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TO care

   

상진님 : 에어밸브 공합 기호도

http://freeb.egloos.com/1136649

2015-08-10 오전 1:25 - 화면 캡처

   

   

   

   

   

   

   

에어 실린더 SOL V/V IN // OUT 기호입니다.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lief밸브와 안전밸브의 차이점  (0) 2016.10.24
주요 고무원료 특성 및 종류  (0) 2016.10.24
Zeolite  (0) 2016.10.24
보일러관리  (0) 2016.10.24
증기보일러  (0) 2016.10.24

Zeolite

관련기술2016. 10. 24. 10:19

Sorption Technology

   

   

Sorption Technology | Desiccant dehumidifiers, manufactured by Seibu Giken DST AB

http://www.dst-sg.com/technology/sorption-technology/

2015-07-18 오후 1:03 - 화면 캡처

   

   

   

Sorption Technology | Desiccant dehumidifiers, manufactured by Seibu Giken DST AB

http://www.dst-sg.com/technology/sorption-technology/

2015-07-18 오후 1:03 - 화면 캡처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요 고무원료 특성 및 종류  (0) 2016.10.24
에어벨브 공압 기호  (0) 2016.10.24
보일러관리  (0) 2016.10.24
증기보일러  (0) 2016.10.24
연수설비  (0) 2016.10.24

Lambda

동력과 에너지2016. 10. 24. 10:18

'동력과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공기비연소  (0) 2016.10.24
Lambda  (0) 2016.10.24
Lambda Calculation  (0) 2016.10.24
Lambda as a Diagnostic Tool  (0) 2016.10.24
내연기관의 연소  (0) 2016.09.02

   

2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3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4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5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6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7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8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9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10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11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12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13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14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15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16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17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18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19 페이지

2015년 6월 12일 금요일

오전 11:33

   

'동력과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mbda  (0) 2016.10.24
Lambda  (0) 2016.10.24
Lambda as a Diagnostic Tool  (0) 2016.10.24
내연기관의 연소  (0) 2016.09.02
층류 예혼합 화염  (0) 2016.09.02

Lambda as a Diagnostic Tool

The lambda calculation determines the ratio between the amount of oxygen actually present in a combustion chamber vs. the amount that should have been present to obtain perfect combustion.

Let's learn more about this remarkable tool, beginning with lambda's meaning. Lambda represents the ratio of the amount of oxygen actually present in a combustion chamber compared to the amount that should have been present in order to obtain "perfect" combustion. Thus, when a mixture contains exactly the amount of oxygen required to burn the amount of fuel present, the ratio will be one to one (Ll) and lambda will equal 1.00. If the mixture contains too much oxygen for the amount of fuel (a lean mixture), lambda will be greater than 1.00. If a mixture contains too little oxygen for the amount of fuel (a rich mixture), lambda will be less than 1.00.

The Wide-Band sensor generates a variable signal as opposed to the simple rich/lean signal of a standard oxygen sensor. Because the signal varies in strength and also in current flow direction (polarity), it's impossible to directly view the signal with anything except an oscilloscope. However with the right supporting equipment, the Wide-Band sensor can be used for adjusting air/fuel mixture on any engine.

We all know that perfect combustion requires an air/fuel ratio of approximately 14.7:1 (by weight) under normal conditions. Thus a lean air/fuel ratio of, say, 16:1 would translate to a lambda value of 1.088. (To calculate, divide 16 by 14.7.) A lambda of .97 would indicate an air/fuel ratio of 14.259:1 (derived by multiplying .97 by 14.7).

Here's the magic: Lambda is completely unchanged by combustion. Even complete combustion or a total lack of combustion has no effect on lambda! This means we can take our exhaust gas samples at any point in the exhaust stream without having to worry about the effects of the catalytic converter.

What's wrong with this car?

HC: 2882 ppm CO: .81%

CO2: 13.69% O2: 2.18%

Is it a mechanical problem? An ignition problem? An air/fuel ratio imbalance? What are these emissions readings trying to tell us? At first glance, the high hydrocarbon (HC) reading would seem to indicate an abundance of available fuel, yet the very high oxygen (O2) reading might lead us to wonder if we're looking at a lean misfire condition. The relatively low carbon monoxide (CO) figure seems to rule out a rich mixture, while the carbon dioxide (CO2) reading might suggest either an inoperative catalytic converter or an engine mechanical efficiency problem.

In this instance, lambda indicates a substantially rich mixture-just the opposite of what we might have thought based on the individual gas readings alone. After all, CO, normally the indicator of a rich condition, is considerably lower than Oz, which is the telltale indication of a lean exhaust. Coupled with the high HC readings, most of us would probably have pegged this as a lean misfire condition.

In fact, these readings were taken on a Ford Escort with one plug wire grounded. The converter had been allowed to cool briefly (in hopes of avoiding a red-hot meltdown), but the heated oxygen sensor rapidly returned to closed-loop. The extra O2 content in the exhaust stream from the dead cylinder caused the PCM to command a rich mixture in response.

What about this car?

HC: 834 ppm CO: .01%

CO2: 13.78% O2: 2.29%

The gas readings result in a calculated value of 1.07 for lambda.This is obviously a lean mixture, in this case caused by a lazy oxygen sensor and a bad plug wire on an '86 Volkswagen Jetta.

Try this set of readings.

HC: 330 ppm CO: 8.49%

CO2: 9.93% O2: .15%

Here, lambda was .77, indicating an extremely rich mixture. These are tailpipe samples from a vehicle with a faulty (open) coolant temperature sensor.

What can lambda analysis of these tailpipe readings tell us?

HC: 72 ppm CO: .16%

CO2: 15.24% O2: .86%

In fact, at a lambda value of 1.03, this mixture is lean, even though the tailpipe measurements look fairly acceptable.

Putting Lambda to Work

At first look, it may seem as though lambda's value is extremely limited. After all, conventional gas analysis can tell us whether a vehicle is running rich or lean, right? (If you still think so, go back to our very first example for another look!) And with OBD II making fuel trim readings a part of every data stream, is there any great mystery as to what kind of mixture is going into the combustion chamber? Let's look at each of these questions.

Remember that the main purpose of a catalytic converter is to clean up excessive emissions of hydrocarbons, carbon monoxide and oxides of nitrogen (NOx). The converter tries to turn them all into carbon dioxide and water (H2O). A good converter, then, can mask a slight mixture imbalance, whether to the lean end or rich end of the spectrum. When subjected to a chronically rich or lean mixture, the catalytic converter has to work harder, and its life span may be shortened.

Will we see a chronic rich or lean condition in tailpipe gases? Only if the condition is severe, or if the mixture has already overloaded the catalyst. Lambda helps here by allowing us to see the incoming mixture so we can determine if it's correct.

Catalytic converters generally function efficiently only when the incoming mixture is within about 4% of stoichiometry, or a lambda range from .96 to 1.04. Let's return to our last example above. At 1.03, lambda is narrowly within acceptable lean limits. But if this borderline lean condition persis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catalyst will slowly degrade as a result of the excessive heat it generates while cleaning up the exhaust stream.

Now let's consider the case of an OBD II-equipped vehicle. Suppose we see that long-term fuel trim shows the addition of 25% more fuel than originally programmed for the observed operating conditions (LTFT = +25%). And we have a continuous lean code. Obviously, many things might cause this condition, among them low fuel delivery, a faulty mass airflow (MAF) sensor, a large vacuum leak, even a faulty oxygen sensor. Can lambda help us narrow the field of suspects? It certainly can.

Consider the O2 sensor. Assume there is no O2 sensor code. If lambda is essentially equal to 1.00, we can immediately eliminate the O2 sensor from consideration. Lambda will be correct at this fuel trim level only if the O2 sensor upon which the fuel trim is based is functioning correctly.

Can we narrow the field further? If lambda remains essentially equal to 1.00 under idle, part-throttle and high-cruise conditions but fuel trim increases with load, we can rule out a vacuum leak. A vacuum leak constitutes a decreasing percentage of the incoming air charge as engine speed and load increase. Thus, we would focus on a fuel delivery problem or a MAF fault. If, however, we found lambda to be significantly less than 1.00, we would immediately suspect an O2 sensor fault-probably a short to ground.

Exercises

Let's apply what we've learned about lambda to the following examples. In each case, try to see what kinds of faults might account for the data. The answers and analyses appear after the five examples.

  1. An OBD I car with MAP and EGR shows LTFT at -15%, with STFT switching between ±5%. Lambda is 1.05, NOx levels are elevated, but all other tailpipe gases are within acceptable limits. The vehicle has failed its state tailpipe loaded emissions test. The EGR valve receives vacuum at the proper time during a road test. Manually opening the EGR valve at 2000 rpm causes the engine to run noticeably rough with no cylinder-specific misfires.
  2. An OBD II truck with MAF shows lambda at .96 at idle and 1.03 at cruise. Total fuel trim (LTFT

+ STFT) at idle is -12%, and total fuel trim at cruise is +9%. The customer complaint is a hesitation on acceleration. Fuel delivery is adequate. Temporarily disconnecting the EGR yields no improvement. A previous shop has cleared the codes, and all monitors are incomplete.

  1. An OBD II car with MAP and EGR runs slightly rough at idle, with somewhat elevated IAC counts. Lambda is .99. The roughness clears up at cruise, and lambda increases to 1.00. IAC counts at cruise are appropriate.
  2. Although it has a lambda value of .99, a MAF-equipped truck shows unacceptably elevated HC and CO tailpipe readings taken under loaded idle conditions immediately after prolonged highway cruise.

Analysis and Answers

  1. The EGR valve is working properly, but, as the high lambda value shows, this vehicle is running lean. The PCM is subtracting fuel (LTFT negative), but only to a point (STFT switching). The fault must be in the U2 sensor. It's biased positive, possibly by a partial short circuit between the sensor line and the heater feed. Is the catalytic converter still good? If the NOx readings are less than double the limit, and if the condition has not yet damaged the NOx bed, the converter may be able to compensate adequately once it starts receiving the correct feed mixture. Still, the customer should be warned that further testing after the O2 sensor is replaced will be required to assess the converter's status.
    1. What's making this vehicle run rich at idle and lean at cruise? We know there's no fuel supply problem, and we've eliminated the EGR. The problem is not likely to be dirty injectors since the fuel trim response is not consistent between speed and load ranges. It can't be a vacuum leak, since the fuel trim response is the opposite of what one would expect.
    2. This truck has a contaminated MAF. The MAF is over reporting airflow at idle, and underreporting it at cruise, a double whammy! Different manufacturers have evolved different strategies for weighting data after code clearing. Some may default to maximum fuel addition up to +25%, while others may revert to zero correction; even the method used to clear codes-say, KOER vs. KOEO-may change the resulting re-learn strategy. In this case, the fuel trim numbers are a recently cleared PCM's response to a good O2 sensor. But, because the O2 monitors are incomplete, the PCM does not yet trust them enough to have reached a correct fuel trim value.
  2. The IAC counts are an important clue. Combined with the lambda readings, they indicate an engine compensating for a low idle caused by a slight vacuum leak. The most likely culprit here is a leaking EGR. (Lambda shows a rich response to reduced manifold absolute pressure. A normal vacuum leak of outside air would result in lower IAC counts, not higher ones.)
  3. The mixture is within 1% of stoichiometry. The preceding cruise must have brought the converter to temperature. What's left but a bad converter?

The Critical Link

Modern fuel control systems generally operate in a range of λ = 1 ±.01 under steady-state conditions. But just as you had to spend time gathering a library of known-good waveforms before you could really benefit from using an oscilloscope, you'll need to put in some time testing known-good vehicles in a variety of repeatable and diagnostically relevant driving conditions to truly benefit from lambda analysis.

Some lean air/fuel sensor-equipped Hondas, for example, routinely operate at extremely lean lambda ranges in excess of 1.63 under highway cruise conditions. Tuners may wish to know that maximum power is usually achieved at a lambda value of approximately .85 under full-load conditions. Developing a library of known-good lambda values will become even more critical with the advent of gasoline direct injection (GDI) systems. Since GDI systems use a stratified charge and variable injection timing (as well as the more familiar variable injection duration), normal lambda values for these systems may approach 2.0 under some conditions. As wide-range air/fuel sensors (WRAFs) become more common, expect to see lambda values adopt an even wider range.

Conclusion

Although misfires may combine with normal feedback (closed-loop) operation to produce a counterintuitive rich condition, lambda analysis remains a powerful diagnostic tool. Routine use of lambda can quickly narrow your diagnostic focus for many driveability complaints, ruling mixture problems in or out in a very few minutes. Lambda analysis can pinpoint oxygen sensor faults such as biased sensors more quickly than other techniques. Lambda analysis coupled with fuel trim analysis can often quickly identify contaminated or faulty MAF sensors. And lambda analysis in conjunction with conventional exhaust gas readings can conclusively pinpoint faulty catalytic converters in a matter of seconds.

   

출처: <http://www.austincc.edu/wkibbe/lambda.htm>

'동력과 에너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Lambda  (0) 2016.10.24
Lambda Calculation  (0) 2016.10.24
내연기관의 연소  (0) 2016.09.02
층류 예혼합 화염  (0) 2016.09.02
연소공학  (0) 2016.09.02

보일러관리

관련기술2016. 10. 24. 10:15

보일러 관리

스팀 보일러 고장중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고장은 물로 인한 원인이 가장 많다.예을 들면 보일러 코일에 스케일 생성되면 처음에는 가스비가 많이 들고 나중에는 코일이 터지고 심하면 드럼도 같이 못쓰게 된다.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보일러를 오래 쓰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물 관리만 잘하면 된다. 즉 다음 세가지 즉, 전배수 실시, 연수기사용, 청관제 사용을 정확히 해주면 된다.

   

1 전배수 (Blow Down)

배수밸브는 완전하게 열어서..

전배수의 목적은 보일러수 내의 이물질을 배출시켜 줌으로서 스케일 생성방지 및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일부 세탁소에서는 밸브를 조금 만 열어서 배수 시키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하면 배수 밸브측 일부만 물찌꺼기와 물이 배출되고 나머지는 배수밸브에 걸려 제대로 배출이 되지 못하여 스케일이 생성되게 된다. 따라서 배수 밸브를 열 때는 천천히, 그렇지만 밸브는 완전히 열어 이물질이 완전히 배출되도록 해야 한다.

가동 전에 전배수를 실시..

가동시간 8~10시간 기준으로 보일러를 가동한 후 정지해 놓았다가 익일 오전 가동 에 전배수를 실시하면 관 수가 가열되어 있고 가동 시에 투입된 청관제가 있어 용존 산소가 유입되기 어려워 정지해있는 야간에 산소에 의한 부식이 적다. 따라서 보일러 전배수는 보일러 가동을 마친 후 정지해 놓았다가 익일 가동 전에 실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전배수 절차

1. 보일러의 운전스위치를 ON하여 운전한다.

2. 증기의 압력이 30psi 가 되면 운전과 전원 스위치를 OFF 시킨다.

3. 배수밸브를 천천히 완전히 열어 관수를 완전히 배수 시킨수 배수밸브를 닫는다.

4. 보일러 전원을 On시킨다.

5. 보일러의 운전스위치를 ON하여 정상 운전한다.

전배수를 가동 후에 실시할 경우

전배수를 가동 후에 실시할 경우 전배수 후 재급수를 시켜놓으면 새 물이 보일러 수관에 유입되어 야간에 용존 산소에 의해 부식이 진행되고 전배수 후 배수 밸브를 열어 놓고 귀가하면 배수밸브를 통해 산소가 수관 내에 유입되어 있다가 부식을 진행시키고 익일 급수가 이루어지면 또다시 관수에 용해되 어 있던 산소가 부식을 진행시킨다.

   

2 연수기

가장 중요한 것은 .. 테스트 하는 일이다

   

연수기(Water Softner)는 보통 세탁소에서 많이 랜트해서 이용하는 카트리지 방식이 있고, 소금으료 재생하는 연수기는 다시 두 가지로 나누어 지는데 하나는 시간으로 계산해 연수기 재생 주기를 결정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물을 쓰는 양을 계산해서 재생 주기를 결정하는 것이 있다. 연수기를 쓰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연수기가 잘 작동하는지를 테스트 하는 일이다. 적어도 일주일에 2~3 번 정도는 반드시 해야 한다.연수기는 물속에 함유된 양이온(칼슘,마그네슘)을 제거하여 보일러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스케일 생성을 방지한다,

즉 연수기는 칼슘,마그네슘등의 양이온 성분이 유입되면 내부의 나트륨과 자리를 교환하여 나트륨은 물탱크로 유입되고 칼슘, 마그네슘은 제거 된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양이온 교환수지 몸체에 고정 음이온(SO3)을 부착하고 양이온인 나트륨(Na)을 부착시켜만든 수지에 경도성분이 함유된 물을 통과 시키면 수지에 부착되어 있던 나트륨 (Na)은 이탈되고 칼슘(Ca)가 부착되는 현상 즉 이온 교환 작용이 일어나고 여기에 재생을 위해 소금을 투입하면 역반응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스케일 수관

   

3. 청관제

PH에 의한 부식

물은 산성, 중성, 알카리성을 띄게 되는데 이는 물의 수소이온농도(PH)에 따라 결정된다. 수소이온농도가(PH) 6∼8인 중성을 기준으로 6미만은 산성, 8초과는알카리성이라 한다. 일반적인 물(지하수,상수도)은 중성(PH-6∼8)을 띄는데 최근에는 환경오염에 따른 지하수가 약산성을 띄고 있다. 철(보일러수관)은 PH 정도에 따라 부식 정도가 다른데 PH-10.5∼11.5 일때 부식이 가장 적게 일어난다.따라서 일반적인 물은 중성이므로 보일러에 그냥 사용하면 부식되므로 PH-10.5∼11.5에 맞추어 줘야 한다. PH를 높여주기 위해서는 반드시 약품(청관제)를 투입해야 되는데 투입하는 양은 보일러 용량 따라 다르나 근본 원칙은 PH-10.5∼11.5에 유지 되도록 해주면 된다.

예를 들면, 9.5 HP 보일러는8~10시간 사용기준으로 아침에 가동직전에 10oz 정도를 넣어주면 된다.

   

부식 수관

<제공: Pacific Boiler회사 Yong Yoon이사 562-906-9292>

   

원본 위치 <http://www.sckdla.org/webzin/view/40/344>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벨브 공압 기호  (0) 2016.10.24
Zeolite  (0) 2016.10.24
증기보일러  (0) 2016.10.24
연수설비  (0) 2016.10.24
계면활성제  (0) 2016.10.11

증기보일러

관련기술2016. 10. 24. 10:14

     증기보일러 운전관리의 중요성

여기서 글을 읽으시다가 이해가 안될수 있는 부분이 있으며,이는 잠시후에 논하고 이보다 지금것의 내용을 간략하게 정리해 보며는 최고사용 압력10kg/cm2(설계압력) 보일러의 적정 운전 압력은 7-8 kg/cm2 이라는 것에 대하여 설명을 드렸고 왜 그렇게 운전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이부분에 대한것은 후에 보충 논의를 하도록하겠습니다.

   

그리고 보일러로 부터 주증기관의 감압변 설치에 대한 것에 대하여 보충설명을 드리면

   

보일러(5kg이하)->주증기관->감압변->주증기 햇더(2-3kg)->보조증기 햇더(2kg)

   

.....주증기 햇더(2-3kg)->열 사용기기(2kg)->트랩->응축수 회수

   

.....보조증기 햇더(2kg)->열 사용기기(1.5-2kg)->트랩->응축수 회수

   

대부분이 이러한 증기 시스템으로 구성을 합니다.(그림을 그리면 더욱 좋으나...)

   

이러한 설비 부분의 단점이라면

   

관경이 커짐으로 배관설치 비용증가(동일 관경으로 한곳은 말할것도 없음)

배관관경의 확장으로 인한 열 손실

열사용 기기 전단까지의 증기 압력 강하 심함

습증기 공급으로 인한 응축수량 증가

습증기 공급으로 인한 건도 저하로 인하여 증기 사용량 증가.

   

여기서 감압변 전,후단의 관경 변화에 대하여 설명을 하였고 위의 배관 시스템을 바르게 고친다면

   

보일러(7-8kg)-> 주증기관 -> 고압햇더(7-8kg)->감압변-> 저압햇더(2kg); 가까운 거리의 열교환기기에 공급시

   

...고압햇더->각 열사용처 기기 전단->용도별 감압변(2-3kg)->열사용기기->트랩->응축수회수

   

...저압햇더->열 사용기기(2-3kg); 저압열사용기기가 기계실 가까이 집단 설치시에

   

     서브 기계실이 있는 경우에도

   

...고압햇더(7-8kg)->서브 햇더(6-7kg);거리에 따라 손실열에 따라 압력 강하 있음.->

열 사용기기별 감압변(2kg)->열 사용 기기-> 트랩->응축수 회수

   

 단점이라면

   

고압배관에 대한 위험성

설비비의 추가로 인한 초기 과 비용발생..Lcc 분석으로 보며는 이익임.

재증발증기의 발생,처리 문제

   

이렇게 고압관을 이용하며는 배관경이 작아도 증기 공급하는데는 문제가 없으며, 배관 설치비 보온비 등이 적게 발생이 되는 것 입니다.

   

보일러로 부터 증기는 고압으로 운송을 하고 사용시에는 저압으로 낮추어 사용하는가에 대한 내용은 앞전에도 일부설명을 드렸듯이 증기의 비체적 관계로 동일 관경에서 비체적(m3/kg)이 작을 수록 통과 증기량이 많은 것이고 또한 증기의 열 전달 방식이 현열(Sensible heat) 이 아니고 잠열(Latent heat) 방식이므로, 이 부분에 대한 이해가 조금은 부족한듯 합니다.

   

제가 이 부분에 대한 강의를 해보고 나름대로 교육을 해 보았지만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증기의 열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보기보다는 이해의 폭이 좁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현열이란 온도계로 측정이 가능한 열 입니다. 간접적으로 눈으로 관측이 가능한 열이라고도 합니다.피부로 느낄수도 있는 덥고 차가운 정도로 온도계로 측정을 한다며는 - 온도에서 100 'C 까지 측정이 가능한 열을 현열 이라고 합니다.

   

잠열이란 눈으로 확인이 안되는 열로서 물질이(물) 상태변화를 일으킬때 열이 이동(물-얼음)하는 형태를 말합니다. 얼음이 물로 되거나 물이 얼음으로 변할때, 물이 증기(steam)로 변하거나 증기가 물로 변할때의 열의 이동, 이 잠열의 상태 변화는 현열과 다르게 온도는 변함이 없이 질 적인모양만 바뀌면서 열을 주고 받는 것입니다.

   

물이 얼음으로 변할때는(얼음->물) 79.68 Kcal/kg 의 잠열이 필요하고

   

물이 증기로변할때(증기->물) 539 Kcal/kg 의 잠열이 필요한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증기를 이용하는 것은 대부분의 증기설비에서는 증기의 잠열을 이용하는 것이지 현열을 이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즉 보일러에서 증기로 변환할때의 잠열을 열 사용설비에 와서는 잠열을 주고 물(응축수)로 변환되는 과정에서의 열의 이동 현상 입니다.

   

이 열이라는 것은 잠열과 현열의 합으로 표현을 하는데 이를 전열 이라고 합니다.

   

전열 = 잠열 + 현열

   

   

10 kg/cm2 일때 전열 663.77kcal/kg = 잠열 477.98 + 현열 183.33 입니다.

   

7 kg ..................... 660.85...........= 489.32 .....+ 169.78......

   

5.......................... 657.99...........= 498.43 ..... + 158.29.......

   

2.......................... 650.68.......... = 516.88 ........+ 133.25......

   

   

   

이 간이 차트에서 보듯이 압력과 온도에따라서 열량 변화가 있습니다.

   

현열은 압력이 올라감에 따라 열량(온도)이 상승하는 반면에 잠열은 압력이 올라감에 따라 열량이 내려가는 특성이 있습니다.

   

해서 증기는 높은 압력으로 수송을 해서 사용처에서는 가능한 낮은 압력을 공급해야만이 우리가 사용하고자 하는 잠열을 충분히 이용을 할수가 있는 것입니다.

   

차트에서 보듯이 압력이 내려가며는 잠열량이 증가 하듯이 낮은 압력을 사용하며는 열량을 많이 공급을 할수가 있는 것입니다.

   

혹 더낮은 압력을 주며는 더 좋은 일이 아니냐고 물을수 잇는데 이 부분은 트랩과 응축수 회수관과의 배압 물제로 인한 또다른 연구 대상의 내용입니다.

   

이번에는 운전압력에 대한 부분이니 더 깊이 심도있게 들어가지 못하는 이점 양해를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증기 보일러의 운전 압력을 낮게 운전을 하며는 어떠한 문제가 더 있는지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증기 보일러를 설계압력 보다 저압으로 내려가면서 운전을 하면 할수록 발생되는 증기는 건조증기에 가까워야 함에도 불구하고 습증기를 생성하게 됩니다. 또한 낮은 압력으로 인하여 보일러의 몸체 안의 수실에서는 Carry over 현상이 심하게 일어 납니다 이 캐리오버(기수공발)는 보일러의 수중에 작은 기포들이 생성이되어 수면에서 터지는 현상과 동시에 물방울이 증기관으로 튀어올라서 증기와 같이 빠져 나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렇듯이 설계 압력의 70-80% 에서 낮은 5kg/cm2 이하의 압력으로 운전을 하며는 보일러를 빠져나가는 증기는 습증기가 되는 것입니다 가능한 건조 증기를 공급해야만이 열설비에서도 증기 소모량이 줄어들고 배관상에도 무리가 가지를 않고 장비들의 수명이 길어질수 잇는 사항입니다.

   

저압운전시 문제점

   

습증기 공급...일반적인 보일러의 건도는 대부분이 98% 로 봅니다.  캐리오버가 심하면 증기의 건도가 95% 까지 떨어집니다.

습증기어와 캐레오버로 인한 배관내의 워터햄머 현상

증기 사용량증가

연료비,동력비,수선유지비,인건비 증가 요인

장비 수명 저하

전체적인 증기설비의 정격성능이하의 운전으로 열효율 저하

증기설비의 감압변,설비등 2차적인 성능저하 발생으로 열효율 극단저하 현상이일어남.

   

지금까지 증기보일러의 운전 압력을 낮은 압력으로 운전함으로서의 문제점을 간략하게 짚어보았습니다만 세부적으로 들어가며는 계산상으로도 표현이 가능하게 접근을 할수 있는 사항이나 짧은 머리로의 한게가 있어서 이쯤에서 접을까 합니다.

   

현장 관리하는 분들이나 설계를 하는 분들이나 시공을 하는 분들의 중요한 삼박자가 안맞으며는 엄청난 문제가 발생을 하는 것입니다. 정말로 신경을 써서 운전관리를 하여야 하는 것이고 정확한 유지관리가 될수있도록 설계를 하고 시공을 잘하는 것도 중요한 일입니다.

   

개인적으로 보며는 정책이나 건설기계분야에서 에너지절감을 주창하는 분들의 행동은 말뿐이고 남의 눈을 가리고 아옹하는 사람들뿐이지 정말로 깊이있고 심도있게 에너지를 절감할수있도록 접근하는 사람들은 별로 없다고 보여 집니다.

   

   

   

   

원본 위치 <http://surisang.com.ne.kr/gisul/boiler/boiler3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Zeolite  (0) 2016.10.24
보일러관리  (0) 2016.10.24
연수설비  (0) 2016.10.24
계면활성제  (0) 2016.10.11
계면활성제, 표면장력  (0) 2016.10.11

연수설비

관련기술2016. 10. 24. 10:13

보일러의 수처리

   

1. 보일러 수처리의 필요성

수중에는 칼슘, 마그네슘,실리카등 스케일화되는 물질과 산소, 탄산가스, 염화물 등 부식을

초래하는 물질들이 많이 용해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물질에 따라 기인하는 장해를 미연에 방지하고 보일러의 안전을 도모하고 효율적인 운전을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보일러로 급수되는 물의 전처리를 잘하여 급수의 수질을 양호하게 한 후 수처리제를 정확히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보일러 수처리제를 주입한 후 정기적으로 수질을 분석하고 적절한 진단을 하여 조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당사는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각 보일러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수질을 첨단 장비를 이용하여 수질분석을 실시함은 물론 현장에서 즉시 검사가 가능한 포켓용 수질분석기를 휴대하여 현장에서 즉시 처리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분석자료는 전산 처리로 신속한 데이터 전송 처리를 하는 등 각종 사후관리에 충실을 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저희 제품을 사용하시는 고객께서는 수처리의 중요성을 인식하시고 당 교재를 충분히 숙지하신 후 보일러 관리에 만전을 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수처리 방법

   

1) 스케일 생성의 원인 및 방지대책

(1) 원인

보일러에 사용되는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경도성분 (칼슘,마그네슘)과 실리카 성분이 물속의 염들과 결합된 후 버너의 연소열에 의해 경화되어 보일러 전열면에 부착되어 스케일로 됩니다.

(2) 대책

대책은 보일러 내부에 경화되어 스케일로 부착 될 수 있는 성분을 제거하여 스케일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여 주면 되는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합니다.

􀁣 경수연화장치를 설치하여 물탱크로 유입되는 물 속에 용해되어 있는 경도 성분인 칼슘(Ca+), 마그네슘(Mg+) 제거하여 보일러내부로 유입되지 못하게 합니다.

􀁤 경도성분과 같은 스케일성 성분이 보일러 내부에 유입되어도 전열면에 부착되지 못하도록 약품을 보일러에 투입하여 줍니다.

미처리된 경도성분과 연수기에서 제거 되지 않는 실리카 (Si-)성분이 보일러에 유입되면 이성분을 보일러수(관수)중에 용해, 분산시켜 보일러 수 배수시 계외로 배출 되도록 하여 제거 합니다.

􀁥 철저한 보일러수의 배수로 보일러 내 경도성분이 잔류하는 것을 방지합니다. 소형 관류 보일러는 가동시간 기준으로 1회 전배수를 실시하는 것이 좋은데 전배수는 보일러를 가동한 후 다음날 아침 보일러를 잠깐 가동하여 압력을 1㎏/㎠ 올린 후 보일러를 끄고 배수 시키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2) 부식생성의 원인 및 방지대책

(1) 부식의 종류

􀁣 보일러 수(관수)의 PH가 기준수치에 있지 않아 발생하는 부식

􀁤 급수 중에 있던 용존산소가 보일러 내로 유입되어 발생하는 부식

􀁥 급수중의 염화물 성분(cl-)이 보일러 내에 농축되면서 발생하는 부식

   

(2) 부식 방지 대책

가. PH에 의한 부식

물은 산성, 중성, 알카리성을 띄게 되는데 이는 물의 PH 정도에 따라 결정됩니다.

물은 중성인 PH6-8을 기준으로 6미만은 산성, 8초과는 알카리성이라 합니다. 일반적인 물(지하수, 상수도)은 중성(PH-68)을 띄는데 최근에는 환경오염에 따라 지하수가 약산성을 띄기도 합니다.

철(보일러수관)은 PH 정도에 따라 부식 정도가 다른데 PH-10.511.5 일때 부식이 가장 적게 발생 합니다.(그래프참조) 따라서 일반적인 물은 중성이므로 보일러에 그냥 사용하면 부식이 발생하므로 PH-10.511.5에 맞추어 줘야 합니다. PH를 높이기 위해서는 반드시 약품(청관제)를 투입해야 되는데 투입하는 양은 보일러 용량, 압력등에 따라 다르나 근본 원칙은 PH-10.511.8에 유지 되도록 해주면 됩니다.

   

나. 용존산소(O2)에 의한 부식

산소(O2)는 철과 접촉하면 부식(녹)을 일으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물에 용해된 산소를 제거해야 부식을 방지 할 수 있습니다. 용존산소는 물의 온도를 높여 제거하거나 약품(청관제)을 보일러에 투입하여 제거 할 수 있는데 청관제 성분 중 탈산소제가 용존산소를 제거합니다.

   

다. 염화물(소금기)에 의한 부식

물 속에는 우리가 느끼지 못하는 염화물이 용해되어 있는데 이 성분은 역시 보일러를 부식시키므로 보일러 가동 후 내부의 물을 배수 시켜 염화물이 수관에 농축되지 않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3) 케리오버의 발생원인 및 대책

케리오버는 보일러 내에 있는 물이 증기와 함께 증기 배관으로 넘어가 보일러 내의 수위가 불안정하여 지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비수현상, 포밍 현상등이 이에 속하는데 이 현상이 발생하면 증기배관 및 증기 관련 기기를 부식 시키거나 워터해머로 인한 배관 노후와 더불어 보일러의 수위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가. 발생원인

케리오버는 보일러 내부의 물속에 이물질(경도성분,유지류, 청관제 과다투입)이 다량 함유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관수 중에 다량 함유 된 이물질은 물이 증발되는 표면에 위치하면 증발되는 증기와 더불어 나가면서 주위의 물을 끌고 올라가면서 케리오버 현상을 발생시깁니다. 특히 유지류는 아주 심한 케리오버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나. 대책

물속의 이 물질이 과다 농축 됨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므로 보일러 내부의 물을 배수 시켜 해결해야 합니다. 이 현상은 보일러의 물을 전배수 시키지 않는 데서 오는 경우가 가장 많고 보일러를 처음 설치한 경우 보일러 설비과정에서 파이프머신의 기름이 유입되어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는 보일러 내부의 물은 물론 물탱크 내부의 물도 전배수 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보일러의 전배수

지금까지 우리는 배수만 시켜주면 되는 것으로 생각하여 왔었습니다.

그러나 무조건 1일1회 전배수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배수방법을 정확히 알고 정확한 방법으로 전배수를 시켜주시기 바랍니다.

   

1. 전배수 시기

지금까지는 전배수를 보일러 가동을 마치고 잔여 압력으로 전배수를 실시하도록 하여 왔습니다.

이것은 익일 가동 전에 전배수를 실시하려 제대로 하기 어렵기 때문에 그리했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누구나 전배수를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차후로는 가동 후 놓아 두었다가 다음날 보일러를 가동하기 전 잠깐만 가동하여 스팀 압을 1kg/㎠로 올린 후 배수를 실시하고 정상 가동하여야 합니다. 그 이유는 당일 보일러를 가동하는 동안에 용존산소 제거를 위해 청관제가 충분하게 투입 되어져 있고 관수도 충분히 가열되어 있어 다음가동 때 까지 놓아 두어도 부식이 발생하지 않기때문입니다.

그러나 가동 후 전배수를 실시하고 다음 가동을 위하여 급수를 시켜 놓으면 용존산소가 제거되지 않은 물이 급수되게 되고 청관제도 초기 급수 시에는 충분히 투입되지 못하여 정지 시간동안 부식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겨울철 동파의 위험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전배수를 보일러 가동 후 익일 가동 전에 실시하여야 합니다.

   

2. 전배수 주기 산정 방법

보일러의 배수 주기는 시기에 못지 않게 중요합니다. 당사 보일러의 청관제 주입 방법은 점진 주입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초기 급수 후 약 2시간 동안은 필요량 만큼 청관제가 투입되지 못하여 다소 부식이 진행됩니다. 따라서 무조건 하루에 한번 배수를 시키면 부식이 오히려 잘 진행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전배수는 정확한 근거에 의해 실시하는 것이 좋은데 이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2가지 방법이 있는데 다음과 같습니다.

관수기준치에 의한 전배수 주기 산출법

이 방법은 보일러에 해를 주는 항목 중 가장 먼저 기준치에 도달한 항목을 기준으로 전배수 주기를 실시하는 방법입니다. 다시 말해 보일러 가동을 마친후 관수를 채취 분석하여 가장 먼저 기준치에 도달할 수 있는 항목을 선정하여 다음공식에 대입 계산하여 가동시간이 얼마 만에 설정 치에 도달하는가를 산정하여 전배수 주기를 결정하면 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공식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브로우량을 매시간 26를 배수 시켜야 하나 매시간 시키는 것이 불가하므로 기준치에 도달하는

시간을 계산하여 배수 시키면 됩니다. NBO-1000의 보유수량이 250인데 시간당 배수량이 26

이므로 전배수는 10시간에 1회 시키면 되나 실제는 이보다 빨리 배수 시켜야 됩니다.

왜냐하면 전기전도도는 관수에 청관제를 투입하면 상승이 되기 때문에 산출에 의한 계산치 보다

빨리 배수를 시켜야 합니다.

   

가동시간 기준에 의한 전배수 주기 계산법

계산에 의하지 않고 실시하는 경우 특히 응축수를 사용하지 않고 냉수를 사용하는 업소는 8-10시간 가동기준으로 배수시키되 전배수를 시키지 말고 3번에 나누어 전배수를 실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 합니다.

즉 실 가동 시간이 8-10시간이 되면 배수밸브를 열고 수면계를 확인하면서 수위가 수면계 하단부이하로 내려가면 배수를 정지시키고 급수하여 사용합니다.

이것은 완전배수 후 재급수를 하여 사용하면 냉수가 급수되어 냉수에 함유된 용존산소가 관내로

유입되어 수관을 부식 시키므로 이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입니다.

   

3. 전배수 방법

특히 지하수를 사용하는 업소나 증기압이 비교적 높게 사용하는 업소는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

시킨 후

증기 압력이 1kg/㎠에서 배수밸브를 완전히 개방 합니다.

일부업체에서는 압력을 높게 한 상태에서 밸브를 1/3정도만 열고 배수 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게 하면 보일러 전면부의 스케일이 배출되지 못하므로 완전히 열고 배수 시켜야 합니다. 이때는 화상 등 안전사고에 유의하여 실시합니다.

보일러의 전원 스위치를 올려 급수펌프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약 3분간 배수 시킵니다.

배수 밸브를 열고 배수를 시키다가 관수가 2/3정도 배출되면 보일러의 전원 스위치를 올려 급수 펌프가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약 5분간 배수를 시킵니다. 밸브만 열어 배수시키면 전면부의 스케일이 배출되지 못하므로 급수를 시키는 상태에서 배수시키면 전면부 스케일도 잘 배출 되므로 꼭 지켜야 합니다. 전원 스위치를 올렸다 내렸다를 반복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배수가 완료되면 배수 밸브를 닫고 재급수를 시킨 후 정상 가동시키면 됩니다.

   

255밸브, 268밸브 전자동 연수기(TK-6100)

연수기(부-스타 소프트너)는 양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하여 원수중의 경도성분(칼슘,마그네슘)을 제거하여 연수로 만드는 수처리 장치입니다.

본 장치는 수처리로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AUTOTROL사(미국)의 자동 밸브를 사용하여 높은 성능과 간단한 구조로 취급이 간편하며 보수관리가 용이한 제품입니다.

본 제품을 사용하시기 전에 본 취급 설명서를 잘 읽어보시고 항상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켜 사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작동원리

위의 그림에서 보수 있듯이 연수기는 내부에 양이온 교환수지가 있는데 이것은 물속에 함유된 양이온(칼슘,마그네슘,철분 등)을 제거하여 보일러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스케일 생성을 방지합니다.

   

   

   

   

1) 경도 제거원리

양이온 교환수지는 아주 작은 입자로 되어 있으나 외부에는 띠가 있어 그림에서와 같이 양이온 성분인 나트륨(Na+)이 2030개 가량이 부착되어 있어 Ca+, Mg+의 양이온을 제거 합니다.

연수기는 칼슘,마그네슘등의 양이온 성분이 유입되면 내부의 나트륨과 자리를 교환하여 나트륨은 물탱크로 유입되고 칼슘, 마그네슘은 제거 됩니다.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양이온 교환수지 몸체에 고정 음이온(SO3)을 부착하고 양이온인 나트륨(Na)을 부착시켜 만든 수지에 경도성분이 함유된 물을 통과시키면 수지에 부착되어 있던 나트륨 (Na)은 이탈되고 칼슘(Ca)이 부착되는 현상 즉 이온 교환 작용이 일어나고 여기에 재생을 위해 소금을 투입하면 역반응 현상이 일어납니다.

물 속에는 많은 양이온들이 용해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칼슘이나 마그네슘만 제거가 되는 이유는 수지에 부착된 고정음이온(SO3)이 반응하는 순서가 이온의 친화성이 큰 이온이 우선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물속에 가장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고 친화성이 큰 칼슘과 마그네슘이 우선적으로 탈 부착 되는 것입니다. 역으로 재생을 위해서 사용되는 소금도 물에 용해 시켰을 때 분리된 나트륨이 고정음이온과 친화성이 크기 때문에 소금이 사용되는 것입니다.

   

2) 재생 원리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연수기는 내부에 투입된 양이온 교환수지가 연수기로 유입 된 칼슘, 마그네슘을 제거합니다. 이 양이온 교환수지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수지 1개당 경도성분을 제거 할 수 있는 능력이 한정되어 있어 무한정 제거 할 수 없습니다.

가정용 정수기도 일정량을 정수 시켜 사용한 후에는 필터를 교체하는 것처럼 연수기도 일정량의 연수를 연수를 만든 후에는 연수기 내부 양이온 교환수지에 부착된 경도성분을 제거해야 계속해서 연수기를 만들 수 있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소금(Nacl)입니다.

소금은 고체상태는 Nacl 이지만 물에 녹이면 양이온인 Na+ 이온과 음이온인 Cl- 이온으로 나뉘어져 연수기 내부로 투입 시키면 수지에 붙어 있는 Ca+, Mg+는 소금물속의 염소성분(cl-)과 결합하여 수지에서 떨어져 나가 배수되고 다시 그 자리에는 나트륨(Na+)이온이 결합되어 계속해서 연수를 만들 수 있게 되도록 해 주는데 이 작업을 재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연수기는 설치만 하면 계속해서 연수를 만드는 것이 아니고 연수기 소금통에 소금을 계속해서 보충을 시켜 주어야 합니다.

   

   

4. 설치 및 배관

1) 설치장소

(1) 직사광선이 닿지 않는 평평한 곳에 설치하여 주십시오.

(2) 실내에 설치하여 0이하가 되지 않도록 하여 주십시오. 0이하가 될 경우는 보온을 하여

주십시오. 만일 동파가 발생하면 보증수리가 어렵습니다.

(3) 배수구 근처에 설치하여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여 주십시오.

2) 설치배관

(1) 우측 그림의 표준 흐름의 연결 및 아래그림의 부품 배관도를 참고하여 주십시오.

(2) 원수입구,연수출구의 배관구경은 TK- 6 ~ 409 형은 20A, TK-50~100형은 25A, TK-150300 형은 40A로 연결하여 주십시오.

(3) 원수입구 압력은 TK-6~30형은 1.5`~5(kg/cm2) TK-50~300형은 2.0~5(kg/cm2)의 범위를 필히 유지하여 주십시오.

(4) 연수출구는 보일러등 압력용기에 직접 연결하지 말고 연수 저장 탱크를 설치하여 주십시오.

(5) 연수기 입구에는 스트레나(여과기)를 설치하여 주십시오.

   

   

3) 전기의 공급(通 電)

(1) 전원은 220볼트를 사용하고 보일러를 가동하지 않는 야간에도 항상 통전하여 주십시오.

이것은 재생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공급하기 위해서 입니다. 만일 가동하지 않는 시간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으면 재생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습니다.

(2) 전원코드는 1.5m길이로 되어 있으나 길이가 부족한 경우에는 규격품(K.S)코드를 연결하여

주십시오.

   

   

   

   

   

   

5. 공기(에어) 빼기

(1) 재생지시표의 홈에 일(-)자 드라이버를 넣고 누르면서 왼쪽(반시계)으로 돌려 화살표가 역세 위치에 오도록 돌려 놓으십시오.

(2) 연수출구 밸브를 잠그고 원수 밸브를 조금씩 열어 배수구로부터 공기가 빠지는 것을 확인하여 주십시오.

(3) 공기가 다 빠지면 원수 밸브를 완전히 열어 배수구로 부터 깨끗한 물이 나올 때까지 배수 시키십시오.

(4) 깨끗한 물이 나오면 원수밸브를 잠그고 5분간 방치합니다.

   

   

   

6. 재생 방법 (타이머의 맞춤)

1) 자동 재생(운전)

(1) 재생지시표의 화살표가 채수(SERVICE)에 맞추어져 있는지 확인해 주십시오.(맞추어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재생지시표의 일자홈에 드라이버를 넣고 누르면서 반시계 방향으로 돌려서 맞추십시오)

(2) 요일 표시판의 핀을 모두 뽑아내십시오.

(3) 요일 표시판을 돌려 의 요일 화살표에 오늘의 요일 핀을 맞추십시오.

(4) 재생하는 요일의 핀을 밀어 넣으십시오. 재생하는 요일은 7페이지 연수기 성능표를 참조하시거나 당사 서비스직원의 안내에 따라 설정해 주십시오.

(5) 시간표시판을 당겨서 돌려 의 시간지침을 현재시각 시·분에 맞춘다. 재생은 설정된 요일의

새벽 2시 30분에 시작됩니다. 재생하는 시간을 변경시키려면 시간표시판을 돌려서 현재의 시각을 앞당기거나 늦추어서 설정하여 주십시오.

(6) 재생에 요하는 시간은 TK-6100형은 118분(약2시간), TK-150~300은 기존 68분에서 3분단위로 임의로 추가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수동 재생(운전)

(1) 재생지시표의 일자홈에 드라이버를 넣고 누르면서 시계반대방향(왼편)으로 돌려 화살표를 의 시작 위치에 맞추십시오.

(2) 1분 후에 곧 재생을 시작합니다.

(3) 재생이 완료되면 연수 채취구에서 연수를 20cc 정도 재취하여 연수지시약을 1-2방울 떨어뜨려 청색으로 변하면 재생이 정상적으로 완료된 것이고 적색으로 변하면 재생이 정상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은 것이니 당사 서비스 센터에 문의하여 조치 후 사용하십시오

   

7. 운 전

1) 매일의 운전

(1) 연수기의 처음 운전에는 재생할 필요가 없습니다. 전기를 공급하고 연수기 입출구 밸브를 열어 놓고 소금을 보충시키며, 시간이 현재 시간과 맞추어져 있으면 됩니다.

(2) 소금은 항상 소금통의 상·하 눈금 범위 내에 있도록 천일염을 보충하여 하십시오.

(3) 소금이 한군데 몰려 있거나 덩어리가 되어 있거나 하지 않도록 가끔 섞어 주십시오. 특히 입자가 작은(한주)소금은 수분을 흡수하면 덩어리가 되어 잘 녹지 않아 소금물이 부족한 경우가 있습니다.

(4) 염수콘트롤러는 용량에 맞게 조정되어 있으므로 임의로 조정하지 마십시오.

(5) 정전이 되었을 경우 연수기 타이머의 시간을 현재 시간에 다시 조정하여 주십시오.

(6) 재생 시간 중 단수가 된 경우 처음부터 다시 수동 재생을 하여 주십시오.

   

2) 연수 점검

(1) 경수와 연수의 판정은 연수를 컵에 10~20cc 정도 채취하여 연수·경수 판정지시약을 1~2방울 넣고 조용히 흔들어 색깔을 살펴 보십시오. 적색이면 경수, 청색이면 연수입니다.

(2) 보일러 사용 전에 필히 연수 채취구로부터 물을 채취하여 연수·경수 판정지시약으로 연수(청색)가 된 것을 확인하십시오.

(3) 경수의 경우(적색)에는 원인을 확인 후 조치하여 사용하시고 조치가 어려운 경우는 당사 서비스에 문의하여 주십시오.

3) 재생 주기 설정법

재생주기는 당사 서비스직원과 상의 하십시오. 임

   

   

8. 연수기의 시간당 통과 유량 계산법

255 밸브를 사용하는 연수기의 시간당 통과 유량은 다음그래프를 이용하면 됩니다.

연수기의 입출구의 압력 편차(P)를 알면 통과 유량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수기 입출구의 압력차이를 확인하니 0.55Kg/㎠라면 다음그래프에서 좌측의 0.55 정도에서 우측으로 선을 따라가면 곡선을 만나는데 만난 지점에서 아래로 내려가면 35/min 정도에서 곡선이 만납니다. 이 값을 시간당 수량으로 환산하면 약 2.1 ton/hr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연수기의 입구와 출구측의 압력 차이가 크면 통과유량이 많고 압력차이가 적으면 유량도 적음을 알수 있습니다.

   

   

   

   

   

   

   

   

   

9. 재생 시 밸브 내부 위치

   

   

   

   

   

   

   

   

   

   

   

   

   

   

   

   

   

   

   

180밸브 전자동 연수기(TK-150300)

1. 180V/V 시리즈 연수기의 특징

1) 밸브가 동주물 밸브 셋트로 되어 있습니다.

2) 연수기의 수지통과 소금 통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3) 밸브 셋트에 에어체크 및 캠, 캠축이 없습니다.

4) 밸브의 개폐는 피스톤의 왕복운동에 의해 진행되며 밸브 셋트 내부에 있는 디스크가 밸브를 열고 닫습니다.

5) 연수기 타이머의 외형은 여타연수기와 같은 모양이나 내부의 구조는 다릅니다.

6) 재생시간은 기본 68.5분으로 필요에 따라 조정이 가능합니다.

7) 소금통 내부에는 플로우트 타입의 염수밸브가 있어 염수량 조절을 하여 재생에 필요한 염수를 공급 합니다. 연수기 타이머 뒷면에는 재생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재생사이클 핀이 있습니다.

   

   

2. 연수기 외형 및 배관도

   

   

   

   

3. 재생사이클 핀의 셋팅 방법

1) 연수기 콘트롤러의 커버를 좌우측의 고정볼트를 풀고 제거하여 다음 그림의 타이머 고정핀을 밀고 타이머를 분리 시키십시오.

2) 분리시킨 타이머의 뒷편에는 그림과 같은 표준 상태로 셋팅된 재생 사이클 핀이 나타납니다.

셋팅된 분석을 해 보면 역세 시간이 14분(핀 3개 돌출상태), 소금물투입 및 완속세정 40.5(핀 15개 삽입상태), 급속 세정 및 소금물 재투입 14분(핀 3개 돌출 상태)으로 총 68.5분의 재생 시간으로 셋팅 되어 있습니다. 표준으로 셋팅된 재생 사이클핀을 좀 더 세밀히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다.

핀이 돌출되었을 시에는 핀 1개를 기본 8분으로 하여 핀 1개가 추가 돌출될 때마다 3분씩 증가됨을 알 수 있습니다. 핀이 돌출된 구간은 역세구간과급속세정 및 소금물채우기시간으로 핀을 추가 돌출 시켜 필요한 만큼 증가 셋팅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핀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핀 2개를 기본 1.5분으로 1개 추가 삽입될 때마다 3분이 증가됩니다.

표준 상태로 셋팅된 핀은 15개가 삽입되어 기본 1.5분에 13개가 삽입된 시간 39분을 더한 40.5분이 염수 투입 및 완속 세정 시간이 됩니다.

마찬가지로 핀을 조정하여 시간 필요 시간을 세팅 할 수 있습니다.

일반 연수기는 재생시간이 118분(약 2시간)이나 180밸브 연수기는 68.5분을 기본으로 핀을 조정

하여 필요한 시간을 셋팅하면 됩니다. 따라서 68.5분이 지나면 재생이 완전히 끝나는 것입니다.

그러나 재생지시 핀은 68.5분이 지났다고 해서 채수 상태를 가리키지는 않습니다. 재생은 끝났지만 재생 지시핀은 세척이나 소금물 채우기를 가리킬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연수기 동작은 채수 상태이므로 혼돈하지 말아야 합니다.

   

4. 재생 사이클 핀 셋트 외형도

   

   

   

   

   

   

   

   

   

   

5. 재생 피스톤 위치 및 밸브내부 위치

   

   

   

   

   

   

   

   

   

6. 플로우트 TYPE 소금밸브

1) 플로우트 타입 소금밸브는 연수기 재생에 필요한 소금의 량을 조절하는데 소금통 내에 설치된

플로우트(스티로플)에 의해 조정됩니다.

2) 플로우트 밸브를 소금통에 설치할 때에는 소금물 유·출입 대롱과 플로우트 고정대가 반드시 수직을 이루도록 해야 합니다.

만일 수직을 이루지 못하면 소금물 보충시 차단을 정상적으로 못하고 셋팅치 보다 많이 보충됩니다. 플로우트의 높이에 따라 소금물 채우는 양이 결정 되는 만큼 플로우트 셋팅을 정확히 하여야

합니다. (염수플로우트 설정법 참조)

   

   

   

   

7. 연수기 콘트롤러의 전기 결선법

보일러를 24시간 가동업체에 전자변을 설치할 경우 전자변 결선 방법

연수기 출구측에 설치된 전자변의 전원은 전자변이 N.C 타입인 경우에는 연수기 단자대의 번과 에 연결하고 전자변이 N.C 타입인 경우에는 연수기 단자대의 번과 번에 연결하면 됩니다.

   

   

   

8. 염수플로우트의 높이 설정법

일반 연수기는 재생시 필요한 염수량을 연수기 헤드의 염수 콘트롤러에 의해 조정됩니다.

그러나 TK-150-300 연수기는 소금통 내에 설치된 플로우트 밸브의 플로우트 높이를 조절하여 염수량을 조절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소금 통에 투입되는 소금의 양에 따라 염수량도 변하므로 투입하는 소금양도 조절해야 하는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지 재생에 필요한 소금량 계산 원리

수지 1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염도 100% 소금 0.1㎏이 필요합니다.

염도 100% 소금(정제염)은 상온의 물 1에 360g의 소금밖에 녹이지 못합니다.

즉 36% 포화 용액입니다. 반대로 소금 0.1㎏을 녹이기 위해서는 0.28의 물이 필요한 것입니다.

만약 TK-300 연수기를 재생한다면 소금이 30kg 이 필요하고 필요한 소금물은 84만 있으면 됩니다.

그러나 당사 연수기에 사용하는 재생용 소금은 천일염으로 염도 80%입니다.

따라서 염도 100% 소금(정제염)보다는 약 20% 정도의 소금이 더 소모되는 것입니다.

약 36.28㎏의 소금이 소모되는 것입니다.

   

   

   

   

2) 플로우트 높이 산정법

위 항의 염수계산 기본 원리에 의해 염수량을 산정한 후 염수통의 체적을 계산하여 염수플로우트의 높이를 설정하면 되는데 플로우트의 높이는 단순히 소금통의 체적만을 생각해서 설정해서는 안되며 다음 사항을 고려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소금통 내에 소금이 얼마나 들어 있는가를 감안해야 합니다.

소금통에 소금과 물의 높이가 같을 때의 체적이 100라면 실제 소금물만 양은 전체의 1/3 즉 약

33 밖에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소금통 내에 소금을 너무 많이 넣으면 재생에 필요한 소금물의 양이 부족하여 재생이

완벽히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플우트밸브 흡입구가 바닥 보다 높은 위치에 있어서 흡입구 높이 이하에 있는 염수는 흡입이

안되므로 흡입구 높이를 뺀 높이로 계산해야 합니다.

이와 같은 두 가지 조건을 감안하여 소금통의 체적을 구하여 필요한 양만큼의 염수 플로우트의

높이를 설정하면 됩니다.

   

3)염수플로우트의 높이

   

   

   

   

9. 180V/V 연수기를 사용할 때 주의 사항

1) 재생시 재생사이클의 핀 셋팅 상태를 반드시 확인하여 현장에 필요한 시간(역세, 급속세정)을

셋팅하여 완벽한 재생을 시켜야 합니다.

만일 역세 시간(14분:3핀 돌출)이 짧거나 급속세정시간(14분:3핀 돌출)이 짧은 경우에는 재생완료

직후 채수 중에 염분이 검출될 수 있습니다.

2) 염수흡입 대롱(PVC 파이프)과 플로우트 밸브 고정 축은 반드시 수직수평을 이루게 해야 합니다 만약 수직수평이 안 되면 플로우트가 제 역할을 못해 소금통에 물이 넘칠 수 있습니다.

3) 플로우트밸브 보호용 파이프(140ΦPVC 파이프)는 소금물 흡입을 위하여 바닥에서 10㎝ 높이의

둘레에 구멍을 뚫어 놓았는데 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확인하며 사용해야 한다.

   

10. 연수기의 성능 및 시간당 통수량 계산법

   

2) 연수기 통수량 계산법

180 밸브를 사용하는 연수기의 시간당 통과 유량은 다음그래프를 이용하면 됩니다.

연수기의 입출구 압력 편차(P)를 알면 통과 유량을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수기 입출구의 압력차이를 확인하니 1.3Kg/㎠라면 다음그래프에서 좌측의 1.36 정도에서 우측으로 선을 따라가면 곡선을 만나는데 만난 지점에서 아래로 내려가면 17톤/hr 정도에서 곡선이 만나는데 이는 시간당 통수량이 약 17톤/hr 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연수기의 입구와 출구측의 압력 차이가 크면 통과유량이 많고 압력차이가 적으면 통과 유량도 적음을 알 수 있습니다.

   

   

   

   

2014-12-19 오전 9:51 - 화면 캡처

   

   

청 관 제(BOOSTER CLEANER PLUS)

   

   

   

1. 사용목적

물에 의한 보일러의 장해 요인으로는 스케일, 부식, 캐 오버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장해요인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처리 약품을 사용하여야만 됩니다. 전처리 장치가 발달했다고 하더라도 미량의 경도 성분(스케일 성분)은 통과하게 됩니다. 따라서 경도 누설에 의한 스케일 장해를 없애고 부식 및 캐리 오버를 방지하기 위하여 청관제를 반드시 사용해야 합니다.

   

2. 청관제의 작용

(1) 경도 성분의 스케일화 방지

경도 성분을 인산이온이나 알칼리와 반응시켜 죽 상태의 부유물질로 하여 배출(부로)시에 보일러외로 배출시켜 스케일의 형성을 방지합니다.

즉,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식에 의해 이루어 집니다.

• 10Ca(HCO3)2+6Na3PO4+2NaOH 〔Ca3(PO4)2〕3Ca(OH)2+10Na2CO3 + 10CO2 + 10H2O

• 10CaSO4+6Na3PO4+2NaOH Ca3(PO4)2〕3Ca(OH)2+10Na2CO4

• MgCl2+2NaOH Mg(OH)2+2NaCl

(2) 실리카 스케일화 방지

보일러 수의 알칼리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수용성의 규산염으로 하여 경질의 실리카 스케일을

방지합니다.

SiO2+2NaOH Na2SiO3+H2O

   

(3) 부식의 방지

보일러수의 PH를 적절히 유지하여 부식을 방지합니다.

보일러 수중에 적량의 인산이온을 유지하여 강관 표면에 방식피막을 형성시켜 부식을 방지 합니다.

   

   

   

   

   

   

   

3. 청관제의 종류 및 사용용도

(1) 공업용 청관제( I - 10080) : 환수사용업체로써 스팀을 간접 가열시에 사용합니다.

(2) 일반용 청관제( F – 200) : 스팀으로 스팀을 직접 가열시에 사용합니다.

   

4. 사용방법

약품의 주입은 정량 펌프를 사용하고 급수관에 비례 주입합니다.

이 경우에는 급수계의 재질에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기적으로 수질을 분석하여 수질관리 기준에 적합하도록 배수량 및 약제 주입량을 조정합니다

   

5. 취급 및 보관상 주의

(1) 피부에 묻었을 경우에는 청수로 씻어 주십시오.

(2) 준에 들어 갔을 때에는 청수로 씻고 전문의의 치료를 받아 주십시오.

(3) –10~40정도 되는 곳에 보관하십시오.

   

   

   

스케일 제거제 (DP –12)

   

   

   

   

1. 용도

보일러 수관내에 생성 고착된 스케일의 제거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는 약품입니다.

   

2. 특 징

1. 스케일 세관을 위해 보일러를 정지시키지 않고 스케일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즉, 보일러 운전 중에 사용하므로 조업에 지장을 주지 않습니다.)

2. 스케일이 녹아 내리기 때문에 관 폐쇄로 인한 하자 발생을 막을 수 있습니다.

3. 인산염, 탄산염, 규산염 등의 스케일을 용해하여 제거합니다.

4. 세정 후 부식으로 인한 수명 단축이 되지 않습니다.

5. 경도성분의 석출방지 효과가 우수합니다.

6. 가설비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3. 사용방법

청관제와 병용해서 사용하며 약주펌프가 없는 소용량 보일러는 보유수량의 1%를 투입시켜 운전하다가 비수현상이 발생하면 전배수 후 재 투입 시켜 사용합니다. 그러나 약주펌프가 있는 경우는 약주통에 청관제와 DP-12의 비율을 1:1 로 혼합하여 점진적으로 투입시키면 됩니다.

   

4. 효과의 판정

(1) 전배수 시 우유빛깔과 같은 흰색의 물이 나오면 스케일이 녹아 나오는 것입니다.

(2) 전배수 시 맑은 물이 나오면 스케일 제거가 완료된 것이므로 DP-12의 투입을 중지합니다.

   

5. 제거기간

(1) 칼슘 등 연질 스케일은 2주정도 사용으로 제거됩니다.

(2) 스케일 부착량이 두껍거나 실리카 등 경질 스케일은 기간이 다소 길어질 수 있습니다.

   

   

양이온 교환수지 세정제 (KALON–R–2)

   

   

   

1. 용도 및 특징

KALON R –2는 양이온 교환수지에 엉겨붙은 철분등의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수지 재생시에는 재생제와 동시에 첨가함에 따라 이온 교환능력을 회복시켜 수지의 균열 파손이나 능력 저하를 방지합니다. 또한, 중성부근에서 세정하므로 부식시킬 우려가 없고 세정 배출액의 중화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2. 성 상

외관 : 백색분말

1%수용액PH : 6.2±0.5

   

3. 사용방법

(1) 사 용 량 : 양이온 교환수지 1에 대하여 20g을 사용합니다.

(2) 세정조작 : 식염 재생시에 식염과 같이 소정량을 용해하고 통상 식염 재생 조작과 동일하게 행합니다.

(3) 세정빈도 : 원수중의 철분과 현탁물의 양에 따라 다릅니다만 보통은 아래의 세정 빈도와 같습니다. 수지의 오염과 손상을 합하여 세정시기를 결정하여 주십시오.

   

   

   

4. 취급상 주의

(1) 본 제품은 깊이 연구하여 안전한 제품이고 취급시에 있어서 좀 더 확실히 하기 위해서는 보호안경, 고무장갑을 착용하여 주십시오.

(2) 본 제품은 공기에 장시간 접촉할 경우 산화하여 효력이 저하되므로 폴리에렌렌 포장을 충분히 밀봉하여 공기와의 접촉을 피하여 보관하여 주십시오.

   

   

만수보존액(I-300)

   

   

   

운전중인 보일러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 세심한 주의가 기울여지고 있으나, 가동되지 않는 보일러에는 그다지 신경을 쓰지 않으나 1주일 이상이 되는 장기간 휴지 보관 할 때에는 보관 잘못으로 인하여 부식이 일어나 들이킬 수 없는 사태가 초래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만수보존액을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하여야만 됩니다.

   

1. 만수보존 방법

부식 방지제인 만수보존액을 넣고 주증기변을 닫고 공기 취입변을 열어서 수동으로 급수시켜 만수시킨 다음 공기취입변을 닫아 보존합니다.<겨울철 이외> 겨울철에는 동파의 위험이 있으므로 완전 배수하여 관체 내부를 잔열로 충분히 건조시킨 후 실리카겔, 염화칼슘 등의 건조제를 넣어 주증기변을 닫아 보관합니다.(겨울철에 보관하는 방법)

   

2. 만수 보존 요령

(1) 보일러를 가동하여 압력이 1kg/cm2되면 정지하고 전배수 실시합니다.

(2) 상부 검사구 캪을 열고 만수 보존액을 투입합니다.

(3) 상부 검사구 캪을 닫고 운전 전원 스위치를 넣어 고수위까지 급수시킵니다.

(4) 고수위에서 급수 차단이 되면 주증기변을 완전히 닫은 후 공기 취입변을 열어둡니다.

(5) 급수용 마그네트 스위치를 수동 조작하여 공기 취입변에서 넘쳐 나올 때까지 급수시킵니다.

(6) 공기 취입변으로 넘쳐 나오게 되면 공기 취입변을 닫고 수동 급수시켜 증기 압력계가 5kg/cm2가 될 때 까지 급수 시킵니다.

㈜ 3kg/cm2이상에서는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므로 주의하여 주십시오.

(7) 보일러의 모든 밸브를 완전히 닫습니다.

㈜ 3개월마다 보일러수를 채취하여 철분증가 및 PH저하 여부를 검사합니다. 철분증가 및 PH가 저하 되었으면 만수 보존액을 재 투입 합니다.

   

   

'관련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일러관리  (0) 2016.10.24
증기보일러  (0) 2016.10.24
계면활성제  (0) 2016.10.11
계면활성제, 표면장력  (0) 2016.10.11
역삼투  (0) 2016.10.11

열역학 기초

상태와 변화2016. 10. 24. 09:54

'상태와 변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Physical constants and Conversions  (0) 2016.10.24
열전달해석  (0) 2016.10.24
무중력 상태에서 화염  (0) 2016.10.17
Water cluster  (0) 2016.09.02
액체와 증기압  (0) 2016.09.02

5 why

카테고리 없음2016. 10. 24. 09:19

갤럭시노트7 폭발 사태를 보며 '5 why?'의 중요성을 다시금 생각해보다

분석으로 세상보기 2016.10.22 22:08

최근 삼성의 갤럭시노트7 폭발과 리콜, 배터리 불량에 따른 폭발이라는 원인분석과 배터리 교체 후의 재 판매, 그리고 재 폭발... 결국 생산 중단과 환불에 이른 일련의 다사다난했던 사건들이 있었습니다. 

   

삼성전자 엔지니어들이 아직 불량원인을 파악하지 못했고, 폭발을 재연을 못하고 있다고 하니 "폭발의 참 원인(Root cause)'을 찾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또 얼마나 중요한 일인지 다시금 생각해보게 됩니다.

   

삼성의 엔지니어들이라면 우리나라 최고 실력자, 전문가 집단일텐데요, 아직도 불량원인을 파악하지 못한 것을 보면 불량원인이 표면적인 원인, 1차원적인 원인이 아니기 때문일 것입니다. 

   

좀더 얇아진 스마트폰 속에, 더 커진 배터리를 집어넣고, 방수처리를 했으며, 홍채 인식 등 연산이 많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도 추가되고... 여러가지 요인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다양한 상황, 순서, 흐름 속에서 서로 상승작용을 일으키면서 어느 순간 임계점을 넘으면... 그때 드디어 "배터리"가 폭발하지 않았을까요? 

   

제일 마지막 단계의 결과, 현상인 "배터리"만 쳐다보기보다는, 폭발에 이르게된 연결고리를 찾아야 폭발 사고를 연구실에서 '재연'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저는 엔지니어가 아니므로 폭발 원인 모릅니다.  -_-;) 

   

   

   

분석전문가의 역할, 역량에 대해서 말할 때 여러가지가 있겠습니다만은, 저는 "좋은 질문을 잘 던지는 능력"을 첫번째로 꼽고 싶습니다.  그리고 오늘 포스팅의 주제는 "좋은 질문"을 한번도 아니고 5번이나 꼬리에 꼬리를 물고 던지는 기법인 "5 Why?"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문제의 원인을 제대로 찾지 못하면 제대로 된 해결책을 찾지 못하는 것은 당연한 결과이겠지요.  "기계가 멈춘 문제"에 대해서 "5 Why?"를 적용해본 예시를 가지고 참원인(Root Cause)까지 도달하지 못했을 때 어떻게 잘못된 대응방안이 도출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 출처 : http://www.slideshare.net/aakashkulkarni3/9akk105151d0113-5-whys

   

   

   

> Problem : 기계가 멈추었다.

   

> 5 why?

   

 Why?

Questions (5 why?) 

Answer 

Action Item

 1st why?

 왜 기계가 멈추었을까?

과부하가 걸려 퓨즈가 나갔다

 ☞ 퓨즈 교환 

 2nd why?

 왜 과부하가 걸렸을까?

축에 윤활유가 충분하지 않았다

 ☞ 윤활유 보충 

 3rd why?

 왜 윤활유가 충분하지

않았을까?

윤활 펌프가 잘 작동하지 않았다

 ☞ 윤활 펌프 교체

 4th why?

 왜 윤활 펌프가 잘

작동하지 않았을까?

펌프 축이 마모되어 흡입력이

떨어졌다

 ☞ 펌프 축 수리

 5th why?

 왜 펌프 축이

마모되었을까?

여과기가 붙어 있지 않아서

절삭 칩이 들어갔다 

 ☞ 여과기 교체

   

   

   

위의 5 why? 사례에서 보듯이 왜라는 질문(question, why?)에 깊이, 수준에 따라서 답(answer)이 달라지고, 답에 따라서 대응방안(action item)이 현격히 달라집니다.

   

5 why?의 시작단계에서 질문을 끝마치고 피상적인 대응방안을 수립할 경우 그 문제는 반드시 '재발'할 것입니다.  문제를 발본색원하려면 근본원인, 참원인(root cause)를 찾아야겠지요.

   

   

   

5 Why? 관련해서 미국 토머스 제퍼슨 기념관 사례도 재미있어서 소개합니다.  토머스 제퍼슨 기념관의 외벽을 계속 페인트칠 해도 다시 부식이 되곤 하더랍니다. 그래서 기념관장이 직원에게 "Why?"를 다섯번 물어보았다고 해요.  

   

기념관장 : "왜 대리석들이 빨리 부식될까요?"

   

직원 : "대리석을 비눗물로 자주 씻기 때문입니다"

   

   

기념관장 : "그럼 왜 비눗물로 자주 씻는가요?"

직원 : "비둘기 배설물 때문에 비눗물로 자주 씻기 때문입니다"

   

   

기념과장 : "그러면 왜 비둘기들이 많이 올까요?"

   

직원 : "그야 비둘기의 먹이인 거미가 많이 오기 때문이지요."

   

   

기념관장 : "음...그러면 왜 거미들이 많이 오는거지요?"

   

직원 : "그것도 모르세요? 그거야 거미들의 먹이인 나방이 많이 오기 때문이지요"

   

기념관장 : "아하, 그럼 왜 나방은 몰려드는 거지요?"

   

직원 : (지친 목소리로) "실내 전등을 주변보다 더 일찍 켜기 때문이지요."

   

   

기념관장은 "나방이 몰려드는 시간을 피해 2시간 늦게 조명을 켜는 조치"를 취했다고 하는군요!   기념관 외벽에 페인트칠을 하는 횟수가 줄었을것 같지요?! ^^

   

단, 한국에서 상호간에 신뢰가 쌓이지 않은 상태에서 "왜?"를 5번씩이나 동일 인물에게 던질 경우 "당신 나한테 왜 그래?  무슨 감정 있어?"라는 반응과 함께 멱살을 잡힐 수도 있으니 눈치껏, 요령껏 질문을 던지시길...^^; 

   

반응적 경청!  눈 맞추고, 고개 끄덕 끄덕 해주고, 맞장구도 쳐가면서... 참원인에 도달하기 위한 꼬리에 꼬리를 무는 질문을 던지시길...!!!  Good luck!

   

   

   

참고로, 불량원인분석을 할 때 "5 Why?" 기법 말고도요, 일본의 품질관리 통계학 박사인 카오루 이시카와 박사가 개발한 "생선뼈 다이어그램(Fish bone diagram)"도 많이 사용됩니다.  아래에 예시가 있는데요, working conditions, raw materials, management, tchnology, machine, workers 의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문제의 참원인을 탐색해나가는데 있어 유용한 방법론이라고 하겠습니다.

   

   

* 그림 출처 : http://www.conceptdraw.com/How-To-Guide/picture/Fishbone-Causes-of-low-quality-output.png

   

   

   

분석가가 통계기법, 기계학습 이론만 잘 안다고 해서 불량원인 분석을 잘할거라고 생각할 수는 없습니다. 재료/부품, 제품설계, 생산 프로세스, 생산 장비/설비의 변경점, 고객의 제품 사용 상황(특히, 사고 나기 직전 1~2시간 전에 제품가지고 무얼하고 있었는지, 어떤 징후같은게 없었는지...)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고, 잘 이해하려면 좋은 질문을 던질 줄 알아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하면서 이번 포스팅을 마칠까 합니다.

   

   

그나저나 제 와이프도 갤럭시노트7 예약주문해서 구매했다가 아직 환불안하고 가지고 있는데요, 무얼로 바꾸어야 할지 고민이네요.  저는 LG V10 잘 쓰고 있고, 이번에 새로 나온 LG V20 좋아보여서 V20 어떻냐고 말해보기는 했는데요... 와이프가 결정을 못 내리고 있어요. 밤에 갤노트7 충전기에 꽂아놓고 자는거 왠지 찝찝하고 불안한데 말이예요. -_-;;;

   

출처: <http://rfriend.tistory.com/243>