는 최대 섭취량 2 pg/kg corporal weight/day 에 접근하고 있는가를 밝히는 연구.

- INVS (Institute of Sanitary Watch, Sainte Maurice, France, www.invs.sante.fr) ; 프랑스에서 모유내의 다이옥신에 관한 연구. 우유는 기름기와의 유화력 때문에 다이옥신의 축적을 측정할 수 있는 좋은 지표이다. 1993년 WHO에서 수행한 유럽 19개국내 모유내 다이옥신 측정량 (16.5 pg/g fat material)과 비교하여 그 동안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

- ADEME (French Ageny of Energy and Environment), M. PERNIN ; 폐기물소각시 다이옥신 발생 요인 분석 연구. 이제까지 실험실 연구에 얻은 data를 실지 가동설비에 적용하여 다이옥신의 발생 요인들을 제거하는 연구. 현재 4군데 생활폐기물 소각장에서 data를 확보하고 있다.

- ICAM (UNIVERSITE DE LILLE, Department of energy and Environment, France), Prof. M. LAHOUBI ; 이 연구소는 특히 열량이 높고 독성이 강한 특수폐기물의 소각설비에서 다이옥신 발생을 줄 일수 있는 연소 조건들을 Modeling하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 INSA (Institute National de Sciences Appliques, Laboratoire Chimie Appliquee, Lyon France), Prof. Navarro ; 프랑스에서 환경연구를 가장 활발하게 하고 있고 한국 유학생들도 많이 연수를 하는 연구소로 현재 폐연잔재물내 다이옥신을 고정화/안정화시키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 ULB (UNIVERSITE LIBRE DE BRUXELLES, Faculty of applicate Sciences, Belgium), Prof, A. FONTANA ; Fontana 교수는 폐기물 열분해기술의 전문가로 대형이 아닌 소형소각노 (1-2 톤/h)에서 다이옥신을 줄 일수 있는 기술과 그의 경제성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 Institut fur Technische Chemie Bereich Thermische Abfallbehandlung (Karlsruhe, Germany), Dr. J. Vehlow, Dr. H. Vogg ; 이 연구소는 폐기물 소각설비의 연소기술과 폐연처리기술 특히 다이옥신을 중점적으로 연구하는 독일에서는 이 분야에 있어서 가장 활발한 연구를 하고 있는 연구소로 현재 Dioxin을 최대로 낮출 수 있는 기술과 이 기술의 적용시 환경영향 평가에 대한 연구를 추진 중이다.

- 그 외 다이옥신 발생을 낮추는 연구와 실험은 필자의 회사뿐만 아니라 여러 설비제작회사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면 현재는 처리 전과 처리 후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많은 분석을 실행하고 있다. 또한 다이옥신 처리기술은 점차로 안정되어 가고 있기 때문에 이제는 설비의 투자비와 운전비용을 낮추기 위한 설비변경에 주력하고 있다. 필자의 회사는 특히 세라믹필터의 설치 면적을 줄이고 필터의 교체와 수리가 수월한 구조로 설비개선을 추진하고 있다.

- 한편 Environment S.A, OLDHAM, AMETEK, 같은 측정설비 제작회사에서는 다이옥신을 연속 측정할 수 있는 설비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다이옥신 흡착제인 active carbon와 lignite coke를 제작하는 NORIT, CHEMVIRON, RHEINBRAUN BRENNSTOFF GMBH, 회사나 이들을 적용 사용하고 있는 MARKER LHOIST, SOLVAY 같은 회사에서는 다이옥신을 흡착한 폐연정제분진을 재생하거나 소각노에 재 연소하여 최종폐기물 발생량을 회수 또는 줄이던가 아니면 이를 쉽게 안정화/고정화시키는 방법을 물색하고 있다.

6. 결론 및 국내에서의 발전방향과 권고사항

연소기술개선과 설비개선으로 소각노로부터 다이옥신의 배출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보고서를 통해서 알려져 왔고 이는 필자 회사의 실지 제조, 설치 및 운영경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처리기술도 점차로 안정되어가고 있어 추가설비 설치 없이 (peak에 대한 우려는 있지만) 다이옥신 배출량을 대부분 10 ng TEQ/Nm3 이하로 낮출 수 있다고 본다. 그러므로 우선적으로는 한국 내에서도 연소기술의 개선을 위해서 필요한 구체적인 요소인 앞장에서 언급한 1차 연소실내 산소조절 기술과 2차 연소실의 고온와류설계구조로의 변경이 필요하다. 설비개선으로는 열 교환속도가 빠른 보일러의 개발과 뛰어난 정제 능력의 필터링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다. 특히 필터링 시스템의 성능은 다이옥신 제거를 좌우하는 주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0.1 ng TEQ/Nm3 이하로 낮추기 위해서는 신규투자비를 50%, 운전비용 (전기, 화학약품, 연료등 비고정비용)을 약 30% 높여야 한다. 또한 연속측정기술이 개발되지 않은데다 측정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설치 후 측정과 설비교정이 힘들어 신규설비를 설치하고도 효율적으로 운영을 하지 못하고 있다. 문제는 이러한 상당한 비용증가에 반해서 소각설비에서 발생되는 다이옥신에 의한 유해평가는 아직까지도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법적인 제재에 의해서 추가설비를 설치하지만 실지로 운영은 1년 한번 또는 많게는 3개월에 한번 정기 측정하는 때에만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프랑스에서는 이러한 비효율성을 낮추기 위하여 다이옥신과 관련이 있으면서 연속측정이 가능한 분진, HCl, SO2, CO, O2, TOC 등 다른 오염물질들을 연속적으로 측정하는 장비를 설치하게 한 후 다이옥신 측정은 2년에 한번만 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다이옥신에 대한 불신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소각설비에서 발생되는 다이옥신에 의한 유해평가를 하고 있다. 이러한 제도적 배려는 한국내에서도 다이옥신 때문에 발생되는 민원과 과잉투자를 줄일 수 있는 한 방법이다.

한편 폐연오염물질의 연속측정장치는 현재가격이 1억원대의 고가의 장비이지만 유럽에서는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고 그 외 다른 국가들에서도 점차적으로 확대되어 설치되고 있다. 향후 이 장비는 중요한 국제시장으로 부상될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많은 관심과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특히 다이옥신 연속측정기술은 엄청난 시장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상태와 설비가동 상태를 실시간에 점검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이옥신으로 발생되는 여러 문제들을 대부분 해결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줄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술개발이 시급하다.

7. 참조 문헌

(1) P.A. Bertazzi, A.C. Pesatori and al., Am.J.Epidemiol., 6,1187, 1989

(2) L. Needham, Atlanta Public Health Service, Conference "Dioxin 92", 1992

(3) Biblo-dossier dioxin 1999, Universiteit Leuven, 1999, Braschaatssteenweg 308, B-2920, Kalmthout

(4) Report of French Academy of Sciences, Ed. Lavoisier, Paris, 1994

(5) L'Actualite Chimique, 3 Feb. 2000

(6) "Results of the German dioxin measurement programm at MSW incinerators", Johnke B., Stelzer E. Waste Management and Research, vol 10. p 345-355, 1992.

(7) "Emissions factors for waste incineration", M. PERNIN, ADEME (French Ministry of Environment), juin 1999

(8) Vehlow, J., Wanke, T. & Mark, F.E., Co-Verbrennung von Kunststoffabfallen und Hausmull - Basisversuche in der Testanlage TAMARA, VDI Berichte 1288, 263, 1994

(9) Rigo, H.G., Chandler, A.J.&Lanier, W.S. "The Relationship between Chlorine and Dioxin/Furan Formation in Waste Combustors, Solid Waste Management ; Thermal Treatment & Waste-to-Energy Technologies, April 18-21, 1995, Washington, DC

(10) J. Bernard, H. Ole, V. Jurgen, "The influence of PVC on the Quantity and Hazardousness of flue gas residues from incineration", European Commission's DG ENV-Final Report, April 2000

(11) P. Davids, "Control of Dioxin Emission From Waste Incinerators", Seoul International Waste Treatment Technology Conference, 23-25 August 1995.

(12) Incineration of waste and dioxins (questions/responses), SVDU (National syndicate of treatment and valuation urban and assimilated waste", TSM 11- November 2001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질소산화물 저감기술  (0) 2016.06.26
소각시설  (0) 2016.06.26
VOC 제거 기술 동향  (0) 2016.06.26
SCR 탈질기술  (0) 2016.06.26
VOC 방지시설 적용, 기술  (0) 2016.06.26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제거기술 동향

   

제1장 서 론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은 대부분 인간의 산업 활동에 의해서 많이 발생되고, 최근 자동차수의 급증이나 각종 화석연료의 사용량 증가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밀집해 주거하고 있는 대도시지역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더 심각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근에는 생산과 소비의 증대에 따라 증가된 폐기물을 처리하는 매립지 등에서는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VOC가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VOC 중에는 벤젠과 같이 대부분의 방향족 탄화수소는 강한 발암성 및 백혈병, 중추신경 장애, 염색체 이상 등을 유발시키는가 하면, 염화탄화수소는 오존층 파괴와, 지구온난화, 그리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연쇄반응에 의하여 광화학 산화물이 생성되어 광화학 스모그 등을 일으켜 눈의 자극, 가시거리 저하, 동식물 및 농작물에 피해를 줄뿐만 아니라 오존은 대기중의 SO₂를 산화시켜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황산 mist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또한, 자극적이고 불유쾌한 냄새를 함유하고 있어 악취를 뿜으며, 저농도에서도 냄새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VOC는 대기로 배출되기 이전에 제어되어야 하는데, 현재까지의 처리기술은 크게 파괴기술과 회수기술로 분류된다. VOC 파괴에는 산화 또는 소각인 연소기술이 이용되는데 복열, 재생열 회수장치를 포함한 열산화법과 촉매 산화법이 이 기술에 해당한다. VOC를 최종 처리하기 전에 포집하기 위한 회수기술에는 흡착, 흡수, 응축 등이 포함되며 이외에도 생물학적 처리법이나 흡·탈착 촉매산화방식을 이용한 각종 신기술을 이용한 방지기술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으나, 각 제거방법들을 투자비, 운영비, 처리효율, 제어특성 등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제2장 VOC 정의 및 분류

2.1 VOC의 정의

대기환경 중 유기화합물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분류하고 있으며, 각 물질의 대기 중 존재상태, 휘발성(Volatility)정도에 따라 휘발성(Volatile)과 반휘발성(Semivolatile), 비휘발성(Nonvolatile)의 3가지의 크게 분류할 수 있다. 휘발성은 증기압과 끓는점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휘발성은 증기압이 10-2kPa이상, 반휘발성은 10-2~10-8kPa, 비휘발성은 10-8kPa이하로 분류되고, 끓는점은 100℃를 기준으로 그 이상이면 휘발성, 이하는 반휘발성, 비휘발성으로 분류한다. 일반적으로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은 0.02psi 이상의 증기압을 가지거나 끓는점이 100℃ 미만인 유기화합물로 정의할 수 있다. 결국 VOC는 다수 화합물의 총칭이라고 하겠다.

증기압의 높아 대기중으로 쉽게 증발되어 질소산화물(NOx)과 공존시 태양광의 작용에 의하여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 및 PAN(Peroxyacetyl-Nitrate)등 이차 오염물질을 생성시킴으로서 광화학스모그현상을 일으키는 물질을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이라고 한다.

VOC란 지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비균질 탄화수소 및 지방족과 비균질이 혼합되어 있는 탄화수소 중 레이드 증기압이 10.3 KPa이상인 물질이며 단, LPG, 메탄, 에탄 등 광화학 반응성이 낮은 물질은 제외이라고 대기환경보전법에 정의되어 있다. 종류는 일반 탄화수소와 비균질 탄화수소로 나뉘며, 일반 탄화수소에는 Paraffin계와 Olefin계의 지방족 탄화수소와 Benzene 계열로 Benzene, Toluene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가 있으며, 비균질 탄화수소는 알데히드, 케톤류 등이 있다.

세계 여러 나라의 VOC에 대한 정의, 규제법규 및 추진해 온 대책 등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2.1.1 한국

1996년 8월 31일 공고한 대기환경보전법 시행령의 개정령 제 39조에 따르면 지방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비균질 탄화수소류(알데히드, 케톤, 알콜 등)중 레이드 증기압이 29.7kPa 이상인 물질을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이라고 하며, 이중 액화석유가스, 메탄, 에탄 등 광화학 반응성이 낮은 물질은 제외하고 있다. 여기서 레이드 증기압은 ASTM D323-90에 의하여 측정된 증기압으로서, 순수 단일물질의 경우 37.8℃(100℉)에서의 증기압과 같다.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정의는 1998. 12월 다음과 같이 개정하였다.

정 의

개정 이전

탄화수소류 중 레이드증기압

"27.6kPa 이상인 물질, 제외대상은 환경부장관 고시"

개정 이후

탄화수소류 중 레이드증기압

"10.3kPa 이상인 제품·물질, 규제대상 환경부장관 고시"

*레이드 증기압 : 석유류 제품의 증기압 측정법은 37.8℃(100℉)에서 측정

*kPa(킬로파스칼) : 압력단위(1기압=760mmHg=101.3kPa, mmHg÷7.5=kPa)

2.1.2 미국

진증기압(True Vaper Pressure : TVP)이 1.5psia이상인 석유화학제품 및 유기용제 등으로 벤젠 등 광화학 반응성이 에탄보다 큰 318종의 물질과 원유, 가솔린, 납사, 제트연료 등의 제품을 관리하고 있다.

미국은 1960년대 캘리포니아주를 중심으로 세계 최초로 VOC에 대한 규제를 시작하였고 1970년에는 대기정화법(Clean Air Act)를 제정하면서 대류권내의 오존층을 관리하는 차원에서 전국적인 VOC규제원칙을 발표하였다.

그 후 1990년 11월에 대기정화법을 대폭 개정하여, 대기정화법 수정조항(The Clean Air Act Amendments of 1990)이 통과됨으로써 VOC에 대한 규제가 보다 체계화되었다. 이러한 노력에 따라 지난 5년간 미국의 VOC 배출량은 1970년대(2,974만톤)를 기점으로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기중에서 광화학 반응에 참여하는 물질 중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탄산, 금속성 탄화물, 탄산염, 탄산암모늄을 제외한 모든 탄소화합물이라고 EPA는 CAA(Clean Air Act)의 Title I에 따른 정부의 실행계획을 준비, 채택, 시행하기 위한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다. 광화학 반응에 대한 영향이 무시할 정도인 유기화합물에 대해서는 법규제로부터 제외시키고 표준상태(20℃, 760mmHg)에서 증기압이 0.1mmHg 이상이 되는 유기화합물을 VOC로 간주한다. 배출원별 발생비율을 보면 1993년의 경우 용제사용 26.8%, 자동차 26.1%, 석유 및 화학 관련 산업 10% 등의 배출양상을 보이고 있다. 최근 5년간의 미국의 VOC 배출량은 감소하고 있다.

2.1.3 유럽

유럽공동체는 1984년 "산업으로부터의 대기오염 저감"에 관한 법령을 공표하여 가맹국에 입법화를 촉구하기 시작하였다. 그 결과 VOC 규제법이 독일(1986년), 이탈리아와 네덜란드(1988), 영국(1990년) 등에서 제정되었다. 1992년에는 보다 강화된 내용으로 통일 기준안이 만들어졌고, 1994년 12월에는 인위적인 배출량의 약 40%를 차지하는 자동차의 배출량을 향후 10~15년 내에 80~90% 줄이기 위한 방안 및 가솔린 저장, 유통과정에서의 VOC 관리 및 저감대책을 본격 추진하였다.

1992년의 "소정의 공정 및 산업설비로부터 발생하는 유기용제 배출규제(안)"에 규정된 관리대상공정 및 시설범위로는 (1)인쇄, (2)표면세정, (3)신차의 도장공정, (4)트럭의 운전부분의 도장공정, (5)밴, 트럭, 버스 등의 자동차 도장공정, (6)자동차의 재도장, (7)코일도장공정, (8)금속 및 플라스틱, 목공, 섬유, 필름, 종이표면의 도장공정, (9)드라이크리닝, (10)목공표면의 함침, (11)피혁, 접착제의 도장공정, (12)도료, 바니스, 잉크, 접착제의 제조, (13)천연 및 합성고무의 완성품의 전환, (14)식물류와 지방분 추출, 식용유의 정제공정, (15)의약품제조, (16)섬유제품의 염색과 마무리, (17)인쇄기계 등을 나열하고 있으나, 규제대상에 대하여는 나라별로 차이가 있고, 대상시설에 따른 규제수단들도 나라마다 다르다.

2.1.4 일본

유기화합물질 중 원유, 가솔린, 나프타 및 항공터빈 연료유 4호, 기타 단일물질은 1기압에서 비점이 150℃ 이하인 물질, 혼합물질은 1기압에서 전체 5%의 유출점이 150℃ 이하인 물질을 VOC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이중 일산화탄소, 탄산 및 그 염류, 메탄, 에탄, 클로로에탄 및 트리할로트리플로로에탄 등 광화학 반응성이 낮은 화합물은 제외시키고 있다.

일본에서는 최근까지 대기오염방지법과 관련하여 규제치나 구체적인 저감 대책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동경, 오오사카, 교토 등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조례 및 배출구에서의 규제기준치를 정하여 지도하고 있다. 즉 발생원별로 규제대상시설 및 시설규모를 정하고 설비규제기준 및 도료사용규제기준 등으로 규제하고 있으며, 도료를 다량 사용하는 공장에 대해서는 공장전체에 대하여 총량규제를 실시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는 법제정비에 있어 국가규제방향이 정립되고 나서 자치 단체규제로 확산되어 가기보다는 문제되는 자치단체에서 먼저 조례 등으로 규제를 시작하게 되고, 이것이 일반화될 시점에 이를 국가에서 전국적으로 방향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자치단체별 VOC규제 추세에 따라 중앙정부차원의 VOC 규제일반에 대한 관련제도를 정립하기 위하여 준비하고 있는 단계에 있다.

   

2.2 VOC의 분류

2.2.1 VOC의 종류

대기 오염물질중 고정원에서 배출되는 황화합물(SOx), 질소화합물 (NOx)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 등은 배출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인체와 지구환경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여 전 세계적으로 배출규제가 강력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VOC는 Benzene, Toluene, Xylene, Methyl ethyl ketone(MEK), Acetone, Isopropyl alcohol, Glycol ethers, 원유정제화합물, 납사 및 Mineral spirits이며, 표 2.2에서는 VOC 물질의 종류를 발생원별로 제시하였는데, 대부분의 유기용제가 해당되어 Paraffin, Olefin과 Aromatics에는 실제로 많은 종류의 화합물이 포함된다.

표 2.2. 발생원에 따른 VOC 물질의 종류

공장의 종류

발생원

VOC 물질의 종류

도장 및 잉크제조 공장

자동차, 전자제품 도장 및 건조기

금속, 유리, 옵셋인쇄 건조기

에나멜, 니스 건조기

벤젠, 톨루엔, 크실렌, 납사, 알코올, 에스테르, 유기용매

용매, 접착제 및

합성수지제조공장

플라스틱, 합판 제조공정 등

스타이렌, 알데히드, 에스테르

화학공장

석유화학, 유기합성 공정 등

벤젠, 톨루엔, 크실렌, 알데히드, 알코올

악취물질취급 공장

비료, 사료, 소화기 제조과정 등

아민 및 황화합물

기타

담배 건조기, 향료 제조과정 등

알코올, 에스테르

※대표적 VOC 물질 :

지방족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 할로겐 탄화수소, 케톤류, 알데히드류, 알콜류, 글리콜류, 에테르류, 에폭시류, 페놀류 등

※대표적 VOC 제외대상 물질 :

메탄, 에탄,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금속카바이드 또는 카보네이트, 암모늄 카보네이트

2.2.2 광화학 반응성에 따른 분류

VOC는 대기 중에서의 광화학 반응성에 따라 분류하기도 하는데, 이는 일반적인 유기화합물 분류의 VOC에 속하는 화합물이라도 대기중에서의 반응성에 따라 오염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오존오염과 관련된 VOC의 영향은 광화학 반응성의 정도로 평가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규제대상 화합물을 선택하는데 많이 활용된다. 오존오염과 관련된 규제대상 VOC 화합물은 다음의 2가지 범주에 속하는 화합물을 제외한 모든 유기화합물로 정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① CO, CO₂, Carbonic acid, metallic carbides 또는 carbonates 및 ammonium carbonate로 대개 무기화합물질로 분류되는 탄소함유 화합물

② 광화학 반응성이 작은 것으로 분류된 화합물

VOC의 연쇄 광화학반응에 의한 광화학산화물 (오존, 알데히드, 스모그속의 질소화합물)의 생성과정은 다음과 같다.

(1) VOC의 광화학반응 싸이클

NO₂+ 빛(λ=400nm) ――→ NO + O

O₂+ O ――→ O₃(오존)

R-C-R + O ――→ RCO· + RC· (자유 라디칼)

RCO· + O₂ ――→ RCO₃·

RCO₃+ R-C-R ――→ 알데히드 등

RC· + O₂――→ RCO₂· (과산화물 라디칼)

RCO₂+ O₂――→ O₃+ RCO·

(2) VOC와 질소화합물(NOx)과의 광화학반응 싸이클

RCO₃+ NO₂――→ RCO₃NO₂(스모그 속의 질소화합물)

한국산업안전공단에서 1997년 10월 01일 제시한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처리기술지침에서의 VOC 정의는 "지방족 탄화수소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비균질 탄화수소류(알데히드, 케톤, 알코올 등) 및 지방족과 비균질이 혼합되어 있는 탄화수소 중 레이드 증기압이 27.6kPa 이상인 물질을 말한다. 단, 메탄 및 에탄 등 광화학 반응성이 낮은 물질로서 국가에서 정하여 고시하는 물질은 제외한다."로 되어 있고, 또, "광화학 산화물이라 함은 VOC가 빛과 반응하여 생성된 오존, 알데히드, 스모그 중의 질소화합물 등을 말한다."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 대기환경 중 VOC라 함은 탄화수소화합물의 총칭으로 방향족탄화수소와 지방족탄화수소(Paraffin계와 Olefin계) 등의 일반 탄화수소와 질소, 수소 및 할로겐원소를 포함하는 비균질탄화수소(Heterogeneous Hydrocarbon; 알데히드, 케톤류 등)로 분류된다. 특히 VOC는 방향족탄화수소와 할로겐탄화수소와 같이 화합물 자체로서도 환경 및 건강에 직접 유해하거나 지방족 탄화수소와 같이 주로 대기중의 광화학반응에 참여하여 광화학 탄화물 등의 2차 오염물질을 생성할 수 있다. 올레핀계 탄화수소화합물은 광화학 반응성이 큰 것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즉, 탄소와 수소만으로 구성된 탄화수소류와 할로겐화 탄화수소, 질소나 황함유 탄화수소 등 상온·상압에서 기체 상태로 존재하는 모든 유기화합물을 통칭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넓은 의미로는 반휘발성 유기화합물도 포함된다.

VOC는 오존 등 광화학스모그 원인물질일 뿐만 아니라 발암성 등의 유해물질, 지구온난화와 성층권 오존 파괴의 원인물질, 대기 중 악취물질로서 환경 및 건강에 영향을 초래하여 VOC 감축을 대기질 관리의 주요 정책수단으로 이용하는 국가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최근 국내에서는 오존오염도가 매년 증가하고 도시지역에서는 단기 환경 기준치를 초과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함에 따라 VOC에 대한 규제관리가 요망되고 있다. 이에 따라 1995년 12월에 공포된 대기환경보전법 개정 법률에는 1999년 1월 1일부터 대기오염규제 지역 내의 VOC 배출시설에 대한 규제를 명시하고 있고 이에 따른 시행계획을 준비 중에 있다.

   

제3장 VOC의 영향

3.1 개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에 속하는 화합물로는 방향족 탄화수소와 지방족 탄화수소(Paraffin 계와 Olefin 계)등의 일반 탄화수소와 질소, 산소 및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비균질탄화수소(Heterogeneous Hydrocarbon; 알데히드, 케톤류 등)가 해당된다. 특히 VOC는 방향족 탄화수소와 할로겐탄화수소와 같이 화합물 자체로서도 환경 및 건강에 직접 유해하거나 지방족탄화수소와 같이 주로 대기중위 광화학 반응에 참여하여 광화학 산화물 등의 2차적 유해를 초래할 수도 있다. 특히 탄소-탄소 원자사이에 2중 결합을 갖는 올레핀계 탄화수소화합물은 광화학 반응성이 큰 것으로 이미 잘 알려져 있다.

VOC류 중 유기염소계 화합물(할로겐)은 열적, 화학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이들 성분이 가지는 고유의 특성으로 화학공업, 탈지제, 세척제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농약과 프레온 등의 기초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중 수요가 많고 환경 오염측면에서 중요한 용제류는 트리클로로에탄(Trichloroethane),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테트라클로로에틸렌(Tetrachloroethylene)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TCE는 자동차와 금속공장에서 조립된 금속부분의 윤활유를 증기로 씻어 낼 때 80%이상 사용되며, 그 외에도 타이프라이터 수정액, 페인트 제거제, 화장품, 접착제, 양탄자 세척액 등에도 사용되는데, 모든 상업용은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안정제를 첨가한다. 그러므로 환경중으로 방출된 TCE는 변화하지 않을뿐더러 자연계에서 잘 분해되지 않는 난분해성 물질로서 환경 생태계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TCE는 무색의 무거운 독성 액체로서 독성 허용농도는 50ppm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불연성이고 폭발성도 없으나 고온에서는 비교적 인화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강한 알칼리에 접촉하면 폭발성의 디클로로아세틸렌(Dichloroacethylene)을 생성한다.

또한 PCP(Pentachlorophenol)는 Phenol 5개에 Chlorine기가 붙어있는 화학물질로서 주로 목재의 방부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산업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살충제 등으로 농업적인 측면까지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이 PCP가 널리 사용되어질 뿐만 아니라 부적절한 매립 및 방치에 따른 환경오염문제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난분해성인 염소계 및 방향족 화합물 성분의 고온 열처리방법은 화학적 구조가 유사한 동일 계열의 화합물이더라도 염화정도, 반응조건 등에 따라 열적 안정성, 분해 반응기구 및 생성물의 종류와 양이 크게 달라지게 된다. 또한 염화탄화수소계 열 화합물의 반응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적절치 못한 조건에서 처리될 경우 Dioxin, Phosgen 등과 같이 처리하고자 하는 물질보다 독성이 더 강한 맹독성 물질로 전환됨으로써 또 다른 형태의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이 소각 장치를 일반 및 유해 폐기물을 처리하는데 널리 사용하기 위해선, 방출되는 유독 성분 및 그을음의 농도가 각각의 환경오염 허용치 이하로 유지되어야한다. 폐 TCE, 폐 PCP 및 폐유기용제 등을 비롯한 VOC를 포함하는 소각 및 열처리하는 기술은 경제적인, 효율적인, 시간적인 측면 등 여러 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연소과정이나 후에 발생 및 형성되어 대기로 방출될 수 있는 유해성물질, Dioxin 등의 방출에 대한 가능성 문제로 여전히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PCP의 경우 연소과정에서 쉽게 많은 량의 염화폐놀류(Phenols)를 형성하는데, 염화페놀을 불완전 연소조건하의 소각장치에서 가스반응에 의하여 PCDDs를 형성한다고 보고하였다.

   

3.2 광화학 반응의 영향

휘발성이 높은 유기화합물질이 대기중에서 질소산화물(NOx)과 공존시 태양광의 작용에 의하여 광화학 반응을 일으켜 오존 및 PAN(Peroxylacetyl Nitrate) 등 2차 오염물질을 생성시킴으로써 광화학 스모그 현상을 일으킨다. 광화학적 스모그의 생성을 위해서는 탄화수소의 존재가 필수적인데, 모든 탄화수소가 대기의 다른 구성물과 반응하여 유해화학물질을 동일한 정도로 생성시키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각종 탄화수소의 반응도(Reactivity)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기준이 필요한데, 탄화수소 소모율, NO 산화율, 산화제 생성율, 에어로졸(Aerosol) 생성율, 눈의 통증, 식물의 피해정도가 이용되고 있다. 특히, 탄화수소 소모율과 NO 산화에 근거한 결과는 대체적으로 잘 일치한다. 여기서 NO 산화율이란 탄화수소에 의하여 NO가 NO2로 산화되는 비율을 뜻한다.

따라서, 광화학스모그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응율이 높은 탄화수소의 배출을 통제해야만 하는데, 대체적으로 올레핀(Olefins), 디올레핀(Diolefins), 싸이클로알켄(Cycloalkenes)과 같은 이중결합을 가진 탄화수소가 반응율이 높으며, 트리알킬벤젠(Trialkylbenzenes), 테트라알킬벤젠(Tetraalkylbenzenes)이 그 다음이며, 디알킬벤젠(Dialkylbenzenes), 알데하이드(Aldehydes), 에틸렌(Ethylene), 톨루엔(Toluene), 파라핀계 탄화수소, 아세틸렌(Acetylene), 벤젠(Benzene)순이다.

한편, 올레핀 화합물의 오존 생성 메카니즘을 간략하게 표현해 보면, 아래 반응식과 같다.

O + Olefin → Rㆍ + ROㆍ

Rㆍ + O₂→ ROOㆍ

ROOㆍ + O₂→ ROㆍ +O₃

   

3.3 인체 및 생태계 영향

VOC는 인체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일부 특정 대기 유해물질로 분류되고 있으며, 또한 광화학 반응을 통하여 오존 등과 같은 2차 오염물질인 광화학 산화물을 생성시킨다. 이와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영향을 크게 5가지, 즉 (1)인체에 유독, (2)오존층 파괴(염화탄소류), (3)지구온난화, (4)광화학 스모그, (5)악취로 분류할 수 있다. VOC가 인체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은, 방향족 탄화수소류의 VOC 중에는 발암성이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는 화학물질이 다수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1) 벤젠의 경우에는 백혈병과 중추신경 장애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으며, 매우 낮은 농도의 벤젠에 노출되었던 사람에게도 염색체 이상이 종종 발견된다고 보고 되고 있다. 한편, 유기 용제류는 그 자체가 독성을 지니고 있거나 그 속에 포함된 이 물질들이 독성이 높아서 문제시되고 있다. 대표적인 유기용제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가 있다.

(2) 유기 할로겐 화합물은 다른 화학물질에 비해 독성이 높고 대기에 유출되면 장기간 분해 되지 않고 남아 있는 특성 때문에 특별한 주의가 요망되는 물질로 분류되고 있다.

VOC 중 많은 물질이 낮은 농도에서도 냄새가 감지되며 거의 대부분 자극적이고 불쾌한 냄새를 함유하고 있어서 낮은 ppm 농도에서도 냄새를 감지할 수 있어 생활환경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광화학적 산화제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는 쉽지 않으나, 기종, 기관지염, 천식과 같은 만성질환을 일으킬 확률이 높으며, 특히 통증을 일으키고 가시도를 크게 감소시키며, 심한 경우 호흡장애와 가슴의 고통을 느끼게 된다. 한편, 합성고무제품이나 기타 산성에 약한 물질을 상하게 하며, 섬유의 경우 탈색을 일으키기도 하고, 동물 및 식물의 성장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며 심한 경우 말라 죽는다.

   

3.4 오존에 의한 영향

오존은 대기권내에 일정량이 존재할 경우 오존의 살균작용으로 생활환경을 쾌적하게 하는 유익한 물질이다. 그러나 VOC 등이 광화학 반응에 의해 많은 양의 오존을 생성하는 경우, 이들 물질은 유기성 오염물질과 반응하여 다른 유해 화합물을 형성하여 눈의 자극, 식물 및 농작물의 피해 등을 유발시킨다. 또한 오존은 대기중의 SO2를 산화시켜서 산성비의 원인이 되는 황산 증기(Mist)의 생성을 촉진한다.

SO₂+ O₃―→ SO₃, SO₃ + H₂O ―→ (액체) H₂SO₄

각 오존 농도별 인체 및 식물에 미치는 영향은 표 3.1에 정리하였다.

표 3.1 오존 농도별 인체 및 식물에 미치는 영향

구 분

농도 및 노출시간

영 향

인 체

0.1~0.3ppm (1시간)

0.3~0.5ppm (2시간)

0.5ppm (6시간)

호흡기 자극(기침), 눈자극

운동중 폐기능 감소

마른기침, 흉부불안

식 물

0.05 ppm (20일)

0.07ppm (60일)

0.1ppm (5.5시간)

수확량 감소

개화 감소

꽃가루 생산감소

   

제4장 VOC 배출원 및 배출실태

4.1 VOC 배출원

VOC의 배출오염원은 인위적인(Anthropogenic) 배출원과 자연적인 배출원(Biogenics)으로 분류된다. 자연적인 배출원 또한 VOC 배출에 상당량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자료부족으로 보통 인위적인 배출원만이 관리대상으로 고려되고 있다. 인위적인 VOC의 배출원은 종류와 크기가 매우 다양하며 SOx, NOx 등의 일반적인 오염물질과 달리 누출 등의 불특정배출과 같이 배출구가 산재되어 있는 특징이 있어 시설관리의 어려움이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인위적인 VOC의 주요 배출원으로는 배출 비중의 차이는 있으나 자동차 배기가스와 유류용제의 제조·사용으로 알려져 있다.

업종별 VOC의 배출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4.1.1 석유화학산업

석유화학 산업에서 VOC가 누출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제조·취급공정으로부터 누출

(2) 원유 및 정제된 제품들의 저장탱크로부터 누출

(3) 배 또는 트럭에 제품을 하역하거나 운반중 누출

(4) 제조·취급 공정으로부터 밸브, 플랜지, 펌프, 압축기 등에서 누출

(5) 기타 사고 등으로 인한 누출

제조·취급공정 등으로부터의 누출은 유지관리를 철저히 함으로서 VOC 방출량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저장탱크의 내부 또는 외부에 부유식 지붕(Floating Roof)을 설치하면 탱크를 채울 때 발생하거나 밤과 낮의 온도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누출을 줄일 수 있다. 만일 부유식 지붕이 없는 탱크를 사용할 때는 적절한 회수 또는 처리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VOC를 배출하는 제품 등을 배에 하역하는 부두와 육상 저유소에서 운반 탱크 트럭에 옮겨 싣는 과정에서 많은 양이 증기로 유출된다. 휘발유 등과 같은 고가인 제품을 취급하는 경우 선진국에서는 이미 방출량의 95% 이상을 회수할 수 있는 증기회수장치(Vapor Recovery System) 등이 설치되어 있다.

4.1.2 식품산업

식품제조 공정에서의 VOC 발생원은 다음과 같다.

(1) 식용유 및 동물성 지방 가공

(2) 제빵·제과

(3) 맥주, 포도주 등 알콜음료 제조

(4) 감자, 옥수수 등 튀김공정

(5) 커피 제조

(6) 제당공정

식품산업에서 발생되는 VOC는 대개 농도가 낮기 때문에 유지비가 저렴한 바이오 필터를 이용하여 많이 처리한다.

4.1.3 철강산업

철강산업에서의 VOC 발생원은 다음과 같다.

(1) 압연공장

(2) 제선공장

(3) 제강공장

(4) 코크스 공장

(5) 산소공장

4.1.4 쓰레기 처리설비

쓰레기 처리와 연관된 VOC 발생원은 다음과 같다.

(1) 쓰레기 매립장

(2) 하수 및 폐수처리장

(3) 쓰레기 소각장

4.1.5 농업

농경지에서는 농약살포가 주된 VOC의 발생원인이 된다.

4.1.6 자연에서의 방출

자연에서도 많은 양의 VOC가 방출되는데 주로 나무에서 나오는 송진류와 이소프렌류이다.

   

4.2 VOC 배출실태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자동차운행 증가 및 유기용제 사용 확대로 배출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건강에 직접적으로 유해한 영향을 미치거나 대기 중에 배출되어 광화학반응을 통해 오존을 생성시킨다. 이 물질은 다양한 배출원에서 배출되는데, 우리나라의 휘발성유기화합물질 배출량을 배출원별로 표 4.1에 나타내었다. 최근 2000년도의 현황을 보면, 도장산업의 배출량이 5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자동차등의 교통수단이 그 뒤를 이어 28%를 차지하고 있다.

   

제5장 VOC 배출 저감기술

VOC를 처리하기 위하여 현재까지 상용화되었거나 개발 중인 제어기술로는 크게 연소기술, 흡착·농축기술, 흡수·응축기술, 생물학적 처리기술, 그 외, 증기재생법, 막분리, Flares, 자외선산화, 플라즈마 등이 있다. 그러나 이 기술들은 적용 가능한 공정조건(배출원, 유량, 필요한 유틸리티, 전처리 등), VOC 특성(성분, 농도, 저해물질 등), 기타조건(2차 오염, 유지관리 등)이 각각 다르므로 이에 따라 적절히 선정되어야만 한다.

   

5.1 연소기술

5.1.1 고온산화(열소각)법(Thermal Oxidation : TO)

고온산화(열소각)방법은 배출가스 중 VOC를 함유한 공기를 포집해서 예열하고 잘 혼합한 후 고온으로 태워 VOC를 이산화탄소와 물로 전환시켜주는 공정이다.

(1) 고온산화 장치는 보통 VOC 혼합가스를 이송시켜주는 송풍기, VOC 혼합가스를 혼합시켜 주는 혼합기, 필요에 따라 연소용 연료를 공급해 주는 송풍기, 버너와 내화방으로 구성되어 있는 연소실, 열 회수장치, 그리고 연소가스를 대기중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굴뚝으로 되어 있다.

(2) VOC의 연소 상태 등을 알기 위해 연소온도를 연속으로 측정하는 장치들도 필요하다.

(3) 열소각에서는 보통 650~870℃ 정도의 연소온도를 유지시켜 주기 위해 가스나 기름 등 보조연료가 사용되기도 한다. 저농도 VOC를 함유한 배출가스는 연소 온도를 유지하는데 필요할 정도로 충분한 반응열이 없어 이들을 산화시키기 위해 보조연료가 필요하다. 그리고 배출가스 중 VOC의 농도가 높으면 폭발방지를 위한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4) 열회수 장치는 연소 전에 VOC 함유가스를 예열해 주기 위해 열소각 장치와 함께 설치하기도 한다. 유입가스를 예열해 주면 연소온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보조연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5) 열소각에서 연소온도 이외에 VOC 분해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체류시간과 혼합정도가 있다. 체류시간은 VOC가 완전 산화되는데 필요한 시간이며 보통 0.5~1초 정도이다. 만일 염소와 불소 등 할로겐 화합물이 존재하면 더욱더 긴 체류시간이 필요하다. 체류시간은 VOC 함유가스 혼합 정도에 영향을 받는다. 즉 혼합이 더욱더 완전하면 체류시간을 짧게 해도 VOC를 완전히 산화시킬 수 있다.

(6) 열각에는 열회수 장치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있고 열회수 장치가 있는 경우도 열을 회수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열교환(Recuperative)방법과 재생(Regenerative)방법이 있다.

(7) 열교환(Recuperative)장치는 폐열을 대기로 방출하기 전에 열회수를 위해 향류나 병류의 다관식 열교환기를 사용하여 열을 회수하는 장치이다.

(8) 재생(Regenerative) 장치는 세라믹 등 축열재를 사용해서 열을 회수하는 것이다. 이러한 축열식 소각의 개념은 연소실에서 나오는 고온의 연소 가스를 축열재층을 통과시켜 가지고 있던 열을 축열재로 빼앗아 가스를 저온의 상태로 소각로 굴뚝을 통해 배출한다. 이때 다음 사이클에서 소각로로 유입되는 VOC 함유가스는 이미 예열된 축열재층을 통과하면서 연소실 온도보다 약간 낮은 온도까지 예열된 후 연소실을 통과하면서 버너에 의해 최종 연소 온도까지 가열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열회수 장치가 있는 열소각은 보조연료가 필요한 낮은 VOC 농도의 배출가스를 처리하는데 적합하다.

5.1.2 촉매산화(촉매연소)법(Catalytic Oxidation : CO)

촉매소각은 연소기내에 충진되어 있는 촉매가 연소에 필요한 활성화 에너지를 낮춤으로서 비교적 저온에서 연소가 가능하도록 하는 연소방식으로 대개 직접소각의 경우 연소실의 온도를 800~900℃를 유지하여야 하나 촉매를 이용하면 이 온도를 300~400℃로 낮출 수 있다. 결과적으로 촉매산화에 소요되는 연료비는 같은 성능의 열산화공정에 비해 훨씬 싸다.

이 공정에 사용되는 전형적인 촉매로는 백금과 파라듐, 그리고 Cr2O3/Al2O3, Co3O4, CuO-Mn2O3 등의 금속산화물이 포함된다. 촉매의 평균수명은 2~5년인데, 이는 저해물질(Inhibitors)이나, 분진에 의한 막힘, 그리고 열노화(Thermal Aging)등에 의해 촉매활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단일체(Monolithic) 혹은 구형(Bead)의 형태를 갖는 촉매가 연소기내에 삽입된다. 단일체 형태의 촉매는 기체에 비산/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정 지지체에 설치되는데, 손실량은 줄일 수 있으나 산화가 일어나는 촉매의 표면적을 줄이는 역효과를 보인다. 이에 비하여 층내에 충진되는 구형촉매는 단일체에 비해 훨씬 넓은 표면적을 갖지만 비산 손실량과 침식량이 커진다.

이 공정은 배출흐름과 공정조건 등의 특성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촉매산화계에 대한 최적조건이 먼저 거론되어야만 한다. 첫째, Pb As, Bi, Sb, Hg, Fe₂O₃, Sn, Zn 등의 방해물질이 있는 흐름에서는 촉매의 작용이 효과적이지 못하다. 둘째, 고농도의 VOC나 열용량이 높은 물질을 함유한 가스는 연소열을 높여 촉매를 비활성화 시키므로 이 공정은 일반적으로 VOC의 함유량이 적은 가스에만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촉매주위의 온도와 압력을 항상 주시하여 촉매의 생존력 혹은 작용능을 확인하여야 한다. 촉매주위의 온도상승은 VOC 산화정도를 알려주므로 그 온도상승율의 감소가 일어나면 VOC 산화가 불완전한 것이다. 과다한 열은 대부분의 촉매의 활성을 떨어뜨리므로 촉매층으로 들어가는 가스의 온도는 촉매보호를 위해 충분히 낮춰 주어야 한다. 촉매산화계의 정상적인 운전온도는 260~482℃(500~900℉)사이이다. 촉매층간의 압력강하 역시 촉매층의 생존력을 알려주는 지표가 되므로 압력강하가 떨어지면 촉매의 비산이 심해 VOC 제거능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촉매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방해물질이나 분진을 주기적으로 제거해 주어야 한다.

열산화 공정에서와 마찬가지로, VOC함유 도입가스를 예열시키도록 열회수장치를 연소기와 연계시키면 완전연소를 위해 사용하는 부가연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앞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촉매층 입구의 온도를 충분히 낮게 유지하여 촉매의 비활성을 지양하여야만 한다.

한편, 최근에는 일정한 중·저농도를 유지할 경우에도 보조연료 없이 운전이 가능한 축열식 촉매소각공정(RCO)이 개발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5.1.3 축열식 열소각기술(Regenerative Thermal Oxidation : RTO)

직접 연소법은 넓은 범위의 유기물질 연소를 가능케 하고 온도, 체류 시간, 완전 혼합의 세가지 조건을 만족시키며 99%이상의 정화효율과 무해한 물이나 탄산가스로의 분해가 가능한 신뢰성 높은 VOC 분해 시스템임. 그렇지만 연소 온도가 높기 때문에 적절한 폐열회수 대책이 따르지 않으면 연료 소비량이 많아 운전비용 면에서 문제 가 있다.

종전에 비해 폐열 회수 대책이 따르지 않으면 연료 소비량이 많아 운전비용 면에서 문제가 있다.

축열 연소 장치는 축열재를 이용한 직접적인 열교환법을 채용, 열회수 효율이 90%이상으로 높고, 연료 소비량을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인 연소 장치로 에너지 절감효과가 클 뿐 아니라, NOx 발생량 억제 등에도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1) 기본원리

축열식 소각의 기본 원리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최대한 회수하여 이를 흡기가스 예열에 이용하는 것이며 이 폐열 회수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열교환기을 사용하지 않고 표면적이 넓은 ceramic을 직접 가열 및 냉각하는 Regeneration 방법을 사용한다.

일반 열교환기 즉 Shell and Tube 또는 Plate Heat Exchanger의 경우 공기를 열교환할 때 입출가스 온도차가 80~50℃ 정도이며 사용 온도범위가 제한적이나, Ceramic의 경우 최고 사용온도가 950 ℃ 로 매우 높고 Regeneration시 온도차를 30℃ 내외로 관리할 수 있어 열회수율이 98% 에 달한다.

(2) 축열 연소 장치의 특징

폐열 회수 열교환기를 사용한 장치 등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음.

①. 높은 열회수 효율을 얻을 수 있고, 연료 소비량이 매우 절약된다.

②. 고온에서 직접 연소와 축열재 표면에서의 접촉연소로 완전히 산화 분해 되고 가스의 양, VOC성분 농도의 변동 등에 따라, 축열재의 온도가 변화 하지 않아 안정 된 연소가 가능함. 열 산화에 대해서도 강하며 장기 수명을 유지, 정비비도 저렴하다.

③. 구조가 간단, 압력손실도 비교적 적음. NOx발생이 적다.

 

5.1.4 축열식 촉매산화기술(Regenerative Catalytic Oxidation : RCO)

직접 연소 장치에 대응하는 촉매 연소 장치는 연소온도가 약 800℃에 비해 300~400℃로 낮고 연료 소비량은 반감하지만, 열회수 효율은 50~60% 정도 이므로 열효율을 올리기 위해서 개발된 것이 축열식 촉매 산화 장치다.

VOCs 및 악취제거 설비로써 휘발성 유기화합 및 악취 등을 세라믹 축열체를 이용하여 가열한 후 촉매층을 통과시켜 산화가 일어나게 하여 무해한 이산화탄소(CO2)와 물(H2O)로 분해 시키는 설비로서 Burner, 세라믹 축열제, Catalyst, 연소실, Damper, System으로 구성되어 있다.

(1)기본원리

축열식 소각의 기본 원리는 배기가스의 폐열을 최대한 회수하여 이를 흡기가스 예열에 이용하는 것이며 이 폐열 회수를 극대화 하기 위하여 열교환기을 사용하지 않고 표면적이 넓은 ceramic을 직접 가열 및 냉각하는 Regeneration 방법을 사용한다.

축열식 촉매소각 (RCO, Regenerative Catalytic Oxidation)은 상기한 축열 소각기의 원리를 이용하며 산화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축열재 상부에 산화촉매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산화온도는 촉매 종류나 유기물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350~500℃ 내외에서 운전된다.

(2) 축열 연소 장치의 특징

다른 방식의 폐열 회수 열교환기를 사용한 장치 등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음.

①. 높은 열회수 효율을 얻을 수 있고, 연료 소비량이 매우 절약된다.

②. 안정 운전과 장기 장치 수명 대부분의 VOC 성분은 800℃~1000℃고온에서 직접 연소와 축열재 표면에서의 접촉연소로 완전히 산화 분해 되고 가스의 양, VOC성분 농도의 변동 등에 따라 축열재의 온도가 변하지 않아 안정된 연소가 가능하다. 또 고온부에 금속재료를 사용하고 있지 않아 안정된 연소가 가능하다.

③. 구조가 간단하고 압력손실도 비교적 적고 NOx 발생량이 적은 설비이다.

   

5.1.5 무화염 열산화법(Flameless Thermal Oxidation : FTO)

FTO는 많은 VOC와 HAP, 폐수처리 배출증기, 유·무기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해 주며 염소화, 불화, 황화 VOC를 거의 포함해서 99.99% 이상의 안정적인 VOC 분해효율을 나타낸다.

(1) 기본원리

FTO는 유기화합물을 비활성 세라믹 대에서 연수과정이나 촉매 없이 무해한 이산화탄소, 수증기 또는 쉽게 중화될 수 있는 산성기체로 산화시킨다. 화염처리 전에 산화기가 예열되어야 하는데 천연가스가 충분히 연소될 수 있는 온도까지 세라믹 층의 상보가 예열된 다음 공기와 천연가스가 산화기로 유입되고 산화기 층 내에는 oxidation reaction front가 형성된다. 산화반응속도와 가스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제어되는 reaction front가 형성되면 천연가스와 희석용 공기를 조절하여 세라믹 층 내에 유지시킨다. 정 혼합기를 거친 증기가 반응기의 상온 혼합 구역에 들어가면 난류에 의해 탄화수소와 공기가 완전히 혼합된다. 매우 큰 열량의 상온 혼합구역은 역류현상을 방지하여 시스템을 더울 안전하게 만든다. 잘 혼합된 상온의 증기는 매트릭스를 통과하면서 871.1~982.2℃의 산화온도까지 가열되어 반응구역에 도달하는 데 매트릭스는 모든 증기가 반응구역으로 물리적으로 흘러 들어가도록 설계되어 있어 유기화합물의 완전 분해와 높은 파괴 및 제거효율(destruction & removal efficiency : DRE)을 이룰 수 있다.

(2) 특징

① FTO 시스템은 연소법에 비해 1/10정도의 에너지를 사용하며 전체 단가는 연소법의 1/4정도이다.

② 산화기의 설계는 이동부분이 없고 완전자동화 된다.

③ 연소불꽃이 없고 발생한 열이 닫힌 시스템 내부에 저장되므로 공해물질 배출원 가까이에 위치할 수 있다.

④ FTO는 오염물질을 99.99% 이상의 효율로 제거 한다.

⑤ 질소산화물이나 다이옥신이 생성되지 않는다.

5.1.6 흡·탈착 촉매산화법(Concentration Catalytic Oxidation : CCO)

(1) 기본원리

흡착법과 촉매산화법을 병행하는 시스템으로서 저농도로 연속적으로 배출되는 공정에 아주 적합한 시스템이다.

평상시 저농도인 VOC를 제거하기 위하여 촉매층에 연속적으로 가열하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서 흡착제에 VOC가 포화하면 흡착부분을 가열하여 탈착시키고, 탈착되기 전에 미리 촉매층에 열을 가하여 촉매를 필요한 반응온도까지 올려서 탈착된 VOC를 촉매부분에서 완전 산화하는 hybrid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흡착제의 흡·탈착특성 및 촉매의 완전 산화특성이 조사된 후 흡착제와 촉매의 사용량과 가열간격, 시간 및 속도 등 가열방법에 따른 변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2) 특징

흡착 후 농축된 VOC를 제어하기 위해서 폭발한계점(UEL, LEL)을 벗어나서 제어하여야 하고 초기 투자비가 촉매산화법보다 다소 고가이긴 하지만, 유지비와 효율적인 면에서 볼 때 VOC 제어기술방법 중 가장 비용이 적게 들면서 고효율로써 VOC를 제어한다.

그러나 이 시스템에 대한 기초연구가 미비하여 실제 적용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5.2 흡착·농축기술

5.2.1 흡착법

흡착은 기체상태의 VOC 분자가 고체 흡착제와 접촉해서 약한 분자간의 인력에 의해 결합하여 분리되는 공정이다. 흡착제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서는 흡착된 VOC를 회수해서 흡착제를 재생하여 계속 사용한다.

① 활성탄은 VOC를 제거하기 위해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흡착제이다. 활성탄 이외의 흡착제로는 실리카겔, 알루미나, 제올라이트 등이 있다. 활성탄 제조원료로는 나무, 석탄, 코코넛 열매와 같은 탄소함유 물질을 사용하며 종류로는 분말탄, 입상탄 그리고 섬유상 활성탄 등이 있다.

탄소 흡착제는 휘발성의 비탄소 성분을 제거하거나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특수 조건하에서 고온으로 원료물질을 가열해 줌으로써 활성화시켜 제조한다. 이중 입상활성탄은 충분히 넓은 표면적을 가지며 압력강하가 적고 흡착된 VOC를 비교적 쉽게 회수할 수 있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② 분말탄은 값은 싸지만 입상활성탄 보다 질이 떨어지고 충전탑에 사용할 때 압력강하가 너무 크기 때문에 사용에 많은 제한이 있다. 또한 분말활성탄은 거의 재생할 수 없어 사용 후 폐기하여야 한다.

③ 섬유상 활성탄은 최근 많은 각광을 받고 있는 흡착제이다. 섬유상 활성탄은 기공(Pore) 크기가 미세공으로만 이루어져 있으며 흡착부분이 섬유 표면으로부터 직접 미세공으로 연결되어 있어 흡착과 탈착속도가 빠르다. 그리고 벌집구조나 판형 등 여러 모양으로 만들 수 있어 표면을 최대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④ 탄소 흡착제에는 휘발성이 높은 VOC(분자량이 40 이하)는 흡착이 잘 안되며 비휘발성 물질(분자량이 130 이상이거나 비점이 150℃보다 큰 경우)은 탈착이 잘 안되기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하다. 탑내의 과도한 열축적을 피하기 위해서 활성탄 흡착탑에는 농도가 10,000ppm을 초과하지 않는 것이 좋다.

⑤ 제올라이트는 탄소 흡착제보다 다양한 특성을 갖는 대체물로 점차 각광받고 있다. 제올라이트는 화산암으로부터 자연적으로 얻거나 인공적으로 합성 할 수 있는 수소화 규산염이다.

⑥ 제올라이트를 이용해 VOC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배출가스중 수분보다 VOC를 더 잘 흡착할 수 있도록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변형시켜 사용한다. 보통 VOC를 흡착시키기 전에 배출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해 주어야 하며 제올라이트를 변형시키면 소수성으로 바뀌면서 탄소 흡착제보다 상대습도에 적은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제올라이트는 비가연성이어서 흡착된 용제간에 있을 수 있는 발열반응으로 인한 영향에도 강하다. 마지막으로 제올라이트는 높은 흡착력 때문에 탄소 흡착제보다 저농도와 높은 유속에서도 성능이 우수하다.

⑦ 현재 사용되고 있는 흡착탑의 종류는 고정층과 유동층 형식의 두 가지가 있다.

가) 고정층 형식은 보통 2개나 그 이상의 흡착탑으로 되어 있다. 연속운전을 위해서는 한 흡착탑 에서는 흡착조작을 하며 다른 하나에서는 탈착을 수행한다. 탈착은 흡착탑의 흡착능력을 재생시켜 주며 탑의 사용기간(보통 2~5년)을 유지시켜 주기 위한 것이다.

탈착공정은 보통 1~1.5시간이 걸리며 흡착제 재생, 건조, 냉각의 3단계로 되 어 있다. 흡착제 재생은 스팀을 사용하여 탑의 온도를 높여주거나 진공에 의해 흡착되어 있는 휘발성 물질을 탈착시켜 주는 것이다. 탈착된 물질은 냉각시켜 액상으로 모아 분리하여 재사용하거나 폐기한다.

나) 유동층 흡착탑은 동일 장치에서 흡착과 탈착이 동시에 일어나도록 되어 있어 탑이 하나로 되어있다. VOC를 함유한 배출가스는 탑의 하부로 유입되며 흡착제는 운송가스에 의해 탑상부로 운송되어 배출가스와 향류로 접촉하면서 VOC를 흡착한다. VOC가 제거된 가스는 탑정으로 배출되며 VOC를 흡착한 흡착제는 탈착을 위해 탑저로 내려온다. 유동층에서는 흡착제의 혼합효과로 인해 국부적인 온도상승이 없으며 오히려 흡착열이 배출가스에 의해 제거되어 흡착열에 의한 흡착능력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그러나 흡착제가 계속 유동되면서 파쇄 되기 쉬워 보다 단단한 흡착제가 필요하다.

흡착탑의 고효율처리 여부는 흡착제의 적절한 선택과 이 흡착제와 오염증기를 함유한 배출가스간의 접촉시간을 적절하게 결정하는 등, Gas 흐름을 고려한 장치설계에 따라 결정지어진다. 흡착제로는 대부분의 가스에 적용하는데 무리가 없는 활성탄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흡착탑은 악취제거와 벤젠, 에탄올, 에틸렌, 프레온 등과 같은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제어, 회수, 건조와 같은 각종 산업시설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5.2.2 농축법

농축법은 비교적 저농도의 배가스를 흡착제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가스로 전환하는 것으로 흡착제에 있어 흡착현상은 발열현상이고 탈착현상은 흡열현상으로 그 열량은 거의 응축잠열(증발잠열)에 가깝다. 흡착제를 이용한 농축법은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처리가스 중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성분을 저온에서 흡착제에 물리흡착 시켜 소량의 가열 공기로 탈착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농축장치에 있어 가열 및 탈착공정은 동시에 행해지며 농축배율은 처리가스의 풍량과 탈착용 가열 공기량의 비로 정해진다. 따라서 농축배율이 너무 높을 경우 탈착용 가열 공기량이 적게 되어 탈착에 필요한 열량을 얻을 수 없으며 충분한 탈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농축성능이 저하된다. 농축장치는 구조상 흡착제를 하니컴 담체에 함침하여 이것으로 흡·탈착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행하는 것과 입상 활성탄 흡착제의 이동 유·무에 따라 고정상식과 유동상식이 있다.

5.3 흡수·응축기술

5.3.1 흡수법

흡수는 기체와 액체가 향류 또는 병류로 접촉해서 VOC 함유기체로부터 VOC가 액상 흡수제로 전달되는 공정이다.

(1) 물질 전달의 구동력은 기체와 액체간의 VOC 농도 구배이다. 보통 흡수제로는 물, 가성소다 용액, 암모니아 또는 고비점 탄화수소 등이 있다.

(2) 흡수제의 선택은 VOC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며 예를 들면 VOC가 수용성이면 물이 좋은 흡수제가 될 수 있다.

(3) 흡수장치는 보통 기체와 액체가 향류로 접촉되지만 병류와 교차흐름도 가능하다. 흡수장치는 다음 4가지 종류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① 충전탑

② 분무탑

③ 벤츄리 스크러버(Veturi Scrubber)

④ 다단탑

(4) 충전탑은 탑내에 금속, 세라믹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된 불규칙 충전물이나 규칙충전물로 채워져 있다. 액체는 기체와의 접촉면적을 크게 하기 위해 탑정에서 고르게 분산시켜주며 분산된 액체는 충전물의 표면에 얇은 필름을 형성하면서 아래로 흐르게 된다. VOC를 함유한 기체는 탑저로 보내 액체와 접촉하면서 VOC가 액상으로 전달되면서 탑정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충전물은 기체와 액체의 접촉면적 즉 물질전달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제작되었으며 최근에는 고효율의 충전물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충전탑을 설계할 때는 배출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에 의해 막히거나 오염되어 유효 표면적이 작아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탑정에서의 액체분산이 충전탑의 성능에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기체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액체가 전면적에 고르게 분산되도록 해 주어야 한다.

(5) 분무탑은 충전물 등을 사용하지 않고 VOC 함유기체가 액체흡수제의 아주 작은 액적과 접촉되면서 물질전달이 일어난다. 이 때 작은 액적은 VOC가 흡수되는데 필요한 표면적을 최대로 해준다. 분무탑은 기체와 액체의 접촉시간이 짧아 암모니아나 이산화황같이 물에 용해력이 큰 기체를 처리하는데 적합하다.

(6) 벤츄리 스크러버는 벤츄리 노즐에서 VOC 함유기체와 흡수제를 강제로 접촉시켜 VOC를 처리하는 방법이다. 벤츄리 스크러버도 기체와 액체의 접촉시간이 짧기 때문에 분무탑과 비슷하게 대부분의 VOC보다는 액체에 용해력이 큰 기체를 처리하는데 적합하다.

(7) 다단탑은 접속시간이 비교적 길고 각 단에 있는 액체에 기체가 고르게 분산되어 흡수탑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흡수에는 흡수제와 흡수된 VOC와의 반응성 여부에 따라 물리흡수와 화학흡수의 둘로 나눌 수 있다.

(8) 위에 서술한 4종류 중 충전탑과 다단탑이 VOC 함유가스를 처리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5.3.2 응축법

냉각응축은 냉각조작에 의해 비 응축성 가스로부터 VOC를 분리해 주는 공정이다.

(1) 냉각응축은 일정한 압력에서 온도를 낮춰주거나 또는 일정한 온도에서 압력을 높여줌으로써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응축기는 크게 2가지 형태로 구분된다.

① 첫째 직접응축기는 응축시켜야 할 기체가 냉매와 직접 접촉 혼합되면서 열적, 물리적 평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무탑형이나 단탑형이 있다.

② 둘째로 간접응축기는 주로 다관식 열교환기 형태로 관내로 냉매를 통과시켜 관 외부를 지나는 가스를 응축시켜 준다.

(2) VOC를 응축시키는데 사용되는 냉매는 주로 냉수, 브라인, 염화불화탄소(CFC), 저온유체 등이 있으며 이들 냉매의 사용온도는 보통 냉수는 7℃, 브라인은 -35℃, 염화불화탄소는 -68℃ 등이다. 질소나 이산화탄소와 같은 저온유체는 온도를 -195℃까지 내릴 수 있다.

5.4 생물학적 처리법

생물학적 처리 방법은 미생물을 이용해서 VOC를 이산화탄소, 물 그리고 무기질로 변환시켜주는 공정이다. 생물처리공정은 생물막, Bioremediation, Bioreclamation, 생물처리 등을 포함한다. 이들 중 생물막이 악취제거기술로서 효과적이라는 것이 판명된 후에 타당성 있는 VOC제어기술로 부각되고 있다.

(1) 생물학적 처리에는 바이오 필터가 사용되는데 모든 바이오필터는 VOC를 무해한 물질로 변환시켜 주는 미생물을 포함하고 있는 흙이나 퇴비를 충전재로 사용한 장치이다.

(2) 탑은 대기와 밀폐되어 있거나 개방되어 있으며 하나 또는 여러 개의 탑이 사용될 수 있다.

(3) 바이오 필터 장치에서 VOC 함유기체는 먼저 먼지를 제거하고 냉각시킨 후 필요하면 가습시켜 송풍기에 의해 탑저로 유입시킨다.

(4) 탑에는 배양된 미생물들이 있으며 활성탄, 알루미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미생물은 처리하고자 하는 VOC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며 VOC 분해속도 역시 VOC 종류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면 알데히드, 케톤, 알콜, 에테르나 유기산 등은 분해속도가 빠르며 할로겐화합물은 분해속도가 느리다.

(5) VOC 함유기체는 먼지를 제거하고 냉각과 가습을 시켜주어야 하는데 이런 전처리 조작은 탑의 운전에 매우 중요하다. 배출가스중의 먼지는 탑내에 공극을 막아 VOC분해효율을 감소시킨다. 가장 중요한 전처리인 가습은 탑의 균열 및 미반응 VOC가 대기중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막아준다.

(6) 탑내의 충전재 선정은 조업조건에 따라 달라진다. 흙은 퇴비보다 공극율이 작아 배가스 처리하는데 투과성이 적어 퇴비를 충전재로 사용하는 경우보다 탑의 크기가 커야 한다. 혼합물 충전재는 투과율이 크기 때문에 큰 유속에 적당하며 VOC가 쉽게 생분해되는 기체를 처리할 때 효율적이다.

5.5 그 외 신기술

5.5.1 증기 재생법

(1) 기본원리

증기 재생공정은 2단계 흡착공정의 두 번째에 해당되는 것으로 첫 단계에서는 과립상 활성탄(GAC)이나 중합체 구슬과 같은 흡착제에 유기 오염물질이 흡착되며 보통 사용된 흡착제는 다음 처리를 위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한다. 증기 재생공정에서는 약 260℃의 수증기를 이용하여 GAC에 흡착된 오염물질을 탈착시키고 탈착된 VOC 함유 기류는 700℃에서 작동되는 이동층 증발기를 통과하면서 VOC가 H2, CO, CO2로 전환된다. 이동층 증발기는 증기 재생공정의 열원으로 작용한다.

(2) 특징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증기 재생공정은 할로겐계를 제외한 VOC를 다른 부산물의 생성 없이 제거할 수 있고 설치비가 적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운영비가 많이 소요되고 회수된 용매를 재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HCl의 제거시 NaHCO3 슬러리의 공급이나 산성기체 제거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그에 따른 부가경비가 소요되고 NaHCO3 슬러리의 사용 후 슬러리 처리에도 경비가 소요된다. 아울러 GAC 재생이나 교환에도 많은 운영비가 필요하다.

5.5.2 막 분리법

분리막 기술은 반투과성 막을 사용하여 배출가스로부터 VOC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공정이다. 막은 오랫동안 식용수를 처리하는데 사용되어 왔으며 이를 VOC 처리에 적용시키고자 하는 기술은 최근의 일이다.

(1) 기본원리

분리막 기술은 염소계 탄화수소나 염화불화탄소 등 과거에 회수하기 어려웠던 기체들을 회수하는데 효과적이다. 반 투과막은 합성 고분자로 만들며 분리 시 구동력은 막 사이의 압력차를 이용한다.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막모듈 내의 압력을 낮게 유지해주며 VOC 함유기체를 막을 통과시키면 VOC만 막을 통과하고 공기는 통과하지 못해 결국 VOC와 공기가 분리된다.

(2) 특징

막 분리공정의 가장 두드러진 장점은 연소나 분해공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부산물의 생성이 전혀 없다는 점으로 화합물은 다른 원하지 않는 부산물로 분해되지 않고 재이용할 수 있는 형태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고농도의 VOC를 포함한 배가스도 경제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반면 진공펌프와 냉각장치를 이용하기 때문에 자본비와 운영비가 많이 소요되고 고농도의 VOC를 얻기 위해 다른 공정이 필요하며 그에 따른 자본비가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막 분리공정의 전반적인 운영비는 비교적 합리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5.5.3 Flares

Flares는 연소 장비중의 하나로 평소공정의 비이상적인 작동시 비상용으로 사용되며 때로는 VOC 제거에 도움을 주는 경우도 있다. 석유정제와 같은 몇몇 공정에서는 Flares가 주로 VOCs 제거용으로 사용된다. VOCs함유 폐가스가 수집관을 통해 들어오게 되는데 여기서 필요하면 물과 유기액적을 없애기 위해 Knockout Drum이 사용되는데, 물은 불을 끌 수 있기 때문에 제거되어야만 하고 유기액적은 소각후에 입자를 발생하기 때문에 제거되어야만 한다. VOC함유 가스흐름이 Knockout Drum을 빠져 나온 후에는 Water Seal과 Stock Seal을 통과하고 가스가 퍼지게 되어 불꽃이 역화되지 않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폐가스는 Flares를 통해 대기로 방출되는데, 여기에 설치되어 있는 버너는 처리가스를 태워 VOC를 파괴하게 된다.

5.5.4 코로나 방전법

(1) 기본원리

고 에너지 코로나 방전법은 전기방전 반응기에 사용되며 자유기(free radical)를 생성하는 기술로 자유기 산화는 중성의 기체분자로부터 전자를 이탈시켜 양이온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전기장을 형성하는 것과 깊은 관련이 있다. 전자의 방출은 강한 전기장이 기체 내에 형성되어 기체분자를 이온화시키고 저온 플라즈마를 형성함으로써 이루어지며 강한 전기장은 중성의 기체분자로부터 전자를 이탈시켜 양이온으로 만들어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탈된 전자는 화학반응의 촉매로 작용하며 특히 산소 존재 하에서 산화반응이 일어아고 화합물은 분자량이 보다 작은 화합물로 분해 된다.

(2) 특징

고 에너지 코로나 방전법은 탄소흡착법이나 증기 재생과는 달리 저농도의 VOC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이상적인 VOC 처리법으로 전기만을 연료로 사용한다. 고농도의 VOC 처리에도 효과적이며 상온에서 작동되어 배가스를 예열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배가스의 일부만이 전극 부근의 고온 플라즈마와 접촉하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완전제거가 불가능하고 용매를 재이용할 수 없으며 생성되는 플라즈마의 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규모 확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막 분리법이나 소각 등의 다른 공정과 비교해 볼 때 코로나 공정의 특징은 자본비가 저렴하고 운영비의 대부분은 시스템을 작동하기 위한 연료비가 차지한다는 것이다.

5.5.5 비열 플라즈마 기술

(1) 기본원리

비열 플라즈마 공정은 전기 에너지의 대부분이 기체의 가열보다는 강력한 전자를 생산하는데 이용되며 변환점에서 플라즈마가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전자 충격 해리(electron-impact dissociation)나 배경(background) 기체분자의 이온화를 통해 강력한 전자가 오염물질 분자를 산화, 환원, 또는 파괴할 수 있는 자유기와 이온 및 또 다른 분자를 생성하게 된다. 대부분 저농도 대기오염물질을 제어할 경우 에너지 선택성으로 인하여 비열 플라즈마 방법이 가장 많이 적용된다.

(2) 특징

고용량 저농도의 VOC를 처리할 경우 비열 플라즈마 기술로 코로나 또는 부전도성 장벽방전과 같은 전기방전 공정에 비해 운영비가 저렴하고 RTO, RCO, 혼성공정에 비해서도 가격 경쟁력이 있는 가능성 있는 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농도가 매우 낮을 때, 즉 1차 처리를 거친 배출가스 중에 포함된 저농도의 VOC를 제거하는 데는 연속적인 가열로 인한 에너지가 많이 소모된다. 그래서 새로운 개념의 효율적인 제어방법인 흡·탈착 촉매산화 하이브리드 시스템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각시설  (0) 2016.06.26
소각설비의 다이옥신 제거기술  (0) 2016.06.26
SCR 탈질기술  (0) 2016.06.26
VOC 방지시설 적용, 기술  (0) 2016.06.26
RTO 비교  (0) 2016.06.26

SCR 탈질기술

관련기술2016. 6. 26. 12:13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각설비의 다이옥신 제거기술  (0) 2016.06.26
VOC 제거 기술 동향  (0) 2016.06.26
VOC 방지시설 적용, 기술  (0) 2016.06.26
RTO 비교  (0) 2016.06.26
Sift-MS  (0) 2016.06.26

악취 및 VOCs방지 시설의 적용 및 운영 기술

   

발표자 : 홍영기 대표이사

   

회사명 : (주)영엔지니어링

악취 및 VOCs 방지 시설이라 함은 종류가 다양하고 적용하는 방법에도 여러 가지의 경우가 있으므로 이를 모두 다루기에는 정해진 지면에서 매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인 사항은 이미 공포된 환경부 "휘발성 유기 화합 물질 방지 시설 설계 지침"을 참고하기로 하고 여기서는 특별히 석유 화학 공정의 TANK 혹은 공정에서 배출되는 것과 원자재 생산 공장의 건조와 BAKE시 OVEN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VOCs 처리와 관련하여 실제 적용 경험 혹은 설계에 비추어 몇 가지 살피코져 한다.

Ⅰ. 석유 화학 공정 중 TANK나 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VOCs 처리 장치.

석유 화학 공정 중 저장 TANK나 생산 공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VOCs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첫째, 이를 포집 및 이송 수집하는 기술과, 둘째로 분해 혹은 흡착, 회수하는 처 리 기술로 대변된다.

원자재 생산 공장의 건조나 BAKE시 OVEN 등에서 발생되는 것과 달리 석유 화학 공장 의 TANK 혹은 공정에서 발생되는 VOCs는 분해 처리하는 기술보다 더 어려운 것이 적 정량을 포집하고 이송하는 기술이 더욱더 어렵다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안전 및 경제적인 차원에서 발생되는 조건 에 따라 이를 만족하게 설계하기에는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 연소 분해 설비(RTO, CO 등 연소장치)를 적용하고 있는 석유 화학 공장의 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를 쉽게 알수 있다.

포집량을 너무 크게 잡은 곳은 연료비 등이 과도하게 소모되며 풍량을 적게 잡던가 발생 량에 따라 적절치 못한 운전 방식을 채택한 경우에는 분해 장치의 과열 혹은 폭발 등의 안전 문제가 대두되기 때문이다.

1. TANK VENT GAS 포집시 주안점

(1)SEAL GAS를 불연성(N₂)이 아닌 공기를 사용하는 TANK VENT는 발생 시의 조건 을 정확히 측정할 것.

(2)발생 시 조건에 따라 포집 입구에서 희석 공기 주입이 적절하도록 설계할 것.

(3)BREATHER VALVE 등이 설치되고 LOADING 이나 UNLOADING이 일정치 않아 VENT량의 배출이 간헐적으로 일정치 않을 경우 평상시 (VENT 되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 공기의 흡입이 최소화되고 VENT시에도 VENT GAS가 충분히 희석되어 LEL 25% 이하로 유지 되도록 할 것.

(4)포집 된 가스의 이송은 기온이 낮을 때 등을 대비하여 액상 상태로 체류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설계할 것.

(5)불가피하게 액상 상태와 기상 상태가 존재하고 공기와 같이 이송 할 경우 가능한 이송 속도를 1㎧ 이하로 하여 정전기 등의 발생을 방지할 것.

   

2. 악취 및 VOCs 연소 분해 장비 적용 설계 시 주안점

석유 화학 PLANT의 공정에서 발생되는 GAS 혹은 저장 탱크에서 VENT되는 GAS의 경우 농도가 고농도일 수 있으며 또한 여러 가지 석유 화학 제품 생산에 의해 가스의 발생이 다양함으로 이를 감안하여 안전하고 고효율로 처리되며 제2차 폐기물 등이 발생 되지 않으면서도 경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장비의 설정은 필연적이다. 여기서는 석유 화학 공장에 적용되는 여러 가지 방식 중 원료로 회수하기 곤란한 합성 가스의 처리를 연소 방식에 의해 처리하는 것에 국한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종전에는 석유 화학 공정에서 발생되는 대부분의 고농도의 공정 폐 GAS는 회수하여 연료로 사용 하든가 그렇지 않으면 FLARE STACK 에 의해 연소 처리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의 연소 효율이 낮고 때로는 연료비가 과다하게 소모되므로 선진국의 경우

FTO(무화염 열 산화)나 RTO(재생 열 산화법)등을 적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FTO 장치는 SWITCHING 밸브가 없는 RTO라 부르기도 하며 고농도 (10,000 ppmv)의 gas를 1-way로 gas를 흘러가게 하면서 연소열을 축열재에 축적시키고 간접적으로 인 입되는 gas를 가열 연소시키는 방식으로서 석유 화학 공정 중 일부 고농도 폐가스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나 TANK VENT 등 농도가 일정치 않고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GAS의 처리로 부적절하다. 요즘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적용하는 것은 여러 처리 방 법 중 RTO에 의한 방식이므로 이를 적용하기 위한 조건 및 주의점은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RTO의 경우에는 다른 연소장치와 달리 축열재에 상당량의 열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운전 조건 등에 대처할 수 있게 설계할 것.

(2)RTO의 경우에는 축열재로 CERAMIC을 사용하기 때문에 특성상 급격한 온도 변화 에 의해 SPALLING 및 SHOCKING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감안하여 인입 농도를 적절하게 유입 되도록 설계할 것. (10g/N㎥)

(3)TANK VENT의 경우 특히 TANK STATION의 저장 탱크의 경우 (울산 지역 J 혹 은 T회사의 경우)와 같이 장시간 고농도의 배출이 예상되는 경우 이를 감안하여

설계할 것.

(4)TANK VENT의 경우에는 TANK LEVEL 및 성상 에 따라 VENT GAS의 농도가 상당히 높을 수 있으므로 이의 조건을 철저히 검토하여 설계에 적용할것.

(5)RTO의 경우 축열된 상태에서 고농도 (LEL 25%)의 VENT GAS의 유입 시 에는 ㅿT가 300~400℃로 크게 되므로 이를 예측하여 운전 모드가 전환되도록 설계 할 것.

(6)고농도 유입 시에는 온도 상승이 순간적(수초 이내)으로 일어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방 지 할 수 있는 설계 SYSTEM을 채택할 것.

(7)예측되는 모든 경우를 따져 어떤 경우에도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설계할 것.

(장비 용량 및 운전 방식 등)

   

3. TANK STATION 설계 예

(1)설계 검토서

1)전체 TANK AREA는 1개의 AREA로 통합하여 각각 VENT되는 VOC FUME를 모아 처리하도록 함.

-TANK 운전은 25℃, BREATHER VALVE인

-25~75 mmAq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동일 물질에 대해서는 동시 가동율을 1대로 선정 하였다.

-하루에 입고될 수 있는 TANK 개수는 종류별로 각각 1대이며 최대 6개소로 적용 하였으며 시간당 최대 입고량은 1,500 Nm3/hr(2,070 Nm3/hr 적용)를 적용하였다.

2)발생 농도의 산정은 달톤의 분압 법칙에 의해 산정하였고 이 값의 50 %로 적용함. (∴ 경험상 TANK의 VENT 농도를 측정하면 온도에 의한 분압 계산의 농도보다 훨씬 낮게(10~30% 이하) 발생된다. 그 이유는 TANK 내에 온도가 외부의 온도보다 낮게 유지되고 SOLVENT의 무게가 공기보다 무거워 하부의 농도가 높아지며 이 부분 에서의 분압이 이론치와 같이 되므로 상부의 농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유지되기 때문 이다.)

3)도표 #1(별첨)에 해당되는 TANK들로서 동시 VENT될 수 있는 TANK는 각기 발생물질이 다르고 PUMPING량이 다른 TANK 6개소를 선정하였다. 단, GASOLINE TANK VENT는 VENT시 농도가 상당히 높고 N2 봉입 TANK가 있으므로 DILUTION AIR를 넣지 않고 직접 RTO까지 이송, 50% 이상은 RTO BURNER에 주입하여 완전 연 소화시키고 50% 이하는 RTO INLET에 삽입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안정적이고 경제 적인 방식을 채택하였다. 이때 RTO의 용량은 24,156 Nm3/hr이나 GASOLINE 연소시

열량이 4,500,000 kcal/hr 정도 발생되므로 이를 안정적으로 운전하기 위해서는 45,000Nm3/hr 정도의 용량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RTO 용량은 여유율을 감안하여 30,000 Nm3/hr를 선정(추후 TANK LORRY 등의 VENT 이송도 가능)하고 MAIN FAN은 45,000 Nm3/hr을 선정하여 MAX. 발생 조건인 GASOLINE이 3,000 ㎘/12hr 정도 LOADING 되더라도 원활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4)이때 6개소에서 발생될 수 있는 VENT량을 처리 할 수 있도록 하되 개소는 동일 물질을 입고할 수 있는 TANK의 개수가 제일 많은 것 중에서 1개씩 총6개소의 VENT량으로 하고 발생 POINT에서 LEL 25% 희석되어 이송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에 이 상이 없도록 선정함. 단, LEL 25%량이 PUMPING량보다 작을 경우에 PUMPING량에 20% 할증율을 더한 값을 VENT량으로 적용함.

5)상기에서와 같이 6개소의 TANK VENT량과 LOADING되지 않는 TANK의 LEAK 량을 합산한 VENT 풍량 25,256 Nm3/hr에 할증율을 적용하여 30,000 Nm3/hr로 선 정.(당 공장의 하루 최대 PUMPING량은 35,000Nm3/day(1,500 Nm3/hr)이므로 각 TANK별 PUMPING량군을 고려하여 상기와 같이 선정하였을 경우 2,070 Nm3/hr임 - PUMPING량 6개소 TANK 합산치)

* GASOLINE TANK는 LOADING시 GASOLINE VENT량이 너무 많으므로 LEL 25%로 희석하여 RTO까지 이송할 경우에는 DUCT SIZE가 너무 크므로 VENT량 그대로 RTO 근처까지 이송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경제적이겠다. 더욱이 이 TANK는 질소 CHARGING이 되어 있으므로 VENT량 그대로 이송하더라도 안전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 단지 이론 계산대로 GASOLINE이 VENT될 경우 이를 그대로 RTO에 주입할 경우 에는 RTO가 급격히 온도가 상승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MAIN BURNER를 통해 직접 연소시키는 방식과 DILUTION AIR를 적당히 혼입하여 RTO에 공급하도록 하여야 한다.

특히 이 때 RTO는 FAN이 MAX.(45,000 Nm3/hr)으로 운전되어 1차적으로 안전 운전을 하게 되고 그래도 온도가 높아질 경우에는 HOT BY PASS 및 QUENCHING AIR 공급등이 작동하여 운전하도록 설계, 적용되었다. 또한 DETAIL 설계시보다 면밀히 검토하여 QUENCHING AIR 공급량을 적절하게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6)FAN 용량은 RTO 용량보다 훨씬 많은 여유율을 적용하여 45,000 Nm3/hr의 용량을 선정하여 보다 많은 양이 동시에 배출될 때를 고려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선정함.

단, 질소 봉입된 GASOLINE VENT GAS는 별도의 FAN을 사용하여 RTO BURNER에 직접 공급하는 방식을 병행하여 채택함.

(2)경제성 검토

1) 운전 방식 채택

① MANUAL ON-OFF SYSTEM

MANUAL 운전방식은 각 TANK의 VENT DUCT를 DAMPER를 설치하여 LOADING에 따라 ON-OFF 방식으로 LOADING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LEAK되는 양을 흡입할 수 있는 최소 용량 50 Nm3/hr만을 흡입 처리하고 LOADING시에는 발생량에 희석 공기를 주입 LEL 25%량으로 하고 이를 처리할 수 있는 양으로 VENT되게 하여 VOC FUME이 함유되어 있지 않는 일반 공기의 혼입을 최대로 억제토록 설계함.

이것은 TANK STATION의 경우 일반 생산 공장의 TANK와 달리 LOADING과 UNLOADING이 계속적으로 일어나지 않고 단속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일반 공장 과 같이 항상 일정량의 VENT량을 흡입하여 연소 장치로 처리할 경우에는 연료비가 너무 상승하기 때문이다.

② AUTO ON-OFF SYSTEM

AUTO ON-OFF SYSTEM은 DAMPER를 MANUAL로 ON-OFF 하지 않고 LOADING 및 BREATH VALVE OPEN시 자동으로 DAMPER를 OPEN하는 방식이 다. BREATH VALVE의 VENT는 TANK에 따라 다르지만 일정압 (예 100mmAq) 이상이 되면 OPEN되고 일정압 (예 50mmAq) 이하가 되면 CLOSE되는데 이 조건 을 이용 TANK BREATH VALVE INLET에 방폭형 PRESSURE S/W를 부착하여 BREATH VALVE가 OPEN되는 압력에서는 DAMPER를 자동으로 OPEN시키고 CLOSE되는 압력에서는 DAMPER를 자동으로 CLOSE시키는 SYSTEM이다.

이때 OPEN시에는 LEL 25%로 VENT GAS를 희석하여 이송시키고 CLOSE시에는 최소의 공기를 이송(자연 LEAK량)시킴으로써 아주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한 장치이다.

또한 운전실에서 DAMPER의 OPEN-CLOSE 상태를 관찰할 수 있어 안전 운전에 바 람직하다. 초기 설치비가 많이 소요되는 것이 단점이다.

2) LOADING 운전 중 연료비 소모량 추정

RTO의 무연료 운전 조건은 도표 #3(별첨) FLOW HEAT BALANCE 에서와 같이 VOC 연소시 54,896 kcal/hr의 열량이 발생되며 BURNER의 열량이 필요치 않다. 즉 도표 #1(별첨)에서 보면 LOADING시 VOC 연소열이54,896kcal/hr 이하가 되는 TANK 는 초산 TANK에만 해당되므로 이외의 TANK는 1개소만 LOADING하더라도 무연료 운전이 가능하다.

3) LOADING이 전혀 없을 경우 운전 연료 소모량 추정 LOADING이 전혀 없을 경우에 는 모든 TANK의 VENT SOURCE는 DAMPER가 OFF가 되고 이 때는 최소의 풍량만

INVERTER FAN 및 DAMPER에 의해 처리되게 된다.

-최소 운전 풍량은 27개소 x 50 Nm3/hr =1,350Nm3/hr 이다.

LEAK량을 포함하여 장비 용량의 10% 풍량인 3,000 Nm3/hr로 운전된다고 하면 이 때 운전에 필요한 열량은 연소실 운전 온도를 유지하기 위한 열량 + 방열 손실 열량이므 로 FLOW HEAT BALANCE (도표 #3[별첨])과 같이

3,000 Nm3/hr x 24℃ x 0.32 kcal/Nm3℃ + 30,000 kcal/hr = 53,040 kcal/hr 이다.

이 때 COMBUSTION AIR 손실 열량이 추가되므로 총 필요열량은 54,896 kcal/hr이다.

※ TANK LOADING이 거의 없는 시간을 연간 평균 40%로 적용하면 연중 필요 열량은

54,896 kcal/hr x 24 hr/day x 365 day/year x 40% = 192,355 Mcal/year이며

경유 650 원/ℓ을 적용할 경우

192,355 Mcal/year ÷ 8,600 kcal/ℓ x 650 원/ℓ ≒ 14,538,000 원/year 이다.

운전조건 변화시간 등의 변화를 고려하더라도 연간 30,000,000원 정도의 연료비로 충분 히 운전될 것으로 예측된다.

(3)안전성 검토

1) 연소장치(RTO)를 안정적으로 운전하기 위해서는 크게 2가지 차원에서 생각할 수 있다.

∙고농도 유입으로부터의 폭발 및 역화방지

∙고농도 유입시 장비의 파손 등

첫째 고농도 유입으로부터의 폭발 및 역화방지 대책으로서는

①어떤 경우에도 LEL 이상의 GAS가 흡입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적절한 설계 적용과 운전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를 위해 VENT량을 공기로 희석, LEL 25%가 흡입되게 설계하고 운전 적용시에는 반드시 LOADING VALVE를 OPEN하기 전에 VENT DAMPER를 OPEN하여 설계 풍량으로 공기와 희석시켜 DUCT 내로 유입되도록 하여 한다.

②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안전 장치로 DUCT 내에 FRAME ARRESTER를 삽입하였 고 또한 RTO로 유입되기 훨씬 전에 MAIN DUCT에 LEL DETECTOR를 삽입하여 RTO로 처리하기에 부적절한 농도 혹은 안전 농도 LEL 25% 이상의 농도가 유입될 경 우 이를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둘째 고농도 유입시 장비의 보호 문제는 고농도를 미리 LEL DETECTOR(VOC ANALYZER)로 감지하여 RTO 흡입 전에 희석 공기를 주입할 수 있는SYSTEM을 채 택하고 또한 미리 RTO CHAMBER내의 열을 외부로 방출할 수 있는 HOT BY PASS DAMPER 및 QUENCHING AIR 공급 장치 등을 채택되어야 한다. 또한 고농도시 문 제가 될 수 있는 RCO나 BIO FILTER 등을 절대로 사용치 않고 이를 대처할 수 있는 CERAMIC을 삽입한 RTO를 적용 채택함이 바람직하겠다.(TOLUENE BASE로 RCO 의 경우 1,500 ppm 이하 BIO FILTER의 경우 500 ppm 이하가 적당함. 환경부 설계 지침서 참조)

Ⅱ. BAKE or OVEN의 EXHAUST GAS 처리

OVEN에서 발생되고 EXHAUST GAS의 처리는 생산 제품에 따라 발생량을 예측할 수 있고 생산 제품에 따라 거의 일정하게 배출되기 때문에 석유 화학 공장에서 발생되는 것 보다는 적용이 보다 안정적이고 경제적일 수 있으나 이의 적용 설계는 생산 제품에 따라 상당히 중요하기 때문에 석유 화학 공장에 적용하는 것 이상으로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1. EXHAUST GAS량의 산정

TANK VENT의 경우에는 LEL 25% 등을 맞추어 설계하면 되지만 생산 OVEN에서 발 생되는 GAS의 배기량은 다음 3가지 조건에 의해서 결정된다.

(1)OVEN 내의 온도가 고온 (발화온도 이상) 이기 때문에 LEL 25% 이하로 배출될 수 있 게 안전 풍량으로 설계할 것.

특히 OVEN내 설계가 배출되는 SOLVENT를 적절히 배기 될 수 있는 SYSTEM으로 설계할 것.(정체 현상이 없도록 설계)

(2)제품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풍량으로 설계할 것.

(내부 TAR 정체 등에 의한 품질 저하 방지 등)

(3)OVEN의 개구부를 통해 실내로 OVEN내의 GAS가 확산되지 않도록 배기 풍량을 결정 할 것.

이상과 같이 생산 OVEN의 경우에는 3가지 조건에 의해 만족할 수 있는 풍량으로 결정 하면 되지만 LEL 25%에 가까운 고농도의 SOLVENT가 배출될 경우 연소 처리할 경우에는 연소 장비의 선택에 따라 이에 맞게 적절한 풍량을 재산정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즉 종전에 가장 많이 적용한 TO(열산화법)의 경우에는 농도를 LEL 25%이하로 유입하면 문제없으나 CO(촉매 소각)나 RTO(재생 열 산화법)의 경우에는 장치의 특성상 연소시 상승 온도에 의한 농도를 감안하지 않으면 장치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2. OVEN의 배가스 처리 연소 장치의 선택

종전의 경우 OVEN에서 배기되는 배가스의 연소 처리 장치로 유럽이나 미국의 경우에 는 TO가 가장 만이 적용되었고 가까운 일본의 경우에는 CO가 가장 많이 적용한 것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연소법에 의한 방식의 적용이 늦어져 대부분 OVEN에 서 발생되는 GAS를 냉각한 후 흡착탑으로 흡착 처리하는 비효율적이고 비경제적인 방식 을 적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 방식 즉 OVEN에서 발생되는 VENT GAS를 물로 직접 냉각시킨 후 흡착이 나 흡수 방식에 의해서 처리하는 방식은 철저히 근절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아주 비효율 적이고 비경제적이며 제2차 오염 물질 (폐수 혹은 폐기물)의 발생이 유발되기 때문이다.

OVEN에서 발생되는 SOLVENT의 처리 장치의 선정은 생산 조건 즉 생산 시간, 배가스 성상, 농도, 온도 가스량에 의해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1)TO 설비의 적용

-TANK 및 분진 등이 함유되고 농도가 비교적 높을 경우

(분진이 많이 함유 되었을 경우에는 별도 처리 필요)

(2)RTO 설비의 적용

-농도가 비교적 낮고 풍량이 클 경우

(3)CO 설비의 적용

-농도가 비교적 높고 풍량이 적을 경우

-촉매독이 함유되지 않은 경우

(4)RCO츼 경우

-농도가 낮고 풍량이 클 경우 촉매독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상기의 설비는 열회수 장치 (열매체유 혹은 HOT AIR 등)와 겸용하여 선택되면 아주

경제적임

3. BAKE & DRY OVEN 배가스 연소장치 적용 설계 예

(1)GENERAL

1)일반사항

본 기술사양서는 COATING OVEN에서 발생되는 휘발성 유기용제 및 악취물질을 함유한 VOC FUME을 법적허용 기준치 이내로 정화 처리하여 배출하므로써 주변환경 을 쾌적하게 개선하기 위해서 경제적이며 정화효율 및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축열식

연소설비 (RTO)를 시설하는 것이다.

설비의 개략적인 내역은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축열식 연소설비를 설치하여 배기 가 스를 연소 정화시키면서 연소열을 축열재에 축열 재이용하므로써 거의 무연료 운전 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축열식 연소 설비에서 배출되는 배기 가스중 일부를 열매 H/E 를 이용하여 에너지 이용 합리화를 극대화시킨 SYSTEM이다.

2)DESIGN BASIS

2-1)DESIGN CONDITION

①배출시설 : COATING OVEN 5기

②배기가스 발생조건 : 24,000 Nm3/hr @ 150℃(400 Nm3/min)

③유기용제 발생량 : 유기용제 발생량 및 풍량산출참조

④작업시간 : 20 hr/일, 300 일/년

⑤설치위치 : 실내/실외

⑥방폭구분 : 비방폭 기준

⑦UTILITY : 각사 UTILITY 조건 명시

2-2)DESIGN BASIS

①방지시설 운영 : 24,000 Nm3/hr

②배출가스 온도 : 150℃

③유기용제 발생량 : 225 Kg/hr

④유기용제 발열량 : 1,907,665 Kcal/hr

⑤ΔT (상승온도) : 248℃

⑥외기온도 : 20℃

⑦처리효율 : 95%

⑧THERMAL EFFICIENCY: 95%

⑨방지시설 SYSTEM : 2-BED RTO SYSTEM

2-3)GUARANTEE CONDITION

①처리효율 : 평균 95% 이상

②THERMAL EFFICIENCY: 95 %

③CO : 평균 50ppm 이하

④THERMAL NOx : 평균 50ppm 이하

* 현행법규 및 DESIGN 조건

   

분류

현행법규

DESIGN

GUARANTEE

비고

CO

600 ppm

30 ppm

50 ppm

  

NOx

200 ppm

30 ppm

50 ppm

THERMAL NOx에 한함.

THC

처리효율 90%

처리효율 98%

처리효율 95%

  

악취

2도

1도

1도

  

(2)SYSTEM CALCULATION

1)VOC QUANTITY & HEAT VALUE

①VOC QUANTITY

- 발생량 : 225 kg/hr

- 발생열량 : 1,907,665 kcal/hr

②VOC 산화에 의한 온도상승 : 248℃

2)REACTOR RESIDENCE TIME

①DESIGN PARAMETER

㉠EXHAUST AIR ANALYSIS

-EXHAUST AIR FLOW : 24,000 Nm3/hr

- COMBUSTION AIR : 3,000 Nm3/hr

㉡OPERATING TEMPERATURE : 850℃

㉢RESIDENCE TIME : 1 sec

②ACTUAL FLOW

:(24,000 Nm3/hr ÷ 60 min/hr) x (273 + 850) /273 ≒ 1,645 m3/min

③INSIDE VOLUME REQUIRED

: 1,645 m3/min ÷ 60 sec/min x 1sec ≒ 27.4 m3

④INSIDE VOLUME : 28 m3 이상

⑤RESIDENCE TIME : 1.0 sec

3)FORCED DRAFT FAN

①PRESSURE DROP

OVEN EXHAUST DUCT 50 mmAq

RTO 350 mmAq

STACK 50 mmAq

FILTER BOX 50 mmAq

OVEN SUPPLY DUCT 150 mmAq

OTHERS 50 mmAq

   

I.D FAN -300 mmAq

TOTAL 400 mmAq

②FLOW RATE 500 Nm3/min (FAN 선정)

③TEMPERATURE 150℃

④FORCED DRAFT FAN

- MOTOR POWER (INVERTER MOTOR)

(500 x 400) ÷ (6,120 x 0.65) x 1.2 x (273 + 150) ÷ 293 ≒ 87 KW (120 HP)

4)INDUCED DRAFT FAN

①FLOW RATE 500 Nm3/min (FAN 선정)

②TEMPERATURE 200℃

③INDUCED DRAFT FAN - MOTOR POWER

(500 x 300) ÷ (6,120 x 0.65) x 1.2 x (273 + 200) ÷ 293 ≒ 73 KW (100 HP)

(3)SYSTEM DESCRIPTION

1)일반사항

RTO 장비는 고효율의 축열방식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폐가스를 높은 열에 의하여 산화시키는 시스템이다. 작동원리는 다음의 그림에서 나타난 바와 같다.

   

각각의 축열 CHAMBER에는 CERAMIC MEDIA BED가 있어서 열을 축적하는 역할 을 하며, 이것은 폐가스가 통과하는 방향에 따라서 열을 축적하기도 하고 방산하기도 한다.

포집되어 이송되는 낮은 온도의 폐가스는 CHAMBER A에 도달하여 CERAMIC

MEDIA BED를 수직으로 통과하게 되며 이때 이 폐가스는 축열된 CERAMIC BED에 의해서 가열된다. (CERAMIC BED는 이미 전단계에서 상당히 가열되어 있다.) 가열은 산화에 필요한 온도 (오염물질 종류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약 850℃) 에 근접하 게 이루어지며, 결과적으로 동 CHAMBER A CERAMIC BED의 온도는 열교환 원리 에 의하여 상당히 하강하게 된다.

산화에 필요한 온도는 보조연료를 사용하거나 혹은 폐가스에 함유된 VOC가 충분한 발열량을 가지고 있을 경우 동 폐가스 중에 포함된 VOC의 자체 연소에 의해서 이루 어진다.

산화에 필요한 폐가스의 평균 체류시간(RETENTION TIME)은 약 1초이다.

산화된 폐가스가 CHAMBER A를 떠나서 CHAMBER B의 CERAMIC BED를 수직 하향 방향으로 통과하게 되며 이때 CERAMIC BED (전단계에서 이미 COOLING 상태 에 있음.)는 축적되어서 다음 SEQUENCE에 폐가스를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SYSTEM 은 SWITCHING 되어 CHAMBER B로 폐가스가 유입되고 CHAMBER A로 유출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시스템의 ONE CYCLE은 오염물질의 양과 성질과 같은 구체적인 공정조건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약 90~180초 정도 걸린다.

RTO SYSTEM의 설계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하여 선택되어 지는 것이 바람직 하겠다.

- 폐가스의 량과 VOC 농도의 변화에 따른 시스템의 적응성

(FLEXIBILITY) ; 전열면적이 넓은 HONEYCOMB TYPE의 축열재를 사용하여 이 러한 변화에 용이하게 적응할 것.

- 재생된 열을 사용하여 폐가스를 VOC 산화온도에 근접하게 예열시키므로 보조연료 가 최소로 될 것. (VOC FUME 정상 발생조건하의 운전시에는 보조연료가 전혀 필 요없음)

- 보조연료가 거의 필요없으므로 2차 오염물질 (예: NOx, CO2) 의 발생이 매우 낮을 것.

- 축열재를 BY-PASS 시켜 산화온도를 조절하므로써 운전조건이 변화하더라도 시스 템을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VOC 제거효율이 아주 높을 것.

- 설비의 설계와 운전조건을 단순화하고 보수 유지비용이 저렴하고 장비의 수명이 길 어야 한다..

2) FACILITY DESCRIPTION

본 설비의 RTO SYSTEM은 이 분야에 많은 경험을 축적하고 있는 선진국의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설계 적용되어야 한다. 본 SYSTE은 그동안 가장 많이 적용된 2 CHAMBER TYPE을 적용하였으며, VOC 농도변화에 완벽하게 적응할 수 있는 설계로 되어 있다.

축열식 연소설비는 2개의 CERAMIC MEDIA CHAMBER, COMBUSTION CHAMBER 1개, BURNER SYSTEM SWITCHING VALVES & IN/OUT MANIFOLD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설비 의 VOC 정화효율은 95% 이상이다.

COMBUSTION CHAMBER

COMBUSTION CHAMBER는 폐가스 기밀상태를 완벽하게 유지하도록 철판 용접구 조로 되어 있으며 철구조물 위에 설치되고 각각의 열교환용 CERAMIC CHAMBER 들은 FLANGE 연결 구조이며 모든 부분품들은 운송사정이 허락하는 한 최대한 사전 조립되어 현장으로 이송된다. COMBUSTION CHAMBER의 운전온도는 850℃ 이며 최대 설계온도는 1,100℃로 되어 있으며 체류시간은 운전온도인 850℃에서 최소 1초 이상이 되게 하였다.

COMBUSTION CHAMBER는 내부에 CERAMIC Y-MODULE (PYRO-BLOC) 200t INSULATION 구조로 되어있다. 이러한 내부 표면의 단열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 총 장비 중량의 감소

- THERMAL SHOCK에 강함.

- 온도차이에 덜 민감하므로 가열시간이 단축됨.

- 연소실에서 온도를 제어하기가 용이함.

- 손상될 경우 수리가 용이함.

CERAMIC MEDIA CHAMBER (CERAMIC HEAT EXCHANGER)

본 시스템에 적용되는 열회수용 축열재는 95% 열효율을 갖는 축열 성능이 우수하고 압력손실이 최소가 되는 HONEYCOMB TYPE CERAMIC MEDIA를 선정하였다.

BURNER SYSTEM

RTO 설비의 BURNER SYSTEM은 GAS TRAIN과 BURNER CONTRO SYSTEM 을 갖는 1개의 BURNER로 구성된다. BURNER는 신뢰성이 가장 높은 ECLIPSE 혹은 동등이상 제품을 사용하였으며 설비의 특성을 고려하여 20:1의 TURNDOWN RATIO를 갖도록 하였다.

GAS TRAIN은 NFPA의 승인된 제품을 사용하였다.

VALVE

INLET, OUTLET VALVE는 POPPET TYPE으로 100% 밀폐가 가능한 특수 구조이 며 450℃, 500 mmAq까지 견딜 수 있으며 공압 실린더에 의하여 작동된다.

FORCED DRAFT FAN & INDUCED DRAFT FAN

설비의 특성상 안정성 및 동력을 고려하여 INVERTER 압입 송풍 방식와 유입 송풍 방식의 TURBO TYPE의 송풍기를 선정하였다.

또한, FORCED DRAFT FAN INVERTER를 적용하여 운전조건에 따라 MOTOR의 회전수를 조절할 수 있어 동력비를 절약할 수 있음.

CONTROL PANEL

NEMA-4 CONTROL PANEL로서 CONTROL SWITCH, TEMPERATURE CONTROLLER / RECORDER, HIGH LIMIT, FUSES, PUSH BUTTON, INDICATING LIGHT, CONTROL TRANSFORMER,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및 BURNER MANAGEMENT SYSTEM으로 구성된다.

PANEL은 NEC STANDARD로 구성되며 REMOTE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PLC는 ALLEN BRADLEY SLC 500을 사용하였다.

INSTRUMENTS

RTO에 필요한 INSTRUMENTS는 사양에 맞게 공급 (PNEUMATIC 혹은 CYLINDER TYPE) 한다.

연돌 및 점검구 설치

연돌은 대기배출이 잘 되는 타입으로 제작하고 점검구와 점검사다리 및 안전대가 설 치되어야 한다.

OTHERS -INSULATION

모든 설비의 표면온도는 외부온도 +50℃가 넘지 않도록 보온한다.

3)폐열회수설비 (풍량 배기조건 및 열매유 공급조건)

3-1)열매 H/E

축열 연소설비에서 생성된 고온의 폐가스를 BY-PASS 시켜 이를 열매체 H/E을 통 과시키므로서 열매유를 적정열량까지 HEATING 시키고, 이를 OVEN에 공급함으로서 에너지 합리화를 극대화시키는 장치이다. 즉, 일정량의 VOC FUME이 발생되면 자 체열에 의해 VOC FUME을 완전연소화 시키고 공정에서 필요한 열량만큼을 BY-PASS 시켜 열매유를 가열시키는 SYSTEM이다. 이때 열매유가 OVEN에 필요로 하는 적정한 온도를 공급하게 된다.

3-2) 배기풍량 배기조건

VOC FUME의 연소설비가 1대이고, 배기되는 가동 조건에 따라 RTO의 부하가 신속 하게 또한, 정확하게 대처하여 처리하여 주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 위해서는 OVEN 배 기 FAN 각각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DAMPER CONTROLLER를 삽입하고 MAIN FAN은 INVERTER를 사용하여 어떤 경우에도 각각의 OVEN 배기가스량이 적정량 을 배출하는 것은 물론, 운전 중인 OVEN의 배기가스량이 흔들림이 없도록 설계하였다.

3-3) 열매유 공급조건

배기량의 BALANCE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열매유 공급조건이다. 이는 850℃의 HOT GAS를 직접 열매를 통과시켜 열을 회수할 경우 경우에 따라서는 열매유의 탄화 등에 의해 손상 될 수 있기 때문에 순환 FAN을 삽입하여 적정 온도로 냉각하여 줌으로서 안전을 유지하고 열 교환 효율을 극대화 시켰으며 이 장치는 열매유 순환 계통이 고장 났을 경우 특히 보완 장치로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OVEN의 부하변동에 따라 온도 SENSOR의 값을 PLC에 의해 적산 열매 H/E의 부하를 조절해 줌으로서 어떤 경우에든 지 일정온도의 열매유를 공급하므로서 공정에 지장이 없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공급온도 및 회수온도의 조건을 감지하고, 이를 합산 적용하여 제어하는

2 STAGE 2 POSITION 제어방식을 채택하였다.

(특허 제 0314112호)

VOC GAS 처리방법

   

구 분

축열식 연소장치 (RTO)

비 고

운 전 원 리

축열에 의한 직접 열교환 방식으로 VOC GAS가 연소될 때 발생되는 열량을 CERAMIC 축열재를 이용 축열시키고, 이 축열된 열로 VOC GAS를 승온시켜 VOC GAS를 적정하게 연소시켜 처리하는 장치임.

연소실 운전온도 : 760~850℃

  

설 비 특 징

- 열회수 효율이 아주 높다. (95% 이상)

- VOC GAS 풍량이 클수록 경제적임.

- 적용범위가 크다

- VOC GAS 온도가 상온이나, 낮은 경우 유리하다.

- VOC 제거효율이 높다.

(2-BED 95%이상, 3-BED 99%이상)

  

장 점

- 열회수 효율이 아주 높다. (95% 이상)

- 단일기기로 대용량 처리가 가능.

- 같은 조건일 경우, 다른 기기와 비교해 보조연료 사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 VOC 처리효율이 높다.

- 처리 GAS 성분 중 촉매독 성분에 대한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적용 범위가 크다.

- 고온운전이면서 NOx 발생 비율이 낮다.

(THERMAL NOx 30 ppm 이하)

- 배출 GAS 온도가 낮아 후단 부대 설비 관리가

용이하다.

- 설비운전에 운전자 숙달도가 별로 중요하지 않다.

- 설비가 단순 간결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고장 발생 빈도가 타기기에 비해 매우 낮다.

- 소모품이 거의 필요 없으며, 내구기한이 제일 길다.

- 운전중 VOC 농도가 변해도 적응운전이 용이하다.

  

단 점

- 설비비가 비교적 고가이다.

- 동력 (전기) 사용량이 비교적 많이 필요하다.

- 설치면적이 비교적 많이 필요하다.

- 설비 중량이 크다.

  

   

구 분

축열식 연소장치 (RTO)

비 고

적용가능 VOC농도

∙TOLUENE 1,139 ppm MEK 1,165ppm DMF 288ppm

solvent 총발생량 225Kg/hr 적용

VOC

처리효율

∙ 2 BED TYPE : 95 % 이상

(3 BED TYPE : 99% 이상)

  

예상수명

∙ CERAMIC HONEYCOMB : 10년

(운전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 음)

  

VOC

발생열량

∙ 400 Nm3/min 기준

∙ 1,907,665 kcal/hr

620m3/min@150℃ 적용

연료

소모량

∙ 초기가동시 :

2,000,000kcal/hr÷10,500kcal/Nm3×1hr/회×

300회/년≒57,143Nm3/년

∙정상운전시 : 300,000kcal/hr÷ 10,500kcal/Nm3 ×20hr/day×300일/년 ≒ 171,429Nm3/년

∙ 총소모량 : 171,429Nm3/년+57,143Nm3/년

= 228,572Nm3/년

(운전조건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계산상 정상운전시

소모량은

120,975Kcal/hr

이나 여유율을 감안하여 300,000Kcal/hr을 적용

연료비

∙ 풍 량 : 400 Nm3/min @ 150℃

∙ 가동시간 : 20 hr/일 x 300 일/년

∙ 사용연료 : LNG (10,500 kcal/Nm3)

∙ 연 료 비 : 388원/Nm3

228,572Nm3/년×388원/Nm3 = 88,685,936원/년

연료 발열량 및 단가는 대구도시가스에 문의하여 금년도 기준으로 적용

동력비

∙ 풍 량 : 400 Nm3/min @ 150℃

∙ 가동시간 : 20 hr/일 x 300 일/년

∙ 전 력 비 : 60원/1Kwh

150Kw×20hr/day×300day/년×60원/Kwh

= 54,000,000,원/년

FAN 설치 용량은180Kw 이나 invter 사용시 실제 소모량을 계산 적용

   

구 분

축열식 연소장치 (RTO)

비 고

년 간

총 운 전 비 용

(연료비 및 전력비)

연료비 + 전력비

= 88,685,936 원/년 + 54,000,000

= 142,685,936 원/년

  

연 간

이 익

금 액

① 열회수 금액 및 운전비 대비

(1,209,600Kcal/hr+1,350,000Kcal/hr)÷10500Kcal/Nm3 × 20hr/day ×300day/년 × 388원/Nm3 ≒ 567,499,885원/년

② 개선전 연료소모비 및 개선후 운전비 대비

49,884,000원/월×12월/년-142,685,936원/년

=455,922,064원/년

  

비 고

∙ 상기 년간 이익차액을 개선전 추정 연료 소모비

- 개선후 이론 연료

소모비로 적용할 경우

49,884,000원/월 × 12월/년 - 142,685,936원/년

= 455,922,064원/년

즉 최소한 4억 정도의 운전비 절감효과가 있을 것으로 계산됨. 더욱이 연료비 상승이 매년 증가하는 것과 환경법 이 강화됨에 따라 환경장비 운전비 상승을 고려할 경우에 더욱더 큰 이익이 될 것으로 예측함

  

※ 이론적인 계산비교이므로 실제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 연료비 및 동력비는 현지 사정에 적합하게 조정되어야 함.

※ 연료비는 운전조건 (START-UP 횟수) 등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음.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VOC 제거 기술 동향  (0) 2016.06.26
SCR 탈질기술  (0) 2016.06.26
RTO 비교  (0) 2016.06.26
Sift-MS  (0) 2016.06.26
촉매  (0) 2016.06.26

RTO 비교

관련기술2016. 6. 26. 12:09

Comparison of a Regenerative Thermal Oxidizer to a Rotary Concentrator

By Stephen W. Blocki, P.E

Courtesy of Dürr Systems, Inc. - Environmental and Energy Systems

Originally published 2003

INTRODUCTION

The regenerative thermal oxidizer (RTO) is a very durable, well-proven technology suitable for treating a wide variety of emission streams. However, The RTO may not be the most economical technology available. Two very common systems for treating emissions from coating and finishing processes are the RTO and the concentrator/ oxidizer system. To determine which system is best suited for a given application, the capabilities and life-cycle costs of each must be evaluated and compared.

Below is a summary of the RTO and the concentrator/ oxidizer system, how each operates, how their characteristics affect both plant operation and life-cycle costs, and details on actual life cycle costs and performance data.

ADD-ON CONTROL OPTIONS- CATALYTIC, RECUPERATIVE, AND REGENERATIVE OXIDIZERS, ROTARY CONCENTRATOR

Emissions limits established by the Clean Air Act forced the finishing industry to greatly reduce the solvents exhausted from coating and finishing facilities. Production and quality demands eliminate any chance of reducing emissions through reduced production or alternate coatings. Thus finishers are forced to install an add-on solvent emission control system. MACT standards require that any add-on solvent control system exceed 95% DRE; future requirement of 99% DRE is also possible.

The evaluation by most industry plants to determine the most economical control system takes into account the following factors.

  • Capital and operating costs
  • Expandability- Can the system be expanded when production increases?
  • System down time- Will the entire system shut down if one component requires maintenance?
  • Ability to increase system efficiency- Can the system meet possible future requirements of 99% DRE
  • Ability to handle widely varying solvent loads- The efficiency must remain essentially constant over the wide range of inlet solvent loadings
  • Ability to handle a solvent stream containing 100% ketones- The hazards of readily-oxidizing ketones must be adequately addressed
  • Footprint- Site constraints
  • Noise Levels- Surrounding offices and residential areas may mean noise is a concern

Several solvent control technologies can be considered, including solvent recovery, recuperative, catalytic, and regenerative oxidation, and rotary solvent concentration. The recuperative and catalytic oxidizers are quickly eliminated because at large air volumes and relatively low solvent levels the operating cost were prohibitive.

The evaluation for the most economical and efficient solvent emission control system therefore focuses on: a) a large stand-alone regenerative thermal oxidizer (RTO); and, b) a rotary solvent concentrator followed by a small RTO.

SUMMARY OF THE RTO

An RTO consists of a combustion chamber located above several energy recovery chambers (see Figure I). The energy recovery chambers are filled with ceramic heat exchange media. The solvent-laden air enters the inlet header and is directed to one of the energy recovery chambers through an inlet control valve. The air passes through the heat exchange media, adsorbing heat from the media. It then enters the combustion chamber at a temperature very close to the oxidation temperature. The oxidation process is completed in the combustion chamber. A gas burner maintains a preset oxidation temperature. If the incoming air contains enough solvents, the solvent combustion energy provides the necessary heat to raise the temperature to the combustion set-point.

The clean air leaves the RTO through the heat exchange media of an adjacent chamber. The energy in the clean, hot exhaust air is transferred for storage to the heat exchange media. The clean air then passes through the exhaust manifold and is discharged through a stack to atmosphere. The temperature of the air as it leaves the RTO is close to the temperature of the incoming air. At least one chamber is always on inlet mode and one chamber on outlet mode to allow the RTO to continuously process a solvent-laden air stream.

The RTO is often equipped with a purge system, which clears out solvent-laden air trapped below the heat exchange media. The automatic purge cycle forces the trapped solvent-laden air into the combustion chamber where the solvents are destroyed. The purge system ensures a continuous high destruction efficiency. RTOs are typically designed for heat recovery of up to 95% and up to 99% DRE.

SUMMARY OF THE ROTARY CONCENTRATOR

For air streams with relatively low solvent concentration, rotary concentrators can be used to concentrate the emissions into smaller air streams that can be handled much more economically.

The rotary concentration system is designed to continuously adsorb solvents from an air stream onto an adsorbent media and discharge clean air. This is achieved through the use of a moving adsorbing wheel, a section of which is simultaneously desorbed. This design eliminates the need for dual running and stand-by adsorption beds. Solvents are adsorbed onto the adsorbent material and the clean air exits through the center of the cylinder. A portion of the rotating cylinder is simultaneously desorbed by passing hot air through a section of the cylinder. This desorption section is sealed off from the remaining adsorption section of the rotor by seals, so that very high efficiencies can be obtained in the system. Capture efficiencies for this type of system may be as high as 99%. Rotary concentration systems can be designed using zeolite or activated carbon as adsorption media.

COMPARISON OF FEATURES

RTO

Rotary Concentrator

Expandability

  

Additional chambers can be added to the RTO for increased capacity though this is very difficult in practice.

Additional concentrator units in parallel can be easily added for increased capacity; however the desorption equipment and oxidizer must be initially sized for the future capacity.

On-line Efficiency

  

Very high, but if any one component requires the RTO to shut down, the entire abatement system must shut down.

The only moving part of the concentrator is a 0.5 hp motor, which means concentrator down time is very rare; when it does occur, the motor can be change very quickly. If the desorption section or oxidizer shuts down for any reason, the concentrator can remain on line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controlling emissions. Overall system on-line time is therefore extremely high.

Ability to Increase the Destruction and Removal Efficiency

  

The RTO must be designed with a purge system to consistently achieve very high DRE. The DRE can be increased beyond 98% by increasing the combustion temperature but is still limited by the cycling of the valves.

The concentrator can achieve very high efficiencies but the solvent blend must be identified. The oxidizer has a very high DRE because the inlet solvent concentration has been increased 10 times. The overall system can achieve 99.0-99.9% DRE though an exhaust polishing bed may be needed.

Ability to Handle Widely Varying Solvent Loads

  

The RTO can readily handle varying solvent loads, though the DRE will decrease at lower concentrations.

The concentrator can handle varying solvent levels to a point; beyond approximately 1000 ppmC3, design changes may be required (the actual limit is case-specific); The DRE of the concentrator increases at lower concentrations.

Ability to Handle a Solvent Stream Containing 100% Ketones

  

Ketone emissions are no problem for the RTO

Readily oxidizing solvents such as ketones can present flammability problems with adsorption systems. These problems occur most often with fixed bed, batch systems. With continuous systems such as rotary concentrators, the problem is eliminated because the continuous air flow guarantees continuous media cooling.

Footprint

  

A standard layout for an RTO sized for example for 143,500 scfm will not fit in the available area of 65' x 100'.

The concentrator system layout is very flexible and can be located in the 65' x 100' area with room remaining for an additional concentrator to be added in the future.

Noise Levels

  

Significant noise is expected with the large fan capacity required by this size of an RTO; a sound deadener will probably be required.

The noise from a smaller capacity fan will be quite a bit lower.

COMPARISON OF CAPITAL AND OPERATING COSTS

Table I lists order-of-magnitude costs for each system.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many site-specific factors will affect the capital cost of this or any abatement system. Though these costs indicate approximate costs for similarly sized systems, case specifics will change the final cost.

Table I includes fuel and electricity consumption for each option. Key variables such as pressure drop and temperature rise are shown to demonstrate how the technology performance affects operating cost. For example, if the temperature rise across an oxidizer were increased, the impact on fuel consumption, and the impact on operating cost, can be determined.

Table I also includes the amortized costs for components requiring future replacement, such as adsorbent media for the concentrator.

Finally, the local utility rates have been included to show the bottom line operating cost for each technology. These can be readily changed to determine how different utility rates will affect final system economics.

Table I shows that the annual operating cost of the concentrator system, including the amortized cost of periodic replacements, is >80% less than the RTO operating cost.

SYSTEM SELECTION

Both the RTO and the rotary concentrator/RTO are viable control systems. Both systems have limitations that can be overcome with proper design. The RTO is more difficult to fit into a small area, will generate much more noise, and is more likely to shut an entire facility down; the concentrator system involves more components, and will require more routine maintenance.

Factors that favor the concentrator system over the RTO include: the annual operating cost savings per year, and the fact that if part of the concentrator system requires maintenance, most or all of the exhaust air can still be treated- with the RTO, if one component in the system requires maintenance the entire abatement system, and therefore the facility, is down.

CONCLUSION

Many different technologies can efficiently control solvent emissions. Many finishers have found that the RTO and the rotary concentrator followed by a small RTO were both viable options to control their widely-fluctuating ketone emissions. Due to the ability of the concentrator/ oxidizer to control solvent emissions even while portions of the system were undergoing maintenance and because the concentrator system costs much less to install, operate and maintain, the rotary concentrator/ small RTO system is chosen as the preferred system.

The system can also be designed with built-in expansion capabilities. Performance testing on various installations has verified that the concentrator system can achieve the 95% DRE required today and as well as much higher efficiencies possibly mandated in the future.

TABLE I - EXAMPLE OF CAPITAL AND OPERATING COST SAVINGS

  

Direct

Regenerative

Thermal Oxidizer

Rotary Concentrator/

Regenerative

Thermal Oxidizer

BASIS

  

  

Process Exhaust (SCFM)

143,500

240

13,500

$3.30

$0.055

6,000

  

Total VOCs (#/Hr)

  

  

Estimated Heat of Combust (BTU/#)

  

  

Fuel Cost ($/106 BTU)

  

  

Electrical Cost ($/KWH)

  

  

Operation (Hr/Yr)

  

  

FUEL CONSUMPTION

  

  

Oxidizer Capacity (SCFM)

143,500

92 - 93

100

1500

200

100

15,498,000

(3,240,000)

12,258,000

16,500

84

250

1500

450

200

3,564,000

(3,240,000)

324,000

Thermal Efficiency (%)

  

  

Oxidizer Temperatures (°F)

  

  

Inlet

  

  

Combustion

  

  

Outlet

  

  

Temperature Difference

  

  

Fuel Requirements (BTU/Hr.)

  

  

Gross Energy Required

  

  

Energy From Solvents

  

  

Net Purchased Fuel

  

  

ELECTRICAL CONSUMPTION

  

  

Main Fan (Kw)

649

----

6

10

3

668

137

72

6

----

----

215

Desorption Fan (Kw)

  

  

Control Panel (Kw)

  

  

Hydraulic Power (Kw)

  

  

Combustion Blower (Kw)

  

  

Total Kw

  

  

ADSORBER BLOCKS

  

  

Life (Years)

----

8

Replacement Cost ($/Yr)

----

$10,041

TOTAL UTILITY COST

$463,100/yr

$ 87,400/yr

SYSTEM CAPITAL COST

$2,500,000

$2,700,000

The most valuable RTO vendor to the plant will be the one that engages in the knowledge of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the RTO from a wide variety of vendors. Additionally, They will understand the exhaus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wood species within each of the wood products processes so that they may optimize any RTO design based upon plant specific, real time criteria.

   

Pasted from <http://www.environmental-expert.com/resulteacharticle4.asp?cid=616&codi=6491>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R 탈질기술  (0) 2016.06.26
VOC 방지시설 적용, 기술  (0) 2016.06.26
Sift-MS  (0) 2016.06.26
촉매  (0) 2016.06.26
복합압취 처리  (0) 2016.06.26

Sift-MS

관련기술2016. 6. 26. 12:05

현존하는 최고의 가스 분석기가 아닌가 합니다.

   

   

   

   

- 실시간 분석(5초), 캘리브레이션이 필요없고, ppq, ppt 농도까지.....

   

- 질량검출 1~300Da 내, 약 900여종의 라이브러리....

   

- 입안 냄새를 SIFT-MS를 이용하여 무슨 암에 걸렸는지 ......까지도 현재 이용되고 있다합니다.

   

   

   

   

   

   

   

이제는 분석에 소요되는 필요없는 시간이 혁신적으로 줄어들고,

   

   

   

   

분석된 데이터 처리, 활용에 고민할 시대가 온듯 하네요.

   

   

   

   

개인적으로. 한 대 있으면...좋겠습니다. ^^ ㅋㅋ

   

   

   

   

정보 : http://www.atfrontier.com/product/productView.do?goodsSeq=110&gubun=sol&cateSeq=4&currentPage=2

   

   

   

   

   

   

   

   

   

   

SIFT-MS Selected Ion Flow Tube Mass Spectrometry

   

   

환경테라스 :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jjackhaps

2014-12-06 오후 8:14 - 화면 캡처

   

   

   

   

Selected ion flow tube mass spectrometry, SIFT-MS, is a technique for real-time measurement of concentrations of trace gases and vapours of volatile compounds in humid air including exhaled breath. It is based on chemical ionization using H3O+, NO+, and O2+ precursor (reagent) ions via ion/molecule reactions proceeding during an accurately defined time. Absolute concentrations of trace gases can be calculated from the ratios of ion count rates using the know reaction rate constants with a limit of detection being typically 1 parts-per-billion, ppb. SIFT-MS is used in several areas of research including non-invasive breath analysis for clinical diagnosis and for therapeutic monitoring, environmental research and security related research. Flowing afterglow mass spectrometry, FA-MS is a related simpler technique dedicated to rapid precise and accurate determination of deuterium abundance in exhaled breath and liquid headspace used in particular to study body composition and transport of water in relation to dialysis treatment of renal failure.

   

   

   

   

 

   

Overview of research and applications

   

History of SIFT-MS begins with the conception and development of the selected ion flow tube, SIFT, technique, for the study of ion-molecule reactions in the gas phase at thermal energies [1]. SIFT has provided rate coefficients and product ion distributions for thousands of ion molecule reactions [2] including those leading to the observed interstellar molecules. Thus, the idea of absolute measurement is very much embedded in the flow tube approach to the study of ionic reactions. In the SIFT technique, rate coefficients are determined by observing the decay rate of a swarm of mass selected reactant ions, which are being convected along a flow tube by fast flowing helium carrier gas, with reactant molecules that are introduced at a controlled flow rate into the carrier gas. A downstream analytical mass spectrometer/ ion counting system detect both reactant and product ions. SIFT-MS essentially inverts this procedure exploiting the knowledge of rate coefficients of the reactions of the reagent (precursor) ions with the molecules of analytes to determine their concentrations. Reaction times in SIFT-MS are about a millisecond and this allows the real time analysis for example of single breath exhalations.

   

   

   

Chemical ionization in SIFT-MS

   

SIFT-MS is based on chemical ionisation (CI) using selected reagent ions, H3O+, NO+ and O2+, coupled with fast flow tube technology and quantitative mass spectrometry. The reagent ions are chosen so that they do not react rapidly with the major components of air: N2, O2 and Ar, and also CO2 and water vapour, but do react rapidly with trace gases and vapours that are of interest in medical,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research. A crucial difference between SIFT-MS and other CI techniques such as proton transfer reaction mass spectrometry, PTR-MS, that exploit only one reagent ion specie, typically H3O+ ions, is that all three reagent ion species can be used to analyse a given sample. Use of several reagent ions allows positive identification of a compound. For example, reaction of acetone with H3O+ proceeds via proton transfer producing CH3COCH3.H+ at an m/z value of 59, with NO+, the resulting product ion is NO+.CH3COCH3 at m/z 88 and with O2+, charge transfer with partial dissociation results in CH3COCH3+ (m/z 43) and CH3CO+ (m/z 58) and 43 respectively. Isobaric compounds can thus be distinguished by their different reactivity. For example, H3O+ reactions with isobaric compounds acetone and propanal both result in product ions at m/z 59 but NO+ reacts very differently with propanal via hydride ion extraction producing (M-H)+ (m/z 57) O2+ is also a valuable reagent ion that charge transfers with some compounds with which neither H3O+ nor NO+ react, a good examples being nitric oxide, NO, and nitrogen dioxide, NO2. O2+ also reacts with ammonia to produce NH3+, which gives a very valuable check on ammonia quantification obtained using H3O+ reagent ions. The ion chemistry together with its applications in various research fields has been reviewed in [3].

   

   

   

Absolute quantification

   

Absolute concentrations of trace gases and vapours in air, includ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and water vapour, can be calculated in real time using SIFT-MS, by considering the flow tube geometry, ionic reaction time, measured flow rates and pressure and ion-molecule reaction rate coefficients [4]. A combination of SIFT-MS with GC-MS is also showing some promise for absolute quantification of vapours after their separation in the GC column [5].

   

Case studies

   

SIFT-MS has wide-ranging applications in many areas of research including environmental science, animal an human physiology, medicine and cell biology. Outlines of the results obtained from several studies are outlined below to illustrate research carried out using SIFT-MS.

   

   

   

   

Breath analysis

   

Distribution in the healthy population.

   

In order to recognise abnormal levels of breath metabolites that may be indicative of disease [6], it is important to know their levels in the breath of the healthy population. The initial SIFT-MS 30-day study provided distributions of concentrations of the common breath metabolites ammonia, acetone, isoprene, ethanol and acetaldehyde in 5 healthy volunteers [7]. More extensive longitudinal study has been carried out of the breath of 30 healthy volunteers over a 6-month period [8, 9, 10] confirmed the general results of the initial study, but the larger amount of data allowed a better description of the distributions as log normal with a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of typically 1.6. The median concentrations were found as ammonia 833 parts-per-billion, ppb, acetone 477 ppb, methanol 461 ppb, ethanol 112 ppb and isoprene 106 ppb [11]. Recently breath of more diverse volunteer cohorts in the age range from 4 to 83 years was analyzed [12, 13] with a special focus on determining the breath levels of HCN in population. Of great importance is also understanding of the origin of breath compounds, some are truly systemic released in the alveolae, and some are generated predominantly in the oral cavity [14].

   

   

   

Kinetics after ingestion of nutrients

   

A valuable feature of SIFT-MS is that analyses can be obtained in real time on time scales of seconds. Thus, it is possible to follow rapid changes in the level of volatile breath compounds and single breath exhalations can be analysed for several compounds simultaneously allowing relationships between compounds to be explored. To illustrate this, a study of the kinetics of ethanol metabolism and the production of acetaldehyde has been carried out following the ingestion of a small amount of ethanol (typically 5 ml in 500 ml of tap water) [15]. Similarly, time evolution of concentrations of breath acetone and ammonia after ingestion of carbohydrate and protein meals was studied [3]

   

   

   

Monitoring of breath during haemodialysis for patients with end-stage renal failure.

   

An early SIFT-MS study was to carried out to measure the levels of common breath metabolites in the breath of several patients before and during haemodialysis sessions [16]. Levels of breath ammonia prior to dialysis were found to often exceed10 parts-per-million, ppm, as compared to a typical value for the healthy population. Acetone levels in the breath of the diabetics were about ten times greater than those of the healthy population. The levels of both these metabolites decreased toward normal levels during dialysis, but in some cases the breath isoprene levels actually increased.

   

   

   

   

Hydrogen cyanide in breath of children with cystic fibrosis.

   

One of the serious complications in cystic fibrosis, CF, is infection by Psedomonas aeruginosa. Volatile emissions from bacterial cultures grown from cough swabs from children with CF have been investigated [17] with the startling result that HCN is seen to be emitted specifically from Pseudomonas aeruginosa, PA. Very recently SIFT-MS demonstrated that HCN is indeed elevated in breath of children with CF and a use of this breath test could greatly assist treatment.

   

   

   

   

Volatile compounds in headspace of urine and cell cultures

   

Volatile markers of infection and tumours in urinary headspace.

   

Trace gas analysis has a potential to assist in the early detection of tumours. Formaldehyd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creased in urine from patients with prostate and bladder cancer in comparison with the headspace of urine from healthy controls [18]. It was also observed that nitric oxide gas were present above the acidified urine from some patients with urinary bacterial infection [19]. Recently SIFT-MS methodology and ion chemistry was advanced to allow quantification of trace levels of the potential cancer biomarkers formaldehyde, acetaldehyde and propanol at much lower levels [20].

   

   

   

   

Acetaldehyde released by cancer cells in-vitro.

   

As an extension to the search for volatile biomarkers of tumours, SIFT-M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emissions from lung cancer cell lines [21]. These were grown in calf serum and the headspace concentrations of several volatiles were measured for varying numbers of cells in the medium. A wide range of organic species were seen to be present in the headspace, including methanol, ethanol and acetone, but the important observation was that acetaldehyde was present at a concentration in close proportion to the number of cells in the medium. The number of acetaldehyde molecules generated was of order of 106 per cell per minute. The next phase of this work (and that reported in 3.7) is to search for these aldehydes and other compounds in the exhaled breath of patients suffering from lung cancer using on line SIFT-MS breath analysis.

   

   

   

   

Ovulation.

   

Volatile compounds in the headspace of urine from a normally ovulating volunteer were studied over three complete menstrual periods and concurrent with the time of ovulation a 3-12 fold increase in the urine headspace acetone was observed [22]. This phenomenon has subsequently been observed in seven normally ovulating volunteers; significantly, it is not seen in post-menopausal volunteers [23].

   

   

   

   

Aldehydes and other compounds in exhaust gases.

   

SIFT-MS was used to research concentrations of compounds in petrol and diesel engine exhaust gases relevant to health and safety concerns [24, 25]. SIFT-MS was connected on line to analyse exhaust a large diesel engine using three types of fuel, viz. ultra-low sulphur diesel, rapeseed methyl ester and gas oil. Compounds detected and quantified included aldehydes that are know respiratory irritants causing asthma and also aliphatic and aromatic hydrocarbons, alcohols and others. The combined use of H3O+ and NO+ was essential to distinguish between isobaric compounds, especially to positively identify of various aldehydes including acrolein. The O2+ reagent ions were used to quantifying NO and NO2 present.

   

   

   

Volatile compounds in rumen gas.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in collaboration with a group concerned with the welfare of diary cows [26]. Samples were taken into bags from the headspace of the rumen liquor of three lactating cows prepared with rumen vistulae. H2S, (CH3)2S, CH3SH, ammonia and volatile fatty acids were the dominant compounds analysed using SIFT-MS as a function of the period after feeding. Relatively large amounts of sulphur containing compounds released by cattle may b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atmospheric burden when considering the chemistry of global climate change.

   

   

   

Detection of explosives and products of explosions

   

Resent results demonstrating use of SIFT-MS to analyse industrial explosives and the byproducts of their explosion are detailed in a contribution by Kseniya Dryahina at this meeting.

   

   

   

   

Thermal decomposition and combustion products of disposab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Samples of PET material were combusted by free burning and also in a standardized furnace at controlled temperatures of 500C, 800C. The gaseous products were then analysed using three different analytical methods: high resolution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selected ion flow tube mass spectrometry (SIFT-MS) and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GC-MS). [27]

   

   

   

   

Flowing afterglow mass spectrometry FA-MS for quantification of deuterium in water vapour and the measurement of total body water, TBW.

   

An important development that stemmed from SIFT-MS is flowing afterglow mass spectrometry, FA-MS [28], which is exploited for the on-line, real time analysis of the deuterium content of breath water vapour and the headspace of aqueous liquids. This technique relies on the accurate measurement of the of the water cluster ions signal ratio H3O+(H2O)2HDO/H3O+(H2O)2H218O as generated in an afterglow plasma from H3O+ precursor ions and the mixture of H2O and HDO molecules present in a breath/headspace introduced into the plasma. Thus, following a known dose of D2O, the deuterium disperses as HDO throughout the TBW and, at equilibrium, a measurement of the deuterium content of single breath exhalations provides a measure of the TBW, a parameter so important in body composition and renal studies [29, 30].

   

Concluding remarks

   

   

SIFT-MS has already been used with success in various interdisciplinary fields. However, it is also been continuously improved both from the point of view of sensitivity and performance, where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processes in the plasma of the microwave discharge ion source is vital [31] and from the point of view of understanding the fine details of ion chemistry relevant to analysis at sub ppb levels [32].

   

   

   

   

References

   

[1] N.G. Adams, D. Smith, Int J Mass Spectrom Ion Physics 21 (1976) 349.

   

[2] V.G. Anicich, An index of the literature for bimolecular gas phase cation-molecule reaction kinetics, JPL Publication 03a€"19. NASA, <st1:place w:st="on"><st1:city w:st="on">Pasadena</st1:city></st1:place>, 2003.

   

[3] D. Smith, P. A panel, Mass Spectrom Reviews 24 (2005) 661.

   

   

   

[4] P. Spanel, K. Dryahina, D. Smith, Int. J. Mass Spectrom 249/250 (2006) 230.

   

   

   

   

[5] J. Kubista, P. Spanel, K. Dryahina, C. Workmanm, D. Smith, Rapid Commun Mass Spectrom 20 (2006) 563.

   

   

   

   

[6] A. Amman, D. Smith, Breath Analysis for Clinical Diagnosis and Therapeutic Monitoring, World Scientific, Singapore, 2005.

   

   

   

   

[7] A.M. Diskin, P. A panel, D. Smith, Physiol Meas 24 (2003) 107.

   

   

   

   

[8] C. Turner, P. A panel, D. Smith, Physiol Meas 27 (2006) 637.

   

   

   

   

[9] C. Turner, P. A panel P, D. Smith , Physiol Meas 27 (2006) 321.

   

   

   

   

[10] C. Turner, P. A panel P, D. Smith , Rapid Commun Mass Spectrom, 20 (2006) 61.

   

   

   

   

[11] C. Turner, P. A panel P, D. Smith , Physiol. Meas, 27 (2006) 13.

   

   

   

   

[12] P. A panel, K. Dryahina, D. Smith, J. Breath Res. 1 (2007) 011001.

   

[13] P. A panel, K. Dryahina, D. Smith, J. Breath Res. 1 (2007) 026001.

   

[14] A Pysanenko, P A panel, D Smith J. Breath Res. 2 (2008) 046004 (13pp)

   

[15] D. Smith, T.S. Wang and P. A panel, Physiol. Meas 23 (2002) 477-489.

   

   

   

   

[16] S. Davies, P. A panel, D. Smith, Kidney Int, 52 (1997) 223.

   

   

   

   

[17] W. Carroll, W. Lenney, T.S. Wang, P. A panel, A. Alcock, D. Smith, Pediatric Pulmonology, 39 (2005) 452.

   

[18] P. A panel, D. Smith, T.A. Holland, W. Al Singary, J.B. Elder, Rapid Commun Mass Spectrom, 13 (1999) 1354.

   

   

   

   

[19] D. Smith, P. A panel, T.A. Holland, W. Al Singari and J.B. Elder, Rapid Commun Mass Spectrom, 13 (1999) 724.

   

   

   

   

[20] P. Spanel, D. Smith, J. Breath Res. 2 (2008) 046003

   

   

   

   

[21] D. Smith, T.S. Wang, J. Sule-Suso, P. A panel, A. El Haj Rapid Commun Mass Spectrom, 17(2003) 845.

   

[22] A.M. Diskin, P. A panel, D. Smith Physiol Meas 24 (2003) 191.

   

   

   

   

[23] D. Smith, K.M.K. Ismail, A.M. Diskin, G. Chapman, J.L. Magnay, P.A panel, S. Oa€™brien, Acta Obstetricia et Gynecologica 85 (2006) 1008.

   

   

   

   

[24] D. Smith, P. Cheng, P. A panel, Rapid Comm Mass Spectrom 16, (2002), 1124.

   

   

   

[25] D. Smith, P. A panel, D. Dabill, J. Cocker, B. Rajan, Rapid Comm Mass Spectrom 18 (2004) 2830.

   

   

   

   

[26] R.J. Dewhurst, R.T. Evans, P. A panel, D. Smith, Dairy Sci 84 (2001) 1438.

   

   

   

   

[27] K. Sovova et al. Mol. Phys. 106 (2008) 1205.

   

[28] D. Smith and P. A panel, Rapid Commun Mass Spectrom15 (2001) 25.

   

   

   

[29] R.B. Asghar, A.M. Diskin, P. A panel, D. Smith, S. Davies Kidney Int 64 (2003) 1911.

   

   

   

   

[30] P. A panel, T.S. Wang, D. Smith, Physiol Meas 26 (2005) 447.

   

   

   

   

[31] P. A panel, K. Dryahina, D. Smith Int. J. Mass Spectrom. 267 (2007) 117-124.

   

   

   

   

   

   

[32] P. A panel, D. Smith Influence of weakly bound adduct ions on breath trace gas analysis by selected ion flow tube mass spectrometry (SIFT-MS) Int. J. Mass Spectrom. (2009) in press, corrected proof.

   

[출처] 현존하는 최고의 가스 분석기가 아닌가 합니다. - SIFT-MS (환경테라스) |작성자 해피트리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VOC 방지시설 적용, 기술  (0) 2016.06.26
RTO 비교  (0) 2016.06.26
촉매  (0) 2016.06.26
복합압취 처리  (0) 2016.06.26
프렌지 규격집  (0) 2016.06.26

촉매

관련기술2016. 6. 26. 12:04

   

환경에너지(E&Eco)- 이앤에코 :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ecowd

2014-12-18 오후 4:34 - 화면 캡처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RTO 비교  (0) 2016.06.26
Sift-MS  (0) 2016.06.26
복합압취 처리  (0) 2016.06.26
프렌지 규격집  (0) 2016.06.26
재질 기호 일람표  (0) 2016.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